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필림
감광막
영화
유제
네거티브필름
네거티브
내가티브
d라이브러리
"
필름
"(으)로 총 788건 검색되었습니다.
뇌의 '신호전달 접속장치'가 고장날 때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급성 중독을 일으킬 위험이 있다 주로 니스(페인트)나래커의 제조, 도료세척, 사진
필름
의 제조 등 작업현장에서 볼 수 있다기중농도(氣中濃度) 200~300ppm으로 특이한 강한 냄새가 나며 500ppm이 넘으면 눈 · 코 · 목에 자극이 생긴다 1,000ppm 이상에서는 두통 · 구토가 오고 더욱 농도가 높아지면 ... ...
2. 3회 연속 수상한 일본의 비결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손님들이 잘라달라고 해 버려진 물고기 머리를 얻어다 해부했다. 꺼낸 조직은 사진
필름
통이나 잼을 넣었던 빈 병에 보존했다. 비둘기를 사용한 실험도 했다. 이때는 연구비용이 ‘엄청나게(?)’ 들어갔다. 마을의 ‘비둘기 애호회’가 기르던 30마리를 연구에 사용하도록 제공받았으며, 그는 이에 ... ...
세균이 만드는 나노 리본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콘도 테츠오 박사팀은 아세토박터 자일리움(Acetobacter xylinum)이라는 세균을 홈이 패인
필름
위에 키워 셀룰로오스로 만들어진 완벽한 리본 구조를 만드는데 성공했다. 아세토박터는 셀룰로오스를 분비해 이 추진력으로 앞으로 나가고 회전도 한다. 콘도 박사는 구리판 위에 네마틱(장축이 일정한 ... ...
개구리소년 미스터리의 실체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추정되는 사람의 당시 얼굴 사진을 슈퍼임포즈 장비로 촬영해
필름
을 현상한다. 각각의
필름
을 중첩시키고 각도와 크기를 조정한 후 두개골과 얼굴 사진의 특징을 비교·검토해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국내에서는 10여년 동안 토양에 묻혀 있던 여자 두개골의 신원을 슈퍼임포즈법으로 알아낸 사례도 ... ...
다이아몬드 반도체 개발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보론을 첨가해 정공이 지나갈 수 있는 틈을 만들어줬다. 그 결과 만들어진 다이아몬드
필름
은 기존의 실리콘이나 갈륨 반도체에 비해 속도가 두배나 빨랐다.물론 이번의 다이아몬드 반도체가 기존의 실리콘 반도체를 당장 대체하지는 못할 전망이다. 실리콘 반도체보다 생산단가가 높기 때문이다 ... ...
지구대기 끝을 향해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히드로퀴논을 넣어 05mm 정도 두께로 칠하여 접착시켜 감광층을 만든다 네거티브
필름
을 밀착, 감광한 다음 현상액으로 씻어내고 건조시키면 미감광부가 용해되어 볼록판 인쇄용 볼록화상이 생긴다 내쇄력이 좋아 볼록판 윤전인쇄에 사용된다 대류권(對流圈)과 성층권(成層圈) 사이에서 적어도 한 ... ...
인공위성으로 미아 찾는다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때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감광도(感光度)가 ISO 200 이상의 사진촬영용
필름
사진촬영용
필름
의 감광도 표시방법은 독일의 DIN, 미국의 ASA 등으로 나라마다 달랐으나 최근 국제표준화 기구의 규격 ISO로 통일되었다n이 2 이상의 정수일 때 제 n차 도함수의 총칭 또한 f’(x)도 미분 가능이면 f’(x)의 ... ...
현상액 필요 없는 사진
필름
개발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필름
을 개발, ‘사이언스’ 인터넷판 8월 8일자에 발표했다.새로운
필름
은 아직 기존
필름
보다 빛의 민감도는 떨어지지만, 영상이 훨씬 정밀하고 비용이 저렴하다. 폴라로이드사는 앞으로 이 기술을 디지털 카메라의 선명한 영상의 인화용지에 이용할 예정이다 ... ...
알래스카 빙하 두께 연간 50cm 이상 감소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시트 및
필름
등을 고주파 유전가열(誘電加熱)로 연속 용착(溶着)시키는 장치 염화비닐
필름
또는 플라스틱 시트를 두 전극(雷極) 사이에 넣고 고주파 전압을 가하면 플라스틱 속에서 생기는 고주파 전기장에 의해 열이 발생한다 고주파회로에 쓰이는 절연물 직류전압에 대한 저항 외에 유전손실도 ... ...
X선 구조분석학 미시 세계 영화처럼 보여주는 투시 기술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갖고 있는 원자들은 전자가 적은 원자보다 더 많이 산란시킨다. 산란에 의한 회절 양상을
필름
에 감광시킨 후 나타난 점들의 관계를 분석하면 재료의 구조를 알아낼 수 있다. DNA의 이중나선 구조를 밝히는데 결정적인 단서가 된 X선 회절 사진이 바로 이 원리로 가능 했던 것이다. 이 방법은 원자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