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d라이브러리
"
학술
"(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한페이지 뉴스] 거시세계에서도 증명된 양자얽힘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공동연구팀은 두 개의 원형 알루미늄 조각 사이에 양자얽힘 현상이 나타남을 증명해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5월 7일자에 발표했다. 양자얽힘은 두 물질이 물리적으로 분리돼 있어도 서로 연관된 물리적 변화가 일어나는 현상이다. 연구팀이 한 알루미늄 조각을 마이크로파로 진동시키자, 다른 ... ...
[한페이지 뉴스] 화성 5만 년 전에도 화산 폭발, 생명체 존재 가능성 높여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동시에, 생명체의 존재 가능성 역시 크게 높인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행성과학분야
학술
지 ‘이카루스’ 온라인판 4월 21일자에 게재됐다. doi: 10.1016/j.icarus.2021.11449 ... ...
[인터뷰] “에너지 문제 해결해 고국 과학기술 발전 이끌겠습니다”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전자와 이온이 만나지 못해 덴드라이트가 형성되지 않았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ACS 에너지 레터스’ 3월 23일자에 실렸다. doi: 10.1021/acsenergylett.1c00150 엥가르 연구원은 “이 기술을 전기자동차와 같은 첨단기술 분야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책임연구원은 “물리학 이론을 ... ...
[이달의 책] 당신을 열 번째 과학카페로 안내한다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헤맨다. 여러 경로가 있지만, 연구에 대해서는 ‘네이처’ ‘사이언스’처럼 저명한
학술
지에서 최신 과학 동향을 살피거나 미국항공우주국(NASA) 등 사이트를 들락거리며 구상하는 경우가 많다.하지만 모처럼 새롭게 느껴지는 내용을 찾았다고 생각해도 “이거 지난해 이미 특집으로 다뤘어요” ... ...
목성의 오로라가 특별한 이유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다른 태양계 행성들과 달리 독특한 자기장 위상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
지 ʻ사이언스 어드밴시스’ 4월 9일자에 발표했다. 오로라는 태양에서 방출된 전자 또는 양성자가 행성의 자기장에 이끌려 들어와 대기 입자들과 충돌해 빛을 내는 현상이다. 자기장이 강한 자기력선을 ... ...
거대강입자충돌기, 빅뱅에 다가간 10년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연구결과 중 CMS팀과 LHCb팀 연합으로 발표한 논문을 제외하고 단독팀으로는 최초로 국제
학술
지 ‘네이처’에 실린 논문”이라고 소개했다. 한국에서 8개 기관 40명의 연구원이 참여하고 있는 앨리스팀은 입자 간에 벌어지는 상호작용에 관심이 크다. 그중에서도 기본입자인 쿼크와 글루온 사이에 ... ...
[논문탐독] 오류에서 찾은 혁신의 실마리 주사터널현미경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오류로 치부하는 대신 원인을 집요하게 파헤쳤고, 그 결과 새로운 현상을 발견해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에 투고할 수 있었습니다. 똑같은 방향의 변형이 자주 일어난다는 점에 주목해 그 원인을 파악했고, 결국 원자의 자기 구조에 대한 정보까지 얻을 수 있는 스핀 탐침을 만드는 데 도움을 줄 수 ... ...
한없이 완벽에 가까운 천연 블루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안토시아닌을 변형해 안정적인 파란색 천연염료를 제작하는 방법을 개발해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4월 7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126/sciadv.abe7871연구팀은 안토시아닌 색소를 구성하는 분자 중 하나인 ‘P2’를 알루미늄 양이온과 함께 배양하면 안정적인 푸른빛을 띤다는 사실을 ... ...
인간과 원숭이의 키메라 탄생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원숭이의 배아에 삽입한 인간-원숭이 키메라(잡종) 배아를 만들어 국제
학술
지 ʻ셀’ 4월 15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016/j.cell.2021.03.020 2017년 인간만능줄기세포를 돼지 배아에 주입해 인간과 돼지의 키메라 배아를 만든 것의 후속 연구다. 연구팀은 추적이 가능하도록 형광 단백질이 표지된 ... ...
최초의 인류는 누구인가? 위태로운 호미닌의 여명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가깝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다. 밀포드 월포프 미국 미시간대 인류학과 교수는 국제
학술
지 ‘네이처’를 통해 “사헬란트로푸스 차덴시스를 호미닌으로 평가받게 한 두개골 화석의 형태는 그저 생체역학적인 적응의 결과일지 모른다”며 “사헬란트로푸스 차덴시스가 이족보행을 하지 않았다는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