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논문
d라이브러리
"
학위논문
"(으)로 총 656건 검색되었습니다.
2. 은하의 먹이사슬 밝힌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아프리카에 간 적이 있었어요. 어느 국립공원엘 갔는데, 온통 임팔라 천지더군요. 임팔라는 먹이사슬의 가장 밑에 있다고 하더라고요. 육식동물의 먹이가 된다는 뜻이죠. 조금만 몸이 아파서 못 움직이면 사자에게 잡아먹히기 때문에 결국 병에 잘 걸리지 않는 제일 튼튼한 유전자를 가진 놈이 살 ... ...
연구에서 인생 배우는 뇌혈관 탐험가 - 서울대 약학과 교수 김규원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사소한 일로 다퉜던 친구나 어려운 부탁만 잔뜩 안겨주고 밥 한번 사지 않았던 선배와 떡하니 다시 만나게 됐다면? 우린 입버릇처럼 중얼거릴 것이다. “그러니까 사람은 착하게 살아야 돼”라고. 그러고 보면 세상만사 다 얽혀있다는 어른들 말씀이 틀리지 않다.몸에서 일어나는 생명현상도 마찬 ... ...
파스퇴르의 백조목 플라스크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기원전 6세기 그리스 밀레토스의 아낙시만드로스는 생물은 축축한 진흙에 햇빛이 비칠 때 우연히 발생한다고 주장해 ‘자연발생설’의 효시가 됐다. 그 후 약 2000년 동안 간단한 생명체의 자연발생을 부정하는 사람들은 거의 없었다.17세기에 실험을 근거로 자연발생설에 도전장을 낸 사람은 이탈 ... ...
우주선 블랙박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옮겼다 그 곳에서 전해질용액(電解質溶液)의 전기전도도(電氣傳導度)를 연구하여 84년
학위논문
으로 웁살라 대학에 제출했다 반응속도상수와 온도의 관계를 보여주는 실험식 화학 반응의 속도는 반응온도가 높아질수록 커진다 전해질용액(電解質溶被)에 관한 기초이론 1883년에 스웨덴의 화학자 S A ... ...
과학으로 더불어 사는 문화를 구현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뽀샵으로 처리하지 마세요.”나도선 한국과학문화재단 이사장(56)은 인터뷰 사진을 찍기 위해 카메라를 들이대자 보이는 그대로, 있는 그대로 찍어줄 것을 부탁했다. 좋게 보이기 위해 일부러 편집하지 말라는 주문이다. ‘뽀샵’이란 ‘포토샵’(Photoshop) 같은 그래픽편집 소프트웨어로 실제 인 ... ...
땅속 찌든 때까지 씻어낸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우리 집에서는 지하수를 마십니다.” 환경복원을 연구하는 KAIST 생명화학공학과 양지원 교수의 말이다.“그런데 근처에 세차장이 생기면서부터 물이 전처럼 깨끗하지 않아요.” 그의 말처럼 요즘 세상에 깨끗한 물을 마시기란 정말 힘든 모양이다. 지하수를 마시는 환경복원공학자라니, 그는 대 ... ...
23세 이공계 박사 탄생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국내 최연소 박사 기록이 깨졌다.한국과학기술원(KAIST)을 다녔던 정진혁씨는 지난해 12월 30일 미국 뉴욕의 RPI(Rensselaer Polytechnic Institute)공과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는 1981년 1월 생으로 태어난 지 23년 11개월 만에 박사가 된 것이다.종전 기록은 1996년 KAIST를 수석으로 졸업한 뒤 미국 매사추세 ...
창의세상 - 번뜩이는 아이디어가 가득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매운 음식이 인기를 얻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물을 마시며 얼굴을 찡그리면서도 매운 음식을 찾는다. 매운 음식의 핵심은 바로 고추다. 고추가 맵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맵다는 것은 맛이 아니라 통각에 의한 감각이다. 그런데 고추는 왜 매울까. 너무나도 당연해 생각조차 못했던 이 물음 ... ...
4년간 82편 '논문 女王' 탄생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20대 여성이 4년간의 석사와 박사과정 기간에 저명한 국제학술지에 70편에 가까운 논문을 발표했다. 2월 16일 경희대 의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장미현(28)씨가 주인공이다.장 씨는 이 대학 생리학교실에서 2001년부터 2년간의 석사과정 기간에 37편의 논문을 작성했고 이후 2년간의 박사과정 기간에는 ... ...
8. 천재성 뒤의 숨은 공로자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헌신적인 도움에 대해 아인슈타인은 특수상대성이론과 ‘E=mc2’을 발표하던 1905년 박사
학위논문
을 친구 그로스만에게 헌정했다.1912년 8월 연방공대의 교수가 돼 취리히로 돌아온 아인슈타인은 그로스만과 일반 상대성이론을 만들기 위한 공동작업을 시작했다. 하지만 이들의 공동연구는 최종적인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