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정
해소
해법
해명
해답
정해
결말
d라이브러리
"
해결
"(으)로 총 6,872건 검색되었습니다.
2022 제임스 다이슨 어워드 : 혁신으로 일상의 문제를
해결
하다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일상의 문제를
해결
하는 아이디어.” 2005년부터 매해 진행되는 국제 엔지니어링 및 디자인 공모전 ‘제임스 다이슨 어워드’의 주제다. 2022년 제임스 다이슨 어워 ... 통해 여러 번의 시행착오를 겪는 게 중요할 겁니다. 사람 중심으로 생각하며 문제를
해결
하려는 노력도 필요합니다 ... ...
[사업가가 된 연구자] 세포의 대화를 가로채 약으로 만든다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직접 환자를 진찰하는 임상 의사도 의미 있지만, 신약개발을 통해 의료 현장에서
해결
되지 않는 의료수요를 채울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과학 연구와 사업을 별개라 생각하지 않는다”며 과학동아 독자들 에게 언제든지 연구의 사업화를 생각해보라고 조언했다. “결국에는 본인의 연구가 사회에 ... ...
[이달의 책] 집중하지 못하는 나 내 책임일까?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40년 넘게 침팬지 무리를 이끌고 있다. 다 자란 수컷 침팬지들이 자신들의 싸움을
해결
할 수 없게 되자 마마에게 달려가 마마의 긴 두 팔에 각각 앉아 마치 새끼처럼 서로를 향해 소리를 질렀다. 자연 세계에서 가장 높은 계급과 서열을 가진 개체인 알파의 지위가 덩치나 힘, 공격성을 가진 자가 아닌 ... ...
[특집] 좁아지고 더워지는 육지 이제는 물속으로 들어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1호
쓰이는 전기 에너지와 이로 인한 기후위기와 해수면 상승. 과학자들은 이런 문제를
해결
할 장소 중 하나로 바닷속을 제시했어요. 해저 공간이 인류에게 새로운 기회의 땅이 될 거라고 해요. 바로 ‘해저 도시’죠. 한국은 해저 도시 선두주자지난 4월 13일,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을 주관으로 한 2 ... ...
[수학 뉴스] 수학자 박진영 교수 ‘실리콘밸리의 노벨상’ 수상
수학동아
l
2022년 11호
이 상을 받았어요. 특히 올해 4월 이산수학 난제 중 하나인 ‘칸-칼라이 추측’을
해결
한 단 6장짜리 논문을 발표해 수학계에서 큰 화제였어요. 박 교수는 우리나라에서 수년간 학생들을 가르친 수학 교사였다는 점 때문에 더욱 주목을 받았습니다.박 교수는 에 “의미있는 연구 결과가 ... ...
[논문탐독] 큐브샛의 동력원 태양전지판을 지켜라
과학동아
l
2022년 11호
필요한 전력량이 늘고, 태양전지판의 크기는 계속해서 커지고 있습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해 발사체에 실을 때는 태양전지판을 접어뒀다가 우주에서 사출되면 펼치는(전개) 방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하지만 발사 과정에서 발생하는 극심한 진동을 극복해야 합니다. 발사체의 진동이 ... ...
[기획] 셰프의 손맛을 그대로~ 인공지능으로 요리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1호
과거의 푸드테크는 식품을 만드는 것이 중심이었어요. 이제 사람들은 단순히 배고픔만을
해결
하기 위해 음식을 먹지 않습니다. 음식에 담긴 이야기와 먹을 때 느끼는 감정 등 경험을 소비하죠. 앞으로는 자신의 가치관에 따라 먹는 음식을 고를 수 있게 될 거예요.이진규 기존 식품 산업의 문제점인 ... ...
[과학뉴스] 파동으로 실시간 충전하는 무선 수중 카메라
과학동아
l
2022년 11호
들어가는 데 한계가 있었고, 카메라를 쓸 수 있는 시간도 한정적이었다. 이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해 연구팀은 음파로 충전할 수 있는 무선 수중 카메라를 개발했다. 음파는 소리가 만들어내는 파동이다. 카메라는 물을 통해 이동하는 음파의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바꾼다. 소리를 내는 물체가 ... ...
[특집] 무엇이 그들을 지하로 이끌었을까? 중성미자와암흑물질
과학동아
l
2022년 11호
잡음 때문에 중성미자를 관측하기 어렵다. 검출기를 지하 깊숙한 곳에 두면 이런 문제가
해결
된다. 뮤온은 걸러지고 다른 물질과 거의 반응하지 않는 중성미자는 땅을 투과해 검출기에 도달한다. 다만 이 방법도 우주방사선이 대기와 부딪칠 때 생기는 중성미자를 차단하기는 어렵다. 이를 극복하기 ... ...
네, 그래서 이과가 급똥 처리 기술을 만들어봤습니다
과학동아
l
2022년 11호
외출하기를 무서워했다고 해요. 하지만 나카니시는 엔지니어였습니다. 자신의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해 직접 배변 알람, 디프리를 개발했죠. 그런데 개발하고 보니 디프리가 필요한 사람은 나카니시 외에도 많았습니다. 노인, 장애인 등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이 배변 시기를 미리 알 수 있다면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