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목
주시
뉴스
"
각광
"(으)로 총 537건 검색되었습니다.
[요즘대세 공대가 좋아 Part3] 터치스크린 발표에 농담도 영어로
과학동아
l
2015.03.03
일하는 권민 브랜드미 이사는 “향후 10년은 생명공학과나 신소재공학과가 지금보다 더
각광
받을 것”이라며 “학과의 인기도 변화는 그 시기의 인기 산업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설명했다. ※ 더 많은 과학기사를 2015년 3월호 과학동아에서 만나보세요. ...
차세대 휴대전화 배터리 걱정 사라진다
2015.02.25
에너지 밀도가 떨어져 상용화에 걸림돌이 돼 왔다. 연구진은 차세대 전자 소자로
각광
받고 있는 그래핀(탄소 단원자막)을 나뭇잎 줄기의 구조로 만들어 이 문제를 해결했다. 휴대전화 내부에 이온 이동경로를 최대한 짧게 만들어 그래핀 표면에 이온을 최대한 흡착시키는 구조를 만드는 데 ... ...
[HOT100]“생명과학이 미래” 쥐 사육장에서 30종의 쥐를 길러…
동아일보
l
2015.02.16
은행 열매로 술을 만든 것은 우리나라가 처음이다. 현재 세계 바이오 시장에서 가장
각광
받는 프로젝트는 술이다. 의약품은 그 다음이다. 멕시코가 용설란으로 데킬라를 만들었듯이 이번에 개발한 은행 증류주가 언젠가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세계적인 명주가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울산 ... ...
[Health&Beauty]“3D 프린터로 맞춤형 장기 찍어 낼 날 올것”
동아일보
l
2015.02.11
그 응용 속도는 더욱 빨라져 편의점 늘어나듯이 늘어날 것입니다. 현재 사물인터넷으로
각광
받고 있는 기기인 ‘드론’의 경우도 3D 프린터를 활용해서 만들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3D 프린터는 의료계 전반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어서 따뜻한 의료기기로서 그 역할을 충분히 할 것으로 ... ...
고효율 자가발전 연료전지 성능 UP!
2015.02.04
친환경 수소를 이용해 즉시 전기를 생산할 수 있어 있어 차세대 에너지 기술로
각광
받고 있다. 그러나 발전 효율이 낮은 점이 상용화의 걸림돌이 돼 왔다. 국내 연구진이 연료전지의 효율을 큰 폭으로 끌어 올릴 수 있는 신기술을 새롭게 개발했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서울서부센터 한옥희 ... ...
차세대 금속 ‘마그네슘’ 환경오염 없이 생산
2015.01.14
중간은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 경우다. - 재료연구소 제공 차세대 산업용 금속으로
각광
받고 있는 ‘마그네슘’을 한층 더 친환경적으로 양산하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철도, 자동차 등 국내 기계산업은 물론 스마트폰 등 첨단 IT기기 산업에도 큰 보탬이 될 것으로 보인다.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③] 장애인 돕는 인공 팔다리
2015.01.13
하나로 묶은 첨단 기술이라 볼 수 있다. ●장애인 팔, 다리 대체하는 보조로봇
각광
김정 KAIST 교수 가끔 팔 다리, 혹은 하반신이나 전신에 장애를 갖고 있는 사람을 볼 수 있다. 과거에는 전쟁이 주 원인 이었지만 현재에도 산업 현장, 교통사고, 질병 등으로 팔 다리가 절단됐거나, 혹은 신경이 ... ...
게 껍질에서 뽑은 물질로 USB 메모리 만든다
2015.01.12
생체 물질인 만큼 친환경적이면서 인체에 안전한 자연소재를 이용했기 때문에 최근
각광
받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물론 체내에 삽입하는 의료장비로도 응용이 가능할 전망이다. 연구팀은 인체에 적합한 메모리소자에 들어갈 재료를 찾던 중 키토산에 주목했다. 키토산은 이온전달능력이 ... ...
이번엔 무슨 그래핀? ‘포스트 그래핀’!
2015.01.09
그래핀과 물리적 특성은 유사하면서도 반도체 특성이 뛰어난 2차원 금속 칼코겐이
각광
받고 있지만 대량생산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연구팀은 여러 층으로 이뤄진 2차원 물질과 서로 다른 크기의 분자 2종류를 용액에 넣고 섞는 단순한 방법으로 2차원 단인층 금속 칼코겐을 얻어내는 데 ... ...
자석으로 DNA 이중나선 10분 안에 푼다
2014.12.29
연구진이 차세대 소재로
각광
받고 있는 DNA 나노구조를 손쉽게 만들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윤태영 KAIST 물리학과 교수팀은 기존에 수 십 시간 걸리던 DNA 나노구조 제작 시간을 10분 이내로 단축하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생물체의 설계도라고 할 수 있는 DNA는 A(아데닌)과 G(구아닌), T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