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씨
일기
기상
천문
도시기후
도시
동안기후
뉴스
"
기후
"(으)로 총 3,238건 검색되었습니다.
[동물do감] 물속 산소 농도, '맛'으로 알아내는 물고기
동아사이언스
l
2024.09.13
위험한 저산소 상황을 빠르게 감지하고 대응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최근
기후
변화로 수중 생태계 변화가 심해지면서 물고기가 환경 변화를 어떻게 인지하고 대응하는지에 대한 이해가 중요해지고 있다. 연구결과는 수생생물을 보호하고 육성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 ...
[사이언스게시판] 천문연, 창립 50주년서 'KASI인' 선정·수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9.12
우주자원 개발을 위한 연구 및 협력 등에서 성과를 거뒀다. 올해의 KIGAM인상은 황세호
기후
변화대응연구본부 박사가 수상했다. 황 박사는 국내 물리검층, 지하수 및 환경오염에 대한 수리지구물리탐사 기술개발로 연구원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1 ... ...
이산화탄소로 지속가능한 '항공유'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9.12
위한 지속 가능한 항공유(SAF) 개발이 시급하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팀이
기후
위기의 주범인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활용해 지속 가능한 항공유(SAF)를 생산할 수 있는 촉매를 개발했다. 개발된 촉매는 항공 산업뿐 아니라 다른 수송 분야에서도 탄소 배출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 ...
홍수·가뭄 대비 깨끗한 물 지중 저장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9.12
KIST) 물자원순환연구단 책임연구원(왼쪽)과 정성필 책임연구원. KIST 제공.
기후
변화로 홍수와 가뭄이 반복되면서 안정적으로 물을 저장하고 공급하는 ‘지중저장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국내 연구팀이 물 저장 능력을 향상시키는 지중저장 기술을 개발했다. 지중저장 기술은 지하 대수층에 ... ...
9~11월 라니냐 발생 가능성 55%…"가을철 기온 평년보다 높을 것"
동아사이언스
l
2024.09.11
두 현상은 번갈아 2~7년 주기로 나타나지만 최근 지구온난화와 함께 강하게 찾아오며 이상
기후
를 일으키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직전에 발생한 엘니뇨는 2023년 5월부터 발달해 1년간 이어지다가 지난 5월 중립 상태로 전환됐다. 지난 1~7일 기준 엘니뇨·라니냐 감시구역의 해수면온도 ... ...
20년 내 인구 70% '극심한 날씨' 영향 받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9.10
날씨 변화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10~20년 내 발생할 수 있는 극단적인
기후
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다각도의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doi.org/10.1038/s41561-024-01511- ... ...
대전·뉴욕 오가며 KAIST·뉴욕대 학위 받는다…인공지능 분야 세계 최초
동아사이언스
l
2024.09.09
중심으로 하는 10개 분야 국제 공동연구를 착수할 계획이다. 밀스 총장은 “AI 기술은
기후
변화, 헬스케어, 교육 격차 등 여러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큰 역할을 할 수 있다”라면서 “양교가 양성할 글로벌 인재는 이러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도 혁신적인 기여를 하게 될 것이다”고 ... ...
"수소에너지 인프라 핵심 기술 만든다"…산·학 집결 강원도 첨단 연구
동아사이언스
l
2024.09.08
분의 1 수준까지 줄일 수 있다"고 소개했다. 권기현 강원대 교수 연구팀은 강원지역의
기후
등 지리·생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 지역에서 생산되는 수소 에너지 자원의 특성을 이해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권 교수는 "신재생 에너지는 에너지가 생산되는 지역의 지리적 조건에 많은 영향을 받게 ... ...
서울 첫 '말라리아 경보…원인은
기후
변화·북한 영향?
과학동아
l
2024.09.07
말라리아가 확산되고 있다는 것은 사실이기 때문입니다. 한국 또한 점차 아열대성
기후
로 접어드는 상황이라 말라리아 확산에 취약하죠. 게다가 말라리아는 단세포 생물에 의해 감염되는 질병이라 독감, 코로나19와 달리 백신 개발이 어렵습니다. 지금까지 WHO의 승인을 받고 상용화된 백신은 2021년 ... ...
[과기원NOW] UNIST, 효소 반응 고분자 암세포만 골라 파괴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9.06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에너지밸리기술원, 차세대에너지연구소가 함께 ‘대한민국
기후
환경 에너지 대전(KEET 2024)’에 참가해 에너지 신산업 분야 시제품 및 우수 연구성과물을 선보였다고 5일 밝혔다. 에너지밸리기술원은 올해 중점 추진 중인 맞춤형 글로컬 기업지원사업 수혜기업의 다양한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