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산지
생육지
서식환경
자생지
원산지
본바닥
뉴스
"
서식지
"(으)로 총 485건 검색되었습니다.
백두산 호령하던 그때처럼… ‘大虎’ 복원 프로젝트
2015.12.20
연구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 교수는 실제 백두산 지역이 호랑이의 생존에 가능한
서식지
인지 알아보기 위해 올해 11월부터 2017년 3월까지 이 지역에 이영 연구원을 파견했다. 중국 현지에서 이 연구원은 e메일을 통해 “호랑이의 먹이가 될 수 있는 대륙사슴과 멧돼지, 노루 등이 눈 표면에 남긴 ... ...
세상에서 가장 위험한 개미, 불독개미
팝뉴스
l
2015.12.05
제공 ‘불독 개미’의 모습이다. 호주가
서식지
다. 기네스 세계기록이 이 개미를 ‘세상에서 가장 위험한 개미’로 공인한 바 있다. 불독이라는 이름이 붙은 것은 그만큼 공격적이고 집요하게 물어뜯기 때문이다. 침과 턱으로 동시에 공격한다. 사람도 두려워하지 않는다. 짧은 시간 내에 ... ...
‘둘리 할아버지’ 발자국 찾았다
2015.12.02
것으로 보인다. 특히 발자국이 발견된 지역이 과거 얕은 소금호수였던 만큼 초식공룡의
서식지
와 습성 연구에 새로운 단서가 될 전망이다. 연구에 참여한 톰 찰랜드 연구원은 “앞으로 스카이 섬에서 공룡 연구에 중요한 새로운 공룡의 흔적이 계속 발견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 ...
[오지 연구원이 된 동물들] AI 전파경로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
과학동아
l
2015.11.30
발견됐는지를 확인하는 정도였다”며 “기술 발전 덕분에 조류의 상세한 이동경로와
서식지
등 생태 특성을 알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 더 많은 과학기사를 2015년 12월호 과학동아에서 만나보세요. ... ...
선인장, 예쁜 꽃 때문에 사라질 수도
2015.10.13
선인장을 위협하는 요인 중 하나다. 사람이 기르는 가축의 수가 점점 늘어나며 선인장의
서식지
를 침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케빈 개스턴 엑시터대 교수는 “이번 연구로 선인장이 사람의 활동과 동물 때문에 위협받고 있다는 큰 그림을 얻을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에리오시스 칠렌시스(Eriosyce ... ...
신토불이 과학연구 노벨상 거머쥐다!
2015.10.06
감염되면 극심한 피부가려움과 각막염증으로 결국 실명하게 돼, 강(매개 곤충인 흑파리
서식지
)을 낀 마을에는 실명자가 가득한 절망적인 상황에서, 주민들은 알약 하나를 먹고 다음날부터 가려움증이 사라지는 기적을 체험하고 환호했다. 1985년 머크사의 대표가 된 바겔로스는 1987년 이버멕틴의 ... ...
체르노빌 원전사고 29년, 야생 동물이 돌아왔다
2015.10.06
개체수가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체르노빌 지역에 서식하는 늑대 수는 일반 자연
서식지
보다 7배 더 많았다. 연구팀은 사고 후 1~10년 사슴과 맷돼지 수가 꾸준히 증가한 사실도 확인했다. 이 기간 중 맷돼지 수가 감소하는 시기도 있었지만, 방사능 노출과는 관계없는 전염병 때문인 ... ...
치약 속 미세 알갱이가 환경을 파괴한다고?
2015.09.27
및 기술(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에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미국에서 하루에 수생
서식지
로 유입되는 마이크로비드의 양은 8조 개에 이른다. 첼시 로흐만 미국 캘리포니아대 연구원 팀은 “매일 테니스장 300개 이상을 덮을 수 있는 알갱이가 발생하고 있다”며 “작은 알갱이가 커다란 오염을 ... ...
설악산 산양과 울진 산양, 유전자가 다르다
2015.09.02
- 설악녹색연합 박그림 제공 같은 한국 산양이라도 대관령을 기준으로 남과 북의
서식지
에 따라 유전적 구조가 다르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항 서울대 수의대 교수팀은 희귀 멸종위기종인 한국 산양들의 유전자를 비교한 결과 크게 두 집단으로 나눌 수 있었다고 2일 밝혔다. 연구진은 국내 ... ...
“죽지 말고 살아 다오” 수원청개구리에게 슈퍼파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8.28
국제 학술지 ‘생태 정보학(Ecological informatics)’ 8월호에 발표했다. 그는 “수원청개구리
서식지
로는 넓은 논이 적합한데, 도로나 택지 개발로 논이 쪼개지거나 줄어들고 있어 문제”라며 “개체와 서식처 복원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번에 방사한 수원청개구리가 다 자랄 때까지는 2년 정도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