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타크래프트
부루드워
스타크
연예인
star
starr
broodwar
뉴스
"
스타
"(으)로 총 1,041건 검색되었습니다.
무인 우편물 배송차 캠퍼스 누비며 택배 싣고내리고…로봇은 소포 지고 집배원 졸졸
동아사이언스
l
2020.10.28
야마토는 자율주행 소포배달차 ‘로보네코 야마토’를 개발하고 있다. 스위스도 미국
스타
십 테크놀로지스의 로봇을 이용해 800km를 주행하는 동안 사고 없이 배송하는 시험운행에 성공했다. 이날 시범운영 행사는 올해 5월 우정사업본부가 자율주행 우편물류서비스 기술을 개발하겠다는 계획을 ... ...
위성인터넷
스타
링크, 월사용료 11만원 장비설치비 56만원
동아사이언스
l
2020.10.28
이를 통해 2025년까지 300억 달러(33조 8370억 원)의 이익을 볼 것으로 예상한다. 스페이스X는
스타
링크가 전 세계 통신 사업의 점유율 일부를 확보하면 로켓 사업으로 벌어들이는 매출의 10배 이상을 벌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
스페이스X 12년만에 100회 발사 성공한…로켓 기술 혁신의 '새 이정표’
동아사이언스
l
2020.10.26
엔진으로 구동됐다. 액체산소와 등유가 연료다. 팰컨이라는 이름은 머스크가 우주영화 ‘
스타
워즈’에 나오는 우주선 ‘밀레니엄 팰컨’의 이름을 따서 지었다. 2006년 첫 발사를 시도한 스페이스X는 3번의 발사 실패 후 2008년 9월 29일 처음으로 발사에 성공했다. 팰컨1은 2009년 7월 14일 다섯 번째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요거트와 노벨상
2020.10.22
면역 체계”라는 종설논문을 통해 다우드나를 비롯한 현재 크리스퍼 연구의 화려한
스타
들이 이 연구분야에 뛰어들게 된 것이다. 생물학계에서 최근 일어난 가장 혁명적인 발견인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는, 2000년대 초 대부분의 과학자에게 아무런 관심을 받지 못했다. 그 연구의 불씨를 ... ...
매달 120개씩 우주에 AP가 생긴다…14번째
스타
링크 위성 60기 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20.10.19
마르코 랭브록 네덜란드 라이덴대 천문대 연구원이 지난 24일 ‘
스타
링크(Starlink)’ 인공위성들이 지구를 도는 영상을 촬영하는데 성공했다. 마르코 랭브 ... 쏘아올릴 예정이다. 오는 21일(현지시간) 미국 플로리다 케이프커내버럴 공군기지에서
스타
링크 위성 60기의 발사가 예정돼 있다. ... ...
“전국 과학관
스타
전시품 온라인으로 한눈에 보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20.10.11
감안해 각 과학관의 주요 볼거리를 모아 유튜브 동영상을 통해 방영하는 ‘전국과학관
스타
전시품 온라인 투어’를 매월 진행한다. 또 각 과학관마다 보유한 특별한 주제를 교과과정과 연계해 학교의 원격수업을 지원한다. 과학관별 전문가들이 재미있게 양방향 원격수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 ...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잊혀진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8
게재 허가를 받으며 먼저 세상에 나왔다. 이후 다우드나와 샤르팡티에가 생명과학계의
스타
가 된 사이에 식스니스 교수는 잊혀졌다. 2015년 ‘실리콘밸리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브레이크스루상에도 다우드나와 샤르팡티에 교수만 수상한 게 대표적이다. 하지만 이후 식스닉스 교수의 업적이 ... ...
[표지로 읽는 과학]'새 머리'라고 무시 마라 포유류 못지 않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7
사실을 밝힌 두 편의 논문이 이번주 사이언스 커버스토리를 장식했다. 마틴
스타
초 독일 보훔대 교수팀은 새의 뇌 신경망을 추적한 결과, 새의 뇌 외피에 포유류 피질에서 발견되는 것과 비슷한 신경망이 존재하며 이 신경망 덕분에 새가 뛰어난 인지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됐다고 국제학술지 ... ...
국가대표급 실력 AI 컬링 로봇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4
펼쳐지는 스포츠는 AI가 뛰어 넘어야 할 중요한 과제로 꼽힌다. 그 동안 바둑이나
스타
크레프트 등 가상 환경에서 겨룰 수 있는 게임에서 인간 챔피언을 상대로 승리를 거둔 AI는 여럿 개발돼 있지만, 현실 세계의 스포츠에서는 아직 인간을 이기는 AI가 등장하지 못하고 있다. 환경과 조건을 비교적 ... ...
SF로 준비하는 미래... 과학동아 하반기 ‘SF 보드’ 오픈
과학동아
l
2020.09.23
시네마토크’ 행사도 열린다. SF 시네마토크는 정재승 KAIST 교수, 김상욱 경희대 교수 등
스타
과학자와 함께 SF 영화를 보고 함께 이야기를 나눌 예정이다. 첫 번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사람 중에서 행사에 참여할 패널을 뽑는다. 과학동아는 11월 첨단 농업기술을 주제로 한 ‘스마트팜 보드’를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