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전인자
유전단위
인자
유도자
전승자
DNA
뉴스
"
유전자
"(으)로 총 4,963건 검색되었습니다.
"미세플라스틱, 귀 건강까지 위협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24
유전정보를 담은 전사체 분석에서도 폴리에틸렌을 먹은 쥐에게서 세포 사멸과 염증 관련
유전자
가 많이 발현됐다. 달팽이관과 전정기관에 손상이 일어났다는 의미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로 미세플라스틱의 생체 위해성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며 "미세플라스틱이 내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 ...
'에너지 공장'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변이 메커니즘 첫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7.24
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세포가 평생 동안 축적한 DNA 돌연변이가 유발하는 인체 내
유전자
변이 현상의 메커니즘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 세포 간의 유전적 다양성(모자이시즘)을 밝힌 성과로 인체의 노화 및 질병 발생의 원리를 이해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KAIST는 주영석 ... ...
[강석기의 과학카페] 42억 년 전 생명체의 모습은?
2024.07.24
만 염기이고 단백질 지정
유전자
는 약 2500개로 밝혀졌다. 물론 우연이겠지만 게놈 크기와
유전자
수 모두 이번에 제안된 루카의 범위에 들어간다. 참고로 대장균은 각각 460만 염기와 4200개이고 상용화된 설비에 쓰이는 아세토젠인 클로스트리디움 오토에타노게눔은 각각 450만 염기와 4100개다. 우드와 ... ...
반려견 실명 유발 불치병,
유전자
검사로 없앤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22
유사하다고 밝혔다. 개에 대한 이 연구가 향후 인간에게서 발생하는 안구 질환과 관련한
유전자
치료 표적을 찾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doi.org/10.3390/genes1507095 ... ...
미토콘드리아로 퇴행성 질환 제어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22
메커니즘을 확인하기 위해 미토콘드리아 내에서 RNA와 결합할 수 있는 단백질 발현을
유전자
가위로 억제하는 작업을 한 뒤 미토콘드리아 이중나선 RNA 발현량을 조사했다. 이를 통해 엔썬4(NSUN4)라는 단백질이 이중나선 RNA 발현량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했다. RNA 구성물질 중 하나인 시토신의 ... ...
혈액 내 암 돌연변이
유전자
, 초고민감도로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22
바이오칩의 센서는 혈액 내 표적 돌연변이
유전자
의 경우 형광신호를 증폭하고 정상
유전자
에 대해서는 형광신호를 억제해 검출 민감도가 향상됐다. 연구팀이 개발한 바이오칩으로 1~4기 국내 폐암 환자 43명과 정상군 40명을 대상으로 임상 성능 평가를 진행한 결과 폐암 환자는 93%, 정상군은 100%의 ... ...
초파리 360종 유전체 서열 규명...대규모 분류로 진화 단서 찾아
동아사이언스
l
2024.07.22
수월하다. 특정
유전자
를 수정하거나 제거하는 등
유전자
변형을 일으키기도 용이해
유전자
기능을 확인하는 연구에도 많이 쓰인다. 생애주기가 짧고 번식력이 뛰어나다는 점도 오랫동안 실험 모델로 쓰인 이유다. 초파리에 속하는 종도 4400종이 넘어 진화 패턴과 과정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 ...
박테리아에서
유전자
훔치는 동물…생존·번식 목적
동아사이언스
l
2024.07.19
찾는다는 점은 이번에 처음 확인했다. 연구팀은 “다른 어떤 동물도 이처럼 대량의
유전자
를 도둑질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로티퍼의 특징이 인체 감염을 치료하는 약물 개발의 중요한 단서가 될 것으로 보았다. 항생물질은 현대 의료에서 필수적이지만 병원균들이 항생제에 ... ...
바이러스·세균 진화 규명…RNA 백신 개발 시 응용 가능
동아사이언스
l
2024.07.19
따라 RNA를 합성하는 RNA 중합효소는 유전정보가 DNA에서 RNA로 옮겨가는 ‘전사’라는
유전자
발현 첫 단계를 수행한다. 전사 마무리 방식은 '해체종결’, ‘재생종결’ 등 두 가지가 있는데 세균은 물론 세균보다 진화한 진핵생물인 효모도 두 가지 전사 방식을 모두 사용한다. 사람도 진핵생물이기 ... ...
염증성 단백질 없애자 쥐 수명 늘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9
다양한 세포 내 신호전달 경로도 급격히 활성화됐다. 인터루킨11 생성에 관여하는
유전자
를 삭제하자 노화로 인한 신체 변화의 진행을 막을 수 있었다. 대사기능의 저하를 억제하고 다양한 질병에 대한 인체의 방어기능이 개선됐다. 특히 수컷과 암컷 쥐 모두 수명이 24.9% 연장됐다. 바이러스나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