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노고
수고
고생
뉴스
"
작고
"(으)로 총 714건 검색되었습니다.
홍합 조심...경남 해역 자연산 담치에서 마비성 독소 검출
동아사이언스
l
2018.03.14
수치다. 담치는 홍합과에 속하는 패류다. 홍합과 비슷하게 생겼지만 크기가 더
작고
다른 종으로 분류된다. 그러나 보통 마트에서 ‘홍합’이라고 파는 패류 대부분이 담치다. 국립수산과학원은 “향후 기온이 올라가면 바닷물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패류독소 발생해역과 기준치 초과 해역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푸른' 종소리 '보는' 공감각의 비밀 풀렸다
2018.03.13
동원되는 공감각 소유자의 체험담이 있다. “전화벨이 울리는 소리를 들었을 때...
작고
둥근 물체가 내 눈앞에 구르고... 손가락엔 밧줄처럼 촉감이 거친 뭔가가 느껴지고... 소금물의 맛과... 흰색의 뭔가를 경험한다.” 공감각은 유전되지만 체험방식은 다르다 - 사진 GIB 제공 자신이 공감각 ... ...
[써보니] 비싼 가격에도 애플의 새 '아이맥프로'가 주목받는 이유
2018.03.01
이제 최신의 아이맥이나 맥북 프로와 견줄 수 있을 정도가 됐다. 돌아보면 맥 프로는
작고
깔끔한 디자인에 소음 없는 설계까지 놀라움의 연속이었다. 4k 영상을 아무렇지도 않게 파이널컬 프로 X의 편집 도구에 올렸고, 이전까지 끙끙대던 로직 프로 X는 100여개 트랙에 온갖 효과를 다 걸어도 아무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이 많은 감귤류는 다 어디서 왔을까
2018.02.27
사람들의 사랑을 받으며 널리 재배되는데 포멜로의 공이 컸다고 주장했다. 즉 과실이
작고
시큼한 순종 만다린이 포멜로와 만나 크기가 커지고 달콤새콤한 과일이 된 것이다. 오늘날 과수로 성공한 만다린 품종 대다수는 순종 만다린과 포멜로의 잡종이 그 뒤 여러 차례 만다린과 교배해 나온 것으로 ... ...
난자 생존력 키워 가임 기간 늘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2.23
난모세포(난자의 근원). 오른쪽 위는 치료를 받지 않은 경우로 난모세포 크기가 매우
작고
, 오른쪽 아래는 효소를 주입한 경우로 위와 비교해 건강한 난모세포를 지니고 있다. -Princeton University 제공 연구팀은 이런 현상이 나이가 들수록 생성되는, 난자 속에 많이 포함돼 있는 일부 단백질이 ... ...
[아는만큼 보인다]동계올림픽의 꽃 '피겨 스케이팅'의 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8.02.15
주저말고 빙판에 올라보는 것도 좋다. 피겨는 체조처럼 회전동작이 많기 때문에 키가
작고
팔다리가 짧을수록 유리하다. 키가 너무 크면 무게중심이 상대적으로 가슴 위쪽에 위치해 균형을 잡기가 어렵고 체력도 많이 소모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동양인이 서양인보다 피겨에 맞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글은 왜 벌거숭이두더지쥐에 주목했나
2018.02.06
길수록 처음에 시작하는 개체수가 많아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생쥐처럼 덩치가
작고
수명이 짧은 동물만 최대수명이 파악돼 있다. 연구자들은 1980년대 초부터 출생이후 이력 관리가 되고 있는 벌거숭이두더지쥐 3299마리를 대상으로 사망률을 조사했다. 즉 이 녀석들이 생식력을 갖춘 6개월(183일 ... ...
[이슈&트렌드]21억vs 2억… 로봇은 돈을 먹고 큰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29
챌린지는 사전 연구비 지원이 10억 원에 이르렀다). 그러니 비용에 맞춰 로봇을
작고
가볍게, 혹은 엉성하게 만든 경우가 많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통해 모금한 팀도 있다. 이 상황에서 1위 상금 1000만 원을 보고 자비로 로봇을 만들어 출전하려는 팀이 있을 리 만무하다. 진흥원 관계자는 ... ...
“습기만 있으면 로봇이 움직입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26
항상 자연이 있다”고 말했다. 그 말처럼 그는 복잡하고 거대한 기계와 결별하고,
작고
가볍고 부드럽지만 맡은 임무를 틀림없이 해내는 기계 쪽으로 눈을 돌렸다. 2015년에는 소금쟁이를 흉내 낸 점프 로봇을 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했고, 이번에는 습기에 따라 휘어지는 야생 밀 씨앗의 움직임을 ... ...
유방암 표적치료효과 높였다… 면역저하 없애는 신물질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01.22
약물을 병행 사용한 경우(흰 원)가 허셉틴만 쓴 경우(검은 사각형)에 비해 종양 크기(A)는
작고
생존률(B)는 높았다. - 한국연구재단 제공 박 교수팀은 암세포 내에서 항암제에 내성을 일으키는 효소(PI3K)에 주목했다. 만약 이 효소를 억제하면 암 발생이 줄고 치료제에 대한 내성을 줄일 수 있다.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