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뉴스
"
적은
"(으)로 총 3,479건 검색되었습니다.
[커버링클라이밋나우] 尹 대통령 "원전·수소 비중 높이고 CCUS 기술혁신 속도"
동아사이언스
l
2023.04.21
윤석열 대통령은 20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개최한 ‘에너지와 기후에 관한 주요 경제국 포럼(MEF) 정상회의’에 영상으로 참석했다. 대통령실 제공 윤석열 대통령은 20일 “이제 기후위기는 전 세계 공통의 언어가 됐다”며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40% 줄이기 위해 원전과 수소 등의 비중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개기월식 달빛에 담긴 화산 폭발의 흔적
2023.04.19
비록 이전에도 이런 일이 있었지만, 옛사람들이 이번처럼 제대로 식별할 수 없는 달을 본
적은
없었다. 달은 월식 동안 마치 사라진 것 같았고 지속 시간이 꽤 길고 변화는 극단적이었다. 이것은 진정 두려운 사건이었다. 정말 내 70 평생 이런 일은 듣거나 본 적이 없다. 관청의 천문학자들도 ... ...
우주에 도전한 사람들은 어떤 말을 남겼을까
과학동아
l
2023.04.15
메시지는 빨간색 한 칸은 1, 흰색 한 칸은 0에 해당하는 2진법 아스키(ASCII) 코드로 변환해
적은
‘위대함에 도전하라(Dare mighty things)’란 말이었다. 시어도어 루즈벨트 미국 26대 대통령이 했던 이 말은 NASA에서 무인 탐사 우주선의 개발 및 운용을 맡은 제트추진연구소(JPL)의 모토이기도 하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두창'과 잉카 문명의 멸망...분분한 해석과 교훈
2023.04.11
두창(천연두)바이러스. 위키미디어 제공 ● 역사 해석이 달라지는 여러 사례들 황산벌에서 신라군과 맞서 싸운 계백의 백제군은 백제에게는 충신이지만 신라에게는 반드시 쳐부수어야 하는 적군이었다. 단종에게는 사육신이 목숨을 건 충신이지만 세조에게 사육신은 죽이지 않으면 두고두고 ... ...
화재 위험 없는 '전고체 전지' 언제 빛 볼까
동아사이언스
l
2023.04.10
전고체 전지는 현재 일반적으로 쓰이는 리튬이온전지와 달리 화재 위험이 없다는 점에서 특히 주목받는다. 픽사베이 제공 지난 4일 정부는 차세대 이차전지 기술 개발을 국가전략기술 프로젝트 후보로 선정했다. 올해부터 2027년까지 5년 간 170조원의 연구개발(R&D) 예산을 투자해 12대 국가전략기 ... ...
[주말N수학] 수학자가 사람 살리는 '수리생물학'에 빠진 사연
수학동아
l
2023.04.08
김재경 기초과학연구원(IBS) 의생명수학그룹 CI & KAIST 교수 ○ 한 편의 기사가 수리생물학자로 안내 공군과학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던 때의 김 교수(오른쪽에서 2번째). 김재경 제공 Q. 수학교육을 전공했는데, 수리생물학자가 된 계기가 뭔가요. "대학 졸업 후에 공군항공과학고등학교 ... ...
[프리미엄 리포트] 풍선에 매달린 기상관측·우주과학
2023.04.08
NASA/JPL-Caltech 제공. “2021년 이후 보고된 미확인비행물체(UFO) 366건 중 163건은 풍선과 관련된 것이다.” 미국 국방부가 지난 1월 12일 공개한 ‘미확인비행현상 2022년 연례보고서’에 담긴 내용이다. 2월 4일 중국의 풍선이 미국 국경을 넘은 것을 확인한 미군이 미사일로 풍선을 격추했다. 미국은 이 ... ...
[박정연의 닥터스] 생체신호 데이터로 수술만큼 중요한 '환자안전 관리'
동아사이언스
l
2023.04.03
김성훈 서울아산병원 마취통증의학과 교수가 최근 서울아산병원에서 기자와 만나 인터뷰하고 있다. 의료계에 따르면 한국에서는 한 해 200만건의 수술이 이뤄진다. 의료 인프라가 발달한 만큼 시행되는 수술 건수가 적지 않다. 수술 건수가 늘어나면 수술 중 의료진의 과실이나 장비 문제로 인한 안 ... ...
[주말N수학] '자연수 집합'과 '짝수 집합' 크기는 같다?...수학 바꾼 '무한'
수학동아
l
2023.04.01
수학자 이승재 서울대 박사후연구원(왼쪽), 인문학자 이은수 서울대 철학과 교수 (오른쪽) 인류는 오랜 시간 수를 탐구해왔다. 그러다가 상상할 수조차 없이 큰 상태, 무한을 접하고 고민에 빠졌다. 시간이 흘러 어느새 무한이라는 단어가 우리의 일상에 들어왔지만, 우리는 무한을 제대로 알고 있을 ... ...
세계기록유산 추진 '성변측후단자'…"전세계 유일한 핼리혜성 관측 사료"
동아사이언스
l
2023.03.23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추진하는 성변관측단자. 혜성의 모습이 점과 선으로 표현돼 있다. 박정연 기자 hesse@donga.com “이번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추진하는 3건의 혜성 관측 사료는 국가 공공기록물이면서 현장의 기록이 담겼습니다. 이 두 가지 조건을 모두 갖춘 사료는 일본과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