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결방안
해결책
솔루션
뉴스
"
해결방법
"(으)로 총 2,279건 검색되었습니다.
처리 곤란 ‘PVC 폐플라스틱’ 친환경 분해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7.07
(왼쪽부터) 김병수 연세대 교수, 네하 초우드리 제1저자. 연세대 제공. 전 세계에서 세 번째로 많이 쓰이는 범용 플라스틱인 폴리염화비닐(이하 PVC)을 친환경 방식으로 분해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연세대는 7일 김병수 연세대 화학과 연구팀이 PVC를 무독성, 수용성 물질로 분해하는 기술을 ... ...
[주말N수학] 피타고라스 정리 증명법만 400개...끊임없는 증명 도전 이유
수학동아
l
2023.07.01
수학동아 제공 최근 미국 고등학생 두 명이 피타고라스 정리의 새로운 증명법을 발견했다고 해서 화제입니다. 미국 뉴올리언즈 세인트 메리 아카데미(고등학교) 3학년 학생인 켈시 존슨과 니카에아 잭슨이 3월 18일 미국수학학회에서 관련 내용을 발표했다고 여러 매체에서 보도했어요. 그러자 미셸 ... ...
의사 76% "은퇴 후에도 진료하겠다"...7월부터 '시니어 의사' 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3.06.28
의사 인력 부족 문제가 불거지자, 대한의사협회는 퇴직 의사를 적극 활용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사진=IM3_vs1/게티이미지뱅크 우리나라는 2025년 노인 인구가 전체 인구의 20%를 넘는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예정이다. 고령 환자가 증가할 것에 대비, 의사 수를 늘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러시아 원정 실패 이유는 '발진티푸스'...나폴레옹의 전쟁(4)
2023.06.27
‘오이디푸스(스핑크스의 수수께끼를 푼 테베 왕) 또는 이집트에서의 보나파르트 장군.’ 장 레옹 제롬 그림. 위키미디어 제공 ● 나폴레옹이 러시아 원정을 계획하게 한 원인제공자 넬슨 프랑스가 자랑하는 루브르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수많은 이집트 자료는 이집트 원정을 간 군인들이 훔쳐 온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내가 틀릴 수 있다' 인정 못하는 이유
2023.06.24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생각이나 의견이 옳을 거라는 과도한 확신을 갖는다. 다른 사람들은 뭘 잘 모르고 종종 틀린 말을 하지만 어째서인지 자신은 뭘 모르거나 틀렸을 리 없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여기에도 개인차가 존재해서 무조건 자기 생각이 맞다고 우기는 사람들이 ... ...
노벨상 수상자 등 석학 25인 한국 찾아 '미래 교육' 논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6.21
유욱준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원장이 21일 서울 광화문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오는 9월 개최되는 '노벨프라이즈 다이얼로그 서울 2023' 행사를 소개하고 있다. 박정연 기자 hesse@donga.com 오는 9월, 노벨상 수상자 4인이 한국의 대중들과 함께 ‘미래 교육’을 주제로 열띤 토론을 펼친다. 유욱준 한국 ... ...
연구용 원자로 ‘하나로’ 이용해 미세먼지 촘촘히 측정하는 인증표준물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6.20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미세먼지 속 크롬, 코발트 등 기존에는 분석이 어려웠던 유해 성분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인증표준물질을 개발했다. 다양한 유해 성분 측정을 통해 앞으로 미세먼지 관리가 더욱 촘촘해질 전망이다. 인증표준물질은 측정표준국제상호인정협약(CIPM MRA)에 ... ...
뇌세포로 만든 '바이오컴퓨터'가 게임도 했다
과학동아
l
2023.06.17
과학동아 제공 살아있는 뇌세포를 전자 기기와 연결해 만든 컴퓨터에 관해 들어본 적 있는가. 악몽이나 디스토피아 SF소설에 나올 법한 이야기라고? 그렇지 않다. 작년에 실제로 발표된 연구 내용이다. 과연 뇌세포가 미래 컴퓨터의 재료가 될 수 있을까. 인공지능(AI)을 넘어 앞으로는 뇌세포를 이 ... ...
[주말N수학] 신약 개발도 우주에서...미세중력의 마법
수학동아
l
2023.06.10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상상 속 우주정거장이 도는 이유는 미세중력 때문 SF소설이나 영화에 등장하는 우주정거장은 대개 커다란 수레바퀴 모양이다. 그 이유는 중력을 인공적으로 발생시키는 가장 간단한 방법이 회전에 의한 ‘원심력’이기 때문이다. 인간은 미세중력이라 통칭하는 무중력이 ... ...
책상엔 샤프와 모래시계, 노트...허준이 "매일 점심엔 같은 메뉴만 먹어"
2023.06.09
연구실 칠판 앞에 선 허 교수. 칠판 중앙엔 9세 아들 허단이 직접 쓴 글자 WELCOME과 왼쪽 하단엔 2세 아들 허솔이 그린 낙서가 보인다. 사진작가 차윤교 촬영 지난해 7월 5일 한국계 수학자 최초로 ‘수학계 노벨상’인 필즈상을 수상한 허준이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40·한국 고등과학원 석학교수)의 연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