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착
달성
성취
스페셜
"
도달
"(으)로 총 543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상 최초 민간인 우주여행 시승객은 베스 모제스
동아사이언스
l
2019.02.24
를 실어 우주로 보냈다. 고도 15㎞서 분리된 뒤 음속의 3배(마하3) 속도로 고도 90㎞까지
도달
했다가 지상으로 귀환했다. 첫 번째 유인 시험비행에서보다 7㎞나 더 높이 올라갔다. 버진갤럭틱은 6인용 우주선인 스페이스십2에 승객을 태우고 우주 경계선인 고도 80㎞ 까지 올라가 몇 분간 무중력 ... ...
[강석기의 과학카페]홍역은 어떻게 면역 기억상실을 일으킬까
2019.01.29
림프절에서 다시 증식한 뒤 혈관을 타고 전신으로 퍼진다. 이 가운데 피부세포에
도달
한 바이러스가 증식하면서 좁쌀 같은 발진이 피부를 뒤덮는다. ‘홍역(紅疫)’이라고 부르는 이유다. 한편 면역세포를 타고 림프관을 돌던 바이러스는 호흡기의 상피세포에 침투한다. 2011년 ‘네이처’에 ... ...
[Science토크]'저장시설 포화까지 2년' 답 못찾는 사용후핵연료 처리
동아사이언스
l
2019.01.27
때문에 임시 건식저장시설(맥스터)을 지었는데 이 맥스터가 2021년 사실상 포화상태에
도달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내달 중에 출범할 것으로 보이는 사용후핵연료 등 고준위 방폐물 재검토 위원회가 가장 시급하게 논의해야 하는 사안이 바로 임시저장시설 추가다. 이와 관련 엄재식 원안위 ... ...
민간 우주여행 속도 내는 스페이스X, '크루 드래건' 발사 앞두고 탑승시설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9.01.10
점화를 통해 상공 100㎞까지 날아간다. 지난달 13일 두 명의 우주인을 싣고 상공 82.7㎞까지
도달
하며 비행 시험에 성공했다. 두 기업은 현재 우주여행 상품도 팔고 있다. 우주개발에 뛰어든 아시아 국가들도 유인 우주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 3일 달 탐사선 ‘창어 4호’의 성공적인 달 ... ...
보이저2호, 41년 날아 인터스텔라로 진입
동아사이언스
l
2018.12.11
AU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보이저2호가 비행을 계속해 오르트구름의 안쪽 끝에
도달
하는데 300년, 이를 완전히 벗어나는 데는 3만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NASA에서 보이저 프로젝트를 담당하는 과학자인 에드 스톤은 “태양권계면 너머에 존재하는 심우주 지역에 대해 아직 모르는 게 ... ...
발사 관계자들이 전하는 누리호 엔진 시험발사 의미
동아사이언스
l
2018.11.29
비행을 모니터링하는 사람이 세 분인데 그 분들만 데이터를 볼 수 있다. 최고 고도
도달
했을 때 비로소 제대로 되는구나 판단했지만 끝날 때까지 끝나는게 아니었다. 떨어질 때도 끝까지 봐야되니까 통제실 내부 분위기는 끝까지 차분하고 조용했다.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오신 ... ...
75t급 액체엔진 시험발사체 발사 순간 동영상
동아사이언스
l
2018.11.28
이번 시험발사체 발사에서 연소시간으로 성공 여부를 가리기로 했다. 최대
도달
고도는 평가하지 않는다. 누리호는 한국이 독자적으로 개발하는 첫 우주발사체로 지구저궤도에 1.5t급 실용위성을 쏘아 올릴 수 있는 3단형 발사체다. 2010년부터 2022년까지 총 1조9572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개발 ... ...
시험비행 나선 첫 국산 우주로켓 엔진 성능은?
동아사이언스
l
2018.11.28
엔진 연소를 종료한다. 164초 후에 고도 100㎞에
도달
해 313초 후에 최대 고도 약 200km에
도달
한 후 낙하한다. 이륙 643초 후 지상거리 약 306㎞인 제주도와 일본 오키나와 사이 공해상에 떨어진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시험발사체의 연소시간이 136.86~150.14초를 채워야 정상적으로 기능이 발휘된 것으로 ... ...
[강석기 과학카페] 한때 언어 유전자로 불렸던 FOXP2 이야기
2018.09.11
는 상징과 수화를 통해 사람과 꽤 원활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반면 이런 수준에
도달
한 침팬지는 없다. -사진 제공 위키피디아 2002년 역시 ‘네이처’에 FOXP2와 관련된 놀라운 연구결과가 실렸다. 포유동물의 FOXP2 단백질 아미노산 서열을 비교한 결과 약 7000만 년 전 공통조상에서 갈라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잃어버린 물질을 찾아서
2018.07.03
빛이 따뜻한 WHIM을 통과하며 산소 이온(O+6)의 전자가 자외선을 흡수한 뒤 지구에
도달
한 스펙트럼을 분석해 따뜻한 WHIM에 분포하는 가시 물질의 양이 전체의 15% 내외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 값을 기존에 알려진 물질의 양(별, 차가운 기체 등)과 합친 게 추정치의 60% 수준이다. 연구자들은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