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최대량
최고
스페셜
"
최대
"(으)로 총 1,936건 검색되었습니다.
"올 겨울 하루 확진자
최대
1만명 예측 나와"…"사태 끝나도 수십년간 재유행"
동아사이언스
l
2021.11.30
40% 감소하는 '평균적인 시나리오'도 소개했다. 내년 여름~늦가을까지 신규 확진자가
최대
2만5000명 늘어난다는 것이다. 이 시나리오대로라면 향후 1년~1년 반 안에 코로나19 대유행이 끝난다. 정 교수는 "이 시나리오만 유지해도 의료체계의 한계를 넘어서지 않을 만큼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 ...
[과학게시판]2021 과학치안발전포럼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1.30
운영한다고 밝혔다. 국내 전기차 충전 표준 타입을 기본 충전방식으로 채택했으며
최대
260kW까지 초고속 충전이 가능한 충전기 4기와 100kW 급속 충전기 2기 등 총 6기로 운영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24일부터 26일까지 ‘2021 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 연합 해커톤’을 개최했다고 29일 밝혔다. ... ...
단계적 일상회복 이후 4주간 위험도 전국·수도권 '매우 높음'
동아사이언스
l
2021.11.29
하루 확진자 수는 24일 4087명으로 최다를 기록했고 사망자 수도 27일 52명으로 역대
최대
치를 기록했다. 주간 평균 확진자는 10월 넷째 주 1716명에서 11월 넷째 주 3502명으로 두배 이상 올랐다. 신규 위중증 환자도 10월 넷째 주 212명에서 11월 넷째 주 477명으로 2배 이상 올랐다. 주간 사망자 수도 같은 ... ...
[전문가 진단]"오미크론 변이 에이즈 섞여도 위험 없어…델타 변이 다음 대유행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21.11.29
커졌다는 얘기다. 김 교수는 "오미크론 변이는 이 부분에 변이가 2개나 있어 전파력이
최대
5배나 커질 것으로 전망하기도 한다"고 말했다. 코로나19에 감염된 에이즈 환자가 오랫동안 앓으면서 이같은 변이가 만들어졌다는 이야기가 전해지자 일각에서는 에이즈 원인인 HIV 바이러스와 섞인 게 ... ...
[매드사이언티스트2021] 첨단기술이 무기 패러다임 바꾼다
2021.11.26
있다. 미 육군은 올해 4월 마이크로소프트와 AR 고글 ‘홀로렌즈2’ 12만 대를 구매하는
최대
219억 달러(25조 9834억 원) 규모의 계약을 맺었다. 미 육군은 훈련시 가상의 적을 등장시키거나 전투중 피아 식별 표지가 가능한 홀로렌즈를 2016년부터 도입했다. 병사들에게 전장 정보를 추가로 제공하고, ... ...
날씨 예측으로 탄소 배출 줄일 바닷길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25
이번에 독자적인 최적항로 서비스를 개발했다. 기상청은 항로에 따라 선박의 연료비를
최대
5~8%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미주 노선을 항해하는 1만3000TEU(1TEU는 20피트짜리 컨테이너 1대분)급 컨테이너선 기준으로 연료를 5% 절감하면 연간 연료 약 6만t를 아낄 수 있다. 비용으로 ... ...
[매드사이언티스트2021] 미군은 왜 AR과 디지털 트윈을 도입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1.11.25
육군은 올해 4월 마이크로소프트의 증강현실(AR) 고글 ‘홀로렌즈2’ 12만 대를 납품받는
최대
219억 달러(25조 9834억 원) 규모의 계약을 발표했다. 미 육군과 마이크로소프트는 2016년 홀로렌즈를 활용한 통합 비주얼 증강 시스템(IVAS)을 개발해 왔다. 2018년부터 시연을 거쳐 2020년 활용이 가능하다는 ... ...
[랩큐멘터리]단 2g만으로 운동장 덮는 물질로 신소재 혁명 꿈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24
무게가 1그램(g)에 불과하지만 이 물질의 표면적은
최대
5000㎡에 달한다. 2g만으로도 왠만한 운동장을 다 덮고도 남을 만큼 표면적이 상당하다. 바로 다공성 금속유기구조체(Metal-organic Framework·MOF)가 주인공이다. 다공성 MOF에는 미세한 구멍이 수도 없이 많아 이를 모두 펼치면 표면적이 상상을 초월할 ... ...
[표지로 읽는 과학]
최대
깊이 500km 이르는 목성의 거대 폭풍
동아사이언스
l
2021.11.21
사이언스 제공. 제우스(목성)를 감시하기 위해 떠난 헤라(주노)의 보고서가 속속 도착하고 있다.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19일에 발간한 374호 표지로 목성 탐사 위성 ‘주노’가 촬영한 목성 대기의 광학이미지를 실었다. 목성 대기를 구성하는 수증기, 암모니아, 황화수소암모늄의 구성 비율 ... ...
우주 기원 찾는 새 추적자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다음달 우주로
동아사이언스
l
2021.11.19
달려 있다. 이 카메라는 목성의 달에 있는 촛불을 감지할 수 있을 만큼 민감하다.
최대
1000광년(1광년은 약 9조5000억km) 거리에 있는 행성에서 산소 분자를 확인할 수 있는 성능으로 제2의 지구도 탐색한다. 지구상에 설치된 천문대나 허블우주망원경으로는 불가능했던 관측이다. 천문학계는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