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위치
소재지
공간
자리
현장
집
d라이브러리
"
곳
"(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시사] 돌아온 백설공주 수학을 알았더라면?
수학동아
l
2012년 05호
4차원 구 사이에 같은 크기의 또 다른 4차원 구가 존재하는 공간을 상상할 수 있다면, 그
곳
이 바로 수학에서 정의하는 4차원 공간이다. 왕비가 모르는 거울의 비밀동화 대 영화왕비와 거울 사이의 관계는 여전히 냉랭하기만 하다. 왕비는 늘 자신의 편이 돼 주길 바라지만, 사정이 여의치 않다. ... ...
쏠라 포스! 해를 품은 에너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위해서 연구를 계속 하고 있다. 햇빛을 찾아 어디든 간다태양광 발전은 햇빛이 강한
곳
이라면 어디든 가리지 않고 가능하다. 적도 부근이나 사막 지역은 비가 적게 오고 햇빛이 강하기에 태양광 발전소를 설치하기 좋다. 2011년 8월 경남 합천에 있는 합천호에는 특별한 태양광 발전소가 세워졌다. ... ...
침몰 100주년, 수학으로 다시 보는 타이타닉
수학동아
l
2012년 04호
바꾸는 것.*타 : 배의 방향을 조종하는 장치 배는 어떻게 중심을 잡지?우당탕! 배의 모든
곳
이 흔들리기 시작했다. 사고가 일어난지 10분, 벌써 4m나 물이 차올랐다. 빙산과의 충돌로 배옆면이 90m 가량 찢어졌기 때문이다.승객들은 차오르는 물을 피해 갑판으로 모여들었다. 배는 점점 한쪽으로 기울기 ... ...
Part3. 독과 해독제의 뜨거운 전쟁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심장이 빨리 뛴다. 아트로핀은 아세틸콜린 수용체(무스카린성 수용체)와 미리 결합해 이
곳
으로 가는 신호를 차단해 몸을 지킨다.해독제에 넣는 또다른 물질이 옥심이다. 이는 아세틸콜린분해효소에서 신경가스를 떼어내고 자신이 대신 결합한다. 옥심이 신경가스보다 효소에 더 잘 달라붙기 ... ...
Part2. 2012 세상을 바꿀 빅데이터 5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열렸기 때문이다. 이 과정을 숨죽이고 바라본
곳
중 하나가 바로 트위터 본사다. 이
곳
의 ‘정부 및 정치’ 팀은 올해 초부터 경선 직전까지 후보의 이름을 언급한 트위터 문장을 실시간으로 모아 그 양을 시간대별 그래프로 그렸다. 이름이 언급된 문장은 많을 땐 한 사람당 하루 31만 건이 넘었다.더 ... ...
7T MRI로 더 선명하게, 더 깊게 본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위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전파를 정확히 측정하면 신체 어느
곳
에서 발생한 수소핵인지 알아낼 수 있다. 하지만 공명하는 물분자의 신호를 빠르게 분석할 수 없어 로터버 교수의 영상은 신체 장기를 국소적이고 희미하게 보는 것에 만족해야했다. 영국 노팅엄대 물리학과 ... ...
빙하시대가 주선한 고대 인류 만남의 장소, ‘레퓨지아’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환경 조건때문에 각지에 흩어져 있던 다양한 고대 인류들이 '레퓨지아'라고 부르는
곳
에서 만날 수 있었다는 것이다. 덕분에 일어난 진화적 변화로 인간이 범지구적인 종이 될 수 있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인간(호모 사피엔스)과 달리 네안테르탈인과 데니소바인은 멸종했다 ... ...
Part1. 초호화 여객선 타이타닉은 왜 침몰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주장하는 측은 유물을 인양해서 보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반대로 타이타닉이 가라앉은
곳
을 일종의 무덤으로써 놓아두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양측 모두 타이타닉 본체를 인양하는 데는 부정적이다. 당분간 타이타닉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기는 어려울 듯하다. 인류 역사상 가장 ... ...
우주망원경 총정리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더욱 선명한 영상을 보여줄 것이다. 우주비행 기술이 더욱 발달한다면 달의 뒷면 같은
곳
에 거대한 망원경이 있는 천문대를 지을 수도 있다. 그런 날이 오면 천문학자들 스스로 망원경을 따라 우주로 나가지 못해 안달이 아닐까 ... ...
바다 이구아나, 새 신부를 유혹하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펭귄이 그 자리를 차지했을지도 모른다.[바위 틈에 들어가 먹이감을 찾고 있는 곰치. 이
곳
에는 특히 해삼이 많이 잡혀 우리가 먹는 해삼 중에도 갈라파고스산이 있을지 모른다.][에코오션 단원들이 갈라파고스 바다밑에서 다이빙을 하며 해저 생물을 관찰하고 있다.]갈라파고스 거북아, 잘 ... ...
이전
446
447
448
449
450
451
452
453
4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