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로
길거리
거리
가로
노선
항로
경로
d라이브러리
"
길
"(으)로 총 5,256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 식물 5백가지를 바르게 안다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예의 신종병에 걸려 황홀한 순간을 보낸 후 집에 와서 문헌을 찾았으나 유사한 것을 찾을
길
이 없었어요. 이화여대 이영노 교수도 신종일 거라며 기뻐하셨는데, 외국의 문헌을 조사한 결과 1926년 소련의 식물학자 코마로프가 만주에서 발견한 꽃이라고 기록돼 있더군요. 또 백운란은 그 개체가 매우 ... ...
좋은 천체망원경을 고르려면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어설프게 알아 초점거리가 아주 짧은 접안렌즈를 사용하든가, 대물렌즈의 초점거리를
길
게 해주는 바로우 렌즈(Barlow lens)등을 이용하면 얼마든지 배율을 늘려서 고배율로 관측할 수 있다고 착각하는 경우도 있다.그러나 배율에는 한계가 있다. 초점거리가 짧은 접안렌즈를 쓰거나 부가장치를 쓰면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붙어 있다.수확장치의 구조는 매우 간단하다. 물통과 체가 전부다. 이 두 도구는
길
이 7.5m의 작은 배에 실리게 되는데 배가 앞으로 나아갈 때 물통속으로 바닷물이 들어온다. 이 물은 직경 63㎛인 가는 체에 의해 걸러진다. 1초당 2백ℓ의 물이 여과되는데 그 정도의 여과속도라면 동물성 플랑크톤은 ... ...
물과 빛으로 쇠를 자른다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수천기압의 고압발생이 필수적인데 1970년대의 고압발생기술 발전의 덕택으로 실용화의
길
을 걷게 되었다.워터제트절단은 고속의 물줄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종래의 절단기술과는 다른 여러가지 장점을 지니게 된다. 특히 절단면의 열적 변형이 없고, 분진 및 가스발생 등의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다. ... ...
장회익·모혜정 부부교수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물리학과에 여학생 합격자가 꽤 많다. 반도체 컴퓨터분야 등 졸업후 진출할 수 있는
길
이 다방면에 열려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1960년대에 여성이 물리학과의 문을 두드리려면 상당한 용기가 필요했다. 당시 이화여대 물리학과의 경우 정원이 20명(현재는 80명)이었는데 모교수와 함께 졸업한 사람은 ... ...
롤러코스터의 하이테크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합한 것이다.롤러코스터 설계자들은 이 마찰력을 최소화하는데 골몰하고 있지만 선로가
길
경우 수많은 바퀴가 달려있기 때문에 열차가 앞으로 힘있게 나아가는데 있어 적지않은 방해요인이 될 수 있다. 바람에 의한 항력은 열차속도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열차의 속도가 2배 빨라지면 항력은 4배나 ... ...
1. 역사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10회전한 후 무사히 귀환했다. 이러한 우주개의 우주비행을 통해 인간이 우주비행에서 생
길
수 있는 문제점을 찾아내고 개량해 인간이 탑승할 수 있는 우주선 보스토크(Vostok)를 제작할 수 있었다.마침내 1961년 4월 12일, 세계 최초의 유인우주선인 보스토크 1호가 유리 가가린(Yuri Gagarin)을 태우고 ... ...
지구외 또다른 생명체 존재 가능성 높다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컴퓨터가 얼마 없었으므로 일일히 수작업으로 자료를 뽑았어요. 매일 거의 1백ft 가량의
길
이로 차트를 작성했었어요.하지만 데이터는 완전한 것이 아니었어요. 엉성하고 들쭉날쭉해서 도저히 펄사라고는 상상할 수도 없었어요. 하지만 인위적으로 조작된 것도 아니었죠. 그것은 분명히 규칙적인 ... ...
동물계통분류학 대이은 김훈수·김원 부자교수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느끼고 있습니다."부친의 영향으로 전공을 정한 그는 자식이 원한다면 모르되 꼭 자신의
길
을 뒤따르게 할 욕심은 없다고 한다. 부인 구혜영씨도 그와 함께 같은 학교에서 유학생활을 했는데, 신경생물학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같은 과에서 강사로 강단에 서고 있다.김훈수 교수는 요즘 연세대 ... ...
카메라 렌즈 통해 조물주의 오묘한 섭리 느껴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4년 남짓 폭포사진을 찍었으나 웬지 성에 차지 않았다. 이때 폭포를 찾아 오르내리는 산
길
에서 눈에 띄는 꽃들이 자꾸 카메라 셔텨를 누르게 했다."폭포보다 꽃들이 숫자가 많으니까 자주 눈에 띌 수밖에 없었지요. 새로 보는 꽃들을 한두 장씩 찍다가 79년 처음 해외여행을 나갔을 때 꽃사진을 ... ...
이전
446
447
448
449
450
451
452
453
4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