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쇼킹 사이언스]눈이 두루마리처럼 둘둘~!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않고, 너무 세면 눈이 바람에 날아가 버리기 때문이지요. 실제로 가장 먼저 구르기 시작한 맨 안쪽 눈은 층이 얇고 서로 붙어 있는 힘이 약해서 바람에 쉽게 날아가 버려요. 그래서 도넛 모양이 되기 쉽죠.마지막으로 두루마리 눈이 잘 만들어지기 위해Brenda Armstrong(W)선 0~1℃ 정도의 기온이 유지돼야 ... ...
- 세뱃돈이 사라진다?! 미래의 돈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받을 수 있어요.지난 12월부터 시중은행에서도 ‘비대면 비접촉 뱅킹 서비스’를 시작했어요. 은행 창구에 가서 사람을 마주치지 않고도, 은행 업무를 볼 수 있다는 말이에요.이런 일이 가능한 건 지금이 ‘빅 데이터’ 시대이기 때문이에요. SNS와 스마트폰이 등장하며 온라인 상에 개인에 대한 ... ...
- [가상 인터뷰]킬리피시가 빨리 죽는 건 유전자 때문?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다시 연못에 물이 차오르면 바짝 말라 있던 알에서 킬리피시의 새끼들이 태어나기 시작해요.닥터 그랜마▶건기 직전에 알을 낳으려면 무척 바쁘겠는걸?킬리피시▶6~8개월 정도의 긴 건기가 끝나고 나면 연못에 물이 고이는 우기는 불과 4~6개월밖에 되지 않아요. 이 시간 안에 알을 낳을 수 있는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로봇이 알아서 척척! 사물 인터넷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완성됐지요.“선생님! 명령어는 어떻게 입력하는 건가요?”프로그램을 만드는 단계가 시작되자 기자단 친구들의 질문이 많아졌어요. 기자단 친구들은 로보티즈가 제작한 앱을 이용해 스마트폰으로 간단하게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었답니다. 프로그래밍 경험이 있는 조부민 기자는 능숙하게 ... ...
- [특별 인터뷰]미생물 영재, 윤관우 기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됐답니다.”그 뒤로 윤관우 기자는 주변의 생물과 온갖 사물들을 현미경으로 관찰하기 시작했어요. 그러다 보니 더 좋은 현미경을 갖고 싶다는 생각도 들게 됐지요. 용돈을 모으고 아빠의 도움도 받아 몇 개의 현미경을 구입할 수 있게 됐답니다.그렇게 현미경에 푹 빠져 지내다가 우연히 작년에 ... ...
- [비주얼 과학교과서]'신풍초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열려.”“진짜? 신기하네! 그럼 어디 보자….”시원이는 요리조리 교문을 둘러보기 시작했어요. 일단 교문은 그 크기가 엄청났어요. 거대한 석상처럼 돌로 만들어진 교문에는 웬 그림들이 새겨져 있었지요.“물, 불, 바람…, 그리고 원자 모형인가?”비주얼 과학 개념 이해하기물질을 이루는 ... ...
- [지식]SHERLOCK열혈 팬, 천재 수학자를 만들다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있다. 퀸즈 칼리지가 1849년에 문을 열었고, 모리아티가 늦어도 18세엔 이 학교에 다니기 시작했을 거라고 생각하면 그가 1930년 이후에 태어났다는 걸알 수 있다.조지 불은 모리아티가 1840년 즈음에 태어났다는 사실을 뒷받침하는 데 핵심 역할을 한다. 모리아티가 교수가 된 나이(21세)와 불의 사망 ... ...
- [수학동아클리닉]사라진 어진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6년 01호
- 6·25전쟁때는 부산의 한 창고에서 보관했습니다. 그리고 1954년 12월 10일, 용두산에서 시작된 불이 이 창고까지 퍼졌습니다. 이 화재로 불에 타 없어진 어진은 약 40여 점으로 추정됩니다. 창고의 열쇠를 누가 가지고 있는지 몰라 어진을 빼낼 수 없었다고 당시 신문이 전하고 있습니다. 이곳에 있던 것 ... ...
- [Knowledge] 마치 누군가 설계한 듯한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충성 같은 다양한 주제들을 잘 설명하는지 알게 될 것이다. 그 첫걸음을 아쿠아리움에서 시작하자.풀잎 해룡을 찾아라!얼마 전 롯데월드몰 아쿠아리움을 7살 난 아들과 함께 방문했다. 깊고 드넓은 해양 생태계의 경이로움을 아이가 직접 체험하게 해주려는 의도는…, 별로 없었다. 아쿠아리움 ... ...
- Part 4. 그들은 더 완벽한 우주이론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중단된 KEKB는 2018년 재가동을 목표로 현재 가속기와 검출기 개선 작업을 하고 있다. 새로 시작될 벨II(BelleII) 실험에서는 본격적으로 표준모형을 넘어선 새로운 물리학의 실마리를 파고들 계획이다. 벨II 실험 계획 수립에 참여하고 있는 권영준 연세대 물리학과 교수는 “표준모형에는 6가지 쿼크와 ... ...
이전4464474484494504514524534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