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d라이브러리
"
100
"(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퍼즐처럼 연결된 초분자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그리고 이들을 서로 이어줄 분자를 용액에 녹이고 자외선을 쪼였다. 그러자 지름이
100
nm 정도인 고분자 나노캡슐이 자기조립되는 현상이 나타났다.아직 어떤 과정을 거쳐 나노캡슐이 형성되는지는 확실치 않지만 원판형의 분자들이 중합반응으로 측면끼리 이어져 2차원의 고분자 조각이 생성되고, ... ...
파일럿이 두려워하는 메가번개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붉은 스프라이트라고 추정됐다.스프라이트나 블루 제트와는 또 다른 종류도 있다. 고도
100
km에 수평으로 나타나는 메가번개다.1990년 10월 7일 우주왕복선 디스커버리가 남아메리카 프랑스령 기아나 상공을 지나갈 때 TV카메라로 대서양해안 북서쪽에 있는 거대한 폭풍을 촬영했는데, 이 비디오에서 ... ...
까칠까칠 황사 탐험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저기압이 발생해 평소보다 훨씬 많은 흙먼지를 끌어올렸어요. 그 결과 우리나라에서는
100
년 만에 최악의 황사로 임시 휴교령까지 내렸답니다.황사가 일어나는 과정➊ 건조한 먼지(모래) 알갱이들이 많이 굴러다닌다.➋ 강풍이 불면 조금씩 위로 솟아오른다.➌ 강한 햇볕으로 땅이 데워져 대기가 ... ...
왜 같은 사건도 다르게 기억할까?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효율적으로 특정 상황에 맞는 추론을 할 수 있다는 것이 로디거 교수의 주장이다.기억은
100
% 신뢰할 것은 못되지만 기억이 있기 때문에 인간이 그럭저럭 환경에 적응하며 잘 살 수 있으니 무시해서는 안 된다. 오히려 믿지 못할 기억을 효과적으로 쓰기 위해 소중히 다뤄야 할 것이다 ... ...
PART2 기후 백년지대계(百年之大計)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8할이 뜨거운 바다였다.”부경대 대기과학과 오재호 교수는 2003년 발생했던 태풍 매미가 2
100
년 한반도에 상륙한다고 가정하고 태풍의 강도를 예측했다. 해수면 온도를 제외한 다른 조건을 모두 동일하게 유지했더니 뜨거운 바다에서 태어난 미래의 태풍은 동해안을 빠져나가면서도 세력이 약해지지 ... ...
과학으로 본 오리, 펭귄, 사람의 걸음걸이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펭귄은 오리보다 무게 중심이 높아 더 많이 뒤뚱거리고 불편해보이지만 번식을 위해
100
km 이상을 걸어도 별 문제가 없다. 펭귄의 걸음걸이도 체형에 딱맞은 동작이다.하지만 펭귄의 걸음걸이는 균형은 잡을 수 있을지 몰라도 무게중심을 일정하게 이동시킬 수 없다. 오른발을 내밀 때는 몸통을 ... ...
10만원짜리 노트북 나온다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생산량을 5000만대로 늘리고 가격도
100
달러 이하로 낮춘다는 목표다.
100
달러 노트북이란?
100
달러 노트북 사업은 저개발국가의 어린이들에게 저렴한 노트북을 나눠줘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자는 취지에서 출발했다. 이 사업은 미국 MIT 미디어연구소장인 니콜라스 네그로폰테 교수가 이끄는 OLPC ... ...
수돗물의 투명한 표준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변화나 독성 증상, 생존일수, 사망률을 검토해 최대안정량을 구한다. 여기에 안전계수(
100
분의 1)를 곱하면 ADI를 얻을 수 있다. 만약 독성에 대한 자료가 부족할 때는 불확실성계수(10분의 1)를 안전계수에 추가적으로 곱한다.예를 들어 2ppm 농도의 안티몬을 실험용 쥐에게 장기간 먹였을 때 아무 증상이 ... ...
다섯번째 우주여행객은 억만장자 프로그래머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않고, 복잡한 양상을 띨 수 있다 예를 들면 y=1/x²이라는 방정식에서 x=01일 때 y값은
100
이지만, x=011일 때 y값은 8264이다 만약 x값을 소수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했다면 y값이 무려 1735나 달라지게 된다 이런 일이 여러 번 계속된다면 y값은 전혀 다른 값을 갖게 된다 이처럼 비선형 항에 의해 변수 값의 ... ...
PART1 지구의 미래가 녹고 있다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면적의 6배가 넘는 해빙이 녹아 사라졌다. 원인은 지구온난화. 북극의 평균 기온은 지난
100
년 동안 전 지구의 기온 상승률보다 2배나 더 빠르게 올라갔다.대양대순환의 원리북극 주변의 차갑고 짭짤한 물은 밀도가 커 아래로 가라앉으며(01) 적도의 뜨거운 해류인 멕시코만류(02)를 북대서양까지 ... ...
이전
446
447
448
449
450
451
452
453
4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