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반
기본
토대
근본
근거
터전
밑바탕
뉴스
"
기초
"(으)로 총 4,847건 검색되었습니다.
‘진주 운석 나이=태양계 나이’ 공식 확인
2014.11.18
나이가 처음으로 확인됐다. 최변각 서울대 지구과학교육과 교수는 이달 20~21일 한국
기초
과학지원연구원(KBSI)이 개최하는 ‘제3회 분석과학국제컨퍼런스’에서 ‘마이크로 분석을 통한 태양계 연구’라는 제목의 기조강연을 통해 진주 운석의 나이가 45억9700만~44억8500만 년이라는 연구 ... ...
국가 R&D 혁신 통해 사업화 해법 찾는다
2014.11.14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진 토론회에서 서경학 한국연구재단 융합기술분야 단장도 “
기초
, 원천, 응용, 사업화 과제를 독립적으로 선정한 탓에 연결고리가 끊어진 것이 문제”라고 덧붙였다. 이처럼 국가 R&D 예산이 양적으로 늘고 있지만 사업화와 같은 질적 수준은 기대에 미치지 못한 이유에 ... ...
UNIST, 5년 만에 ‘대학의 기적’ 이룬 이유 살펴보니
2014.11.10
유전체 보전 연구단장을 맡아 연구를 이끈다. 최근 국내에서 IBS 단장 배출 수로 대학의
기초
과학 연구 수준을 가늠하는 분위기가 있는 만큼 UNIST가 단기간에 3명을 배출한 건 ‘기적’에 가깝다. 국내 최고 이공계 명문대로 꼽히는 서울대, KAIST, 포스텍도 IBS 단장을 각각 4명씩 배출한 정도다. ... ...
한국한의학연구원 신임 원장에 이혜정 경희대 교수
2014.11.07
정부출연연구소인 한국한의학연구원 신임 원장에 이혜정 경희대 동서의학대학원
기초
한의과학과 교수(60)를 선임했다. 이 신임 원장은 경희대 한의학과를 졸업한 뒤 동 대학원에서 침구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최근 15년간 350여 편의 논문을 국내외 학술지에 발표하는 등 활발한 연구 활동을 ... ...
막나가는 세포분열 막는 새 ‘브레이크’ 발견
2014.11.04
변하는 이유 중 하나는 세포의 번식을 제한하는 제동장치의 고장이다. 김빛내리
기초
과학연구원(IBS) RNA연구단장이 이끄는 연구팀은 인간의 체세포 분열이 고장나지 않도록 조절하는 새로운 장치를 발견하고 ‘셀’의 자매지 ‘셀 리포트’ 6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바이러스에 ... ...
태양빛으로 물 깨끗하게~
2014.10.26
정렬되 있다(b). 나노튜브를 확대하니(c) 거친 표면과 빈 공간 많아 표면적이 넓다(d). -
기초
과학지원연구원 제공 특히 연구진은 새로 만든 촉매로 오염물을 분해하는 실험과 함께 정화한 물이 살아있는 세포에 안전한지도 추가로 확인했다. 색깔을 띠는 화학 염료를 물에 섞은 뒤 분해 능력을 ... ...
작은 대학 도시가 일으킨 ‘스웨덴 성공 스토리’
2014.10.24
유사하다. 용홍택 미래부 연구공동체정책관은 “국내에서 시도하는 첫 도심연구소 격인
기초
과학연구원(IBS)은 2017년 완공되고, 핵심 연구시설인 중이온가속기도 2019년 1차 완공된다”며 “룬드가 SVS를 통해 과학도시라는 타이틀을 얻은 것처럼 대전도 과학비즈니스벨트를 통해 한 단계 향상된 ... ...
스트레스와 우울증 관계 처음 밝혀졌다
2014.10.22
하지만 치료제를 투여하면 뇌에서 스트레스 회복 반응이 활발하게 일어난다(아래). - 한국
기초
과학지원연구원(KBSI) 제공 허송욱 박사는 “지금까지 확인할 수 없었던 우울증 회복 과정을 바이오 마커로 확인한 최초의 연구 결과”라며 “이 결과를 활용하면 사람마다 제각각인 스트레스 회복력을 ... ...
데이비드 코스마이어 NASA 에임스연구소 국장
2014.10.21
비롯한 정부출연연구원은 정부가 바라는 새로운 기술과 상업적인 활용을 가능하게 할
기초
과학과 기술개발 연구에 힘써야 한다. 현재 오바마 정부는 새로운 디자인과 시스템 등 제조업에 기반한 새로운 기술을 원하고 있다. 에임스연구소도 여기 발맞춰 새로운 디자인과 기능을 가진 제품의 ... ...
“반도체를 뇌에 꽂자는 아이디어 덕에 노벨상까지 받았네요”
2014.10.21
UCL) 교수가 수상 2주 만에 한국을 찾았다. 그는 20일 서울대에서 열린
기초
과학연구원(IBS)-영국왕립학회 공동 콘퍼런스에 기조연설자로 참석했다. 오키프 교수는 1971년 뇌가 장소를 인지해 다른 장소를 찾아갈 수 있게 만드는 ‘장소세포’를 찾아낸 공로로 올해 노벨상을 거머쥐었다. 당시 상황에 ... ...
이전
446
447
448
449
450
451
452
453
4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