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리광학
광학
물리학
뉴스
"
물리
"(으)로 총 5,296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성연의 SNS 트렌드]성큼 다가온 ‘가상현실’ 시대, SNS에 달아오른다
동아일보
l
2016.01.22
@Am**은 ‘놀라운(amazing) 체험’이라는 글을 올렸다. VR는 컴퓨터가 만들어낸 공간이기에
물리
적인 촉감을 느낄 수 없는 게 단점으로 꼽히기도 했다. 그런데 최근 글로브원(Gloveone) 같은 곳에서는 장갑을 끼고 가상현실 속의 개체들을 직접 만지며 실제 같은 기분을 느낄 수 있는 기술들을 선보였다. ... ...
주기율표에 숨은 과학 선진국들 ‘이름 전쟁’
2016.01.22
Fm)은 세계 최초로 핵분열 연쇄반응 실험을 성공시켜 원자폭탄 제조를 가능하게 만든 ‘핵
물리
학의 아버지’ 엔리코 페르미에서 나왔다. 또 주기율표를 만든 드미트리 멘델레예프의 이름은 101번 멘델레븀(Md)과 노벨상을 제정한 알프레드 노벨은 102번 노벨륨(No)에 남아 있다. 1951년 노벨화학상을 ... ...
고체
물리
한 분야에 일생 걸었던 외곬수 과학자
2016.01.21
좋은 과학자가 될 수 있는데 안주하는 모습도 보이고요.” 그는 “아직도 고체
물리
학에 대해 잘 모르겠다”면서 “나이 50이 되니 겨우 학문의 길이 보이는 것 같으니 젊은 친구들도 긴 시각으로 미래를 봐 줬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10년 후 그의 모습이 궁금해 졌다. 10글자로 자신의 10년 후를 ... ...
영하 196도의 세계를 다스리는 남자
2016.01.20
근본 원리를 탐구하는 일도 재미있을 것이라 생각해요. 지금까지 연구하면서 수학자나
물리
학자가 만들어 놓은 이론을 많이 활용했는데, 제가 그런 근본적인 이론을 만드는 일을 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혹시 염 실장의 꿈을 자녀가 대신해 주지 않을까 하는 마음에 조심스레 질문을 ... ...
긁히거나 늘어난 그래핀, 은(銀)으로 복원한다
2016.01.20
증가했고 소재의 유연성도 61% 향상됐다. 연구팀은 그래핀을 늘이거나 흠집을 내는 등
물리
적으로 손상시킨 경우에도 은을 도금하는 방식으로 원래 수준으로 복원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앞으로 투과도 감소를 줄이기 위해 도금 공정을 최적화 하는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연구에 ... ...
[광화문에서/윤신영] ‘오래된 미래’를 쓰는 SF와 과학 잡지
2016.01.19
2’의 주인공들이 시간여행을 통해 방문한 해였다. 시간여행에 대해 할 말이 많은 이론
물리
학자들은, “주변에서 영화 속 인물과 비슷한 사람이 보이면 반갑게 맞아 달라”며 농담을 했다. 물론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았지만, 그 때문에 상심한 팬은 없었다. 스탠리 큐브릭의 영화 ‘2001 스페이스 ... ...
별 탄생 비밀 풀어낼 ‘우주 적외선 관측자료’ 나왔다
2016.01.18
편광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할 예정이다. 연구결과는 천문학 학술지 ‘천체
물리
학 저널 증보(Astrophysical Journal Supplement Series)’ 8일 자에 게재됐다 ... ...
구리, 2만 도까지 순식간에 가열
2016.01.18
핵융합 에너지 연구 등에 새로운 도구가 될 전망이다. 조병익 광주과학기술원(GIST)
물리
·광과학과 교수팀은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등과 공동으로 극한 상태에서 물질의 성질을 측정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연구팀은 펨토초(1000조 분의 1초) 레이저를 사용해 ... ...
IT 기술로 건강 지키는 ‘융합형’
물리
학자
2016.01.17
함께 있었던 선배와 둘이서 BT와 IT를 융합한 새로운 기술을 연구하기로 했다.
물리
학과 뇌과학을 연구해 왔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지금이야 융합이라는 개념이 흔하지만 당시만 해도 국내에서 바이오 분야에 IT 기술을 접목하는 일은 사실상 처음이었다. 그는 당시 연구과제를 추진하면서 ... ...
[토요기획]美서 이공계 박사 학위 한국인 60% “미국에 남겠다”
동아일보
l
2016.01.16
연구 환경이 더욱 열악하다”고 지적했다. 고려대
물리
학과 출신인 서은숙 메릴랜드대
물리
학과 교수도 “한국의 획일적이고 개성을 존중하지 않는 문화가 과학자들과 맞지 않는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남과 다르게, 남들이 하지 않는 분야를 연구해야 과학적 혁신이 이뤄지는데 한국에서는 이에 ... ...
이전
446
447
448
449
450
451
452
453
4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