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개봉
첫상연
잡종개
스페셜
"
개
"(으)로 총 6,34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게시판]음식물쓰레기 활용 전기 생산 협력사업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3.19
접견실에서 진행된 성금 전달식에는 김장성 한국생명공학연구원장, 양성광 연구
개
발특구진흥재단 이사장, 최희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장 등이 참석했다 ... ...
원전 장점만 가르치던 원자력과에 '안전규제'과목 신설…대중·대일 방사능 감시망 강화
동아사이언스
l
2020.03.19
안전규제 전문가 양성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공모를 통해 선정된 4
개
대학에 강의를
개
설하고 운영비와 교육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원안위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해체될 예정인 고리 1호기의 안전성 심사 세부지침도 정비한다. 현재 원전 해체 관련 시행령과 시행규칙이 정해져 있지만 아직 ... ...
R&D하는 국내 기업 43% 코로나19로 '자금부족'…41% 채용축소 고려
동아사이언스
l
2020.03.19
현황을 조사했다. 조사 기업에는 대기업과 중견기업이 58
개
사, 중소 및 벤처기업이 1432
개
사 포함돼 있었다. 조사 결과 코로나19 사태로 응답기업의 79.8%가 R&D에 부정적 영향을 받았다고 답했다. 가장 큰 영향은 국내외 출장 제한으로 기술세미나 등 R&D 활동에 차질이 빚어진 것이 꼽혔다. 전체 기업의 5 ... ...
이탈리아도 '공격적 검사' 한국 모델로 가나…베네토주 첫 채택(종합)
연합뉴스
l
2020.03.18
주민을 대상으로 무차별적으로 바이러스 검사를 하기로 했다. 주내 주요 사업장에도
개
별적으로 검사소를 두고 직원들을 검사하도록 했다고 루카 차이아 베네토주 주지사는 전했다. 감염 대상에는 무증상자도 포함된다. 광범위한 바이러스 검사를 시행하고 필요할 경우 적극적으로 격리 ... ...
오래 쓰는 나노 마스크 첫 상용화 추진…마스크 부족 해결될까
연합뉴스
l
2020.03.18
생산할 수 있고, 불량제품이 없다면 최대 300만장까지 만들 수 있다. 충남도는 최대 750
개
의 일자리가 생길 것으로 기대했다. 이 업체가 생산하는 제품은 기존 MB필터(멜트브라운 부직포) 마스크가 아닌 나노섬유 마스크다. 최근 카이스트 연구팀이 발표한 나노섬유 마스크 필터와 비슷하다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표정을 보면 감정을 읽을 수 있을까
2020.03.18
할 수 있어야 한다는 말이다. 조만간 가능한 일은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필자소
개
강석기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일했다.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직접 쓴 책으로 《강석기의 과학카페(1~8권)》 ... ...
ETRI, 유연한 전자소자 시제품 제작 대행 서비스 연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18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스킨트로닉스를 위한 감각 입출력 패널 핵심기술
개
발’ 사업을 통해 진행됐다. ETRI 관계자는 “자세한 사항은 가까운 시일 내 공고를 통해 알릴 것”이라고 말했다 ... ...
실리콘밸리의 억만장자들은 왜 핵융합에 투자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3.18
헬리온에너지는 두 플라즈마를 충돌시켜 핵융합을 일으키는 방식을 활용한 융합엔진을
개
발해 2022년 상용화 모델을 출시할 예정이다. 동아사이언스 DB ... ...
한국 진단키트 걸고 넘어지더니…국내 연구진 美진단키트 결함찾고 국내 기업은 보완기술
개
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3.18
김 대표는 “한 바이러스에서 RdRp 유전자 10
개
를 복제할 수 있었다면 N은 50~100
개
가 복제돼 확인하기 쉬웠다”며 ”세계보건기구(WHO)에서도 N을 주요 진단 지표로 사용할 것을 권고해야 한다”고 말했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바이오 벤처가 이룩한 ‘진단 강국’의 안타까운 현실
2020.03.18
필요하다. 무분별한 분무 소독이 오히려 국민의 건강을 해칠 수도 있다. ※필자소
개
이덕환 서강대 명예교수(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대한화학회 탄소문화원 원장을 맡고 있다. 2012년 대한화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과학기술‧교육‧에너지‧환경‧보건위생 등 사회문제에 관한 칼럼과 논문 ... ...
이전
446
447
448
449
450
451
452
453
4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