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시
같은시기
동기
d라이브러리
"
같은시간
"(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일상 재료로 40분만에 지문 위조 가능
과학동아
l
200206
집에서 구할 수 있는 재료만으로도 지문을 간단하게 위조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영국 BBC에 보도됐다. 위조된 지문은 현재의 지문인식시스템에서 80%의 성공률을 보일 정도로 정교했다.이 연구의 주인공은 일본 요코하마대의 쓰토무 마쓰모토 공학교수. 그는 플라스틱을 뜨거운 물에 넣어 말랑말 ... ...
살아 꿈틀거리는 미니 태양계 목성
과학동아
l
200206
목성은 화성과 소행성대 너머에 있는 태양계 최대 행성이다. 우주과학의 발전과 함께 원거리 항해기술이 마련되자 목성행 탐사선이 파견되기 시작했다. 목성과 위성들의 신비를 밝히기 위한 탐사여정을 좇아가보자.목성이 조금만 더 컸더라면 제2의 태양이 됐을 것이라는 재미있는 얘기가 있다. 사 ... ...
1. 종교없는 과학은 무력하다
과학동아
l
200206
흔히 종교와 과학의 관계는‘갈등’이나‘전쟁’같은 부정적 단어로 묘사된다. 하지만 종교와 과학은 정말 싸움을 통해 진화해 왔을까. 서양과학이 지나온 역사를 통해 종교과 과학의 진정한 관계는 어떠했는지 살펴보자.1869년 12월 17일 뉴욕의 쿠퍼 유니언 대학강당에 모인 사람들은, 남북전쟁의 ... ...
의사결정을 뒤흔드는 뜻밖의 함정
과학동아
l
200206
인간의 삶은 의사결정 과정의 연속에서 펼쳐진다. 순간의 선택부터 신중한 생각 끝에 내린 판단까지 우리의 의사결정은 얼마나 합리적이며 또 타당한가.이 세상 모든 일의 주체는 인간이다. 즉 인간의 의사결정에 의해 모든 것이 기획되고 구현된다. 그렇다면 우리네 의사결정은 항상 믿을만한 것 ... ...
빅뱅은 여러번 일어난다?
과학동아
l
200206
기존 빅뱅이론에서는 한번의 대폭발(빅뱅)로 시간과 공간을 비롯한 우주가 탄생했다고 설명한다. 하지만 지난 4월 25일 미국의 과학저널 사이언스 웹사이트에 발표된 새로운 우주모형에 따르면 빅뱅이 여러번 일어난다고 한다. 빅뱅의 창조과정과 빅 크런치(Big Crunch)라는 소멸과정이 영원히 반복된 ... ...
4. 위해성 논란 종식 위해 동원되는 첨단과학
과학동아
l
200206
현재 세계 곳곳에서 끊임없이 유전자 변형 작물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인체와 환경에 미칠 위해성에 대한 문제제기로 지구촌이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이를 잠재우기 위해 생명과학자는 어떤 노력을 기울이는 것일까. 5월 초 개봉한 할리우드 영화 ‘스파이더맨’이 ... ...
물리학 안경으로 통합되는 생명현상 생물물리학
과학동아
l
200206
과학의 여러 학문 중 가장 거리가 먼 사이가 물리학과 생물학이다. 현재 이 두 분야의 확연한 경계를 허물고 서로를 융합하려고 하는 분야가 자라나고 있다. 생명현상을 물리적 관점에서 바라봄으로써 생물의 기본 법칙을 찾고자 하는 생물물리가 바로 그것이다. 중학교 때 한권으로 된 과학 과목 ... ...
4. 불교와 물리학의 기막힌 인연
과학동아
l
200206
자연과학과 불교는 분명 다르다. 하지만 시야를 조금만 넓히면 공통점이 보인다. 물리학과 불교가 만나는 기막힌 인연과 여기에 숨겨진 좀더 큰 뜻을 알아보자.현대과학과 불교라는 두가지 정신활동은 다루는 내용이 다르고, 시간적으로도 2천5백년이라는 간극이 존재할 뿐 아니라 문제에 접근하는 ... ...
축구선수 시력 얼마나 뛰어날까
과학동아
l
200206
전세계 축구팬의 눈이 한국과 일본으로 쏠리는 월드컵시즌이다. 경기장의 선수도 눈으로 목표물을 좇고, 수만 관중의 눈도 한곳에 집중된다. 때론 기막힌 장면에 우리의 눈을 의심하기도 한다. 운동선수의 눈이 어떻게 다른지 눈여겨보자. 인간은 감각기관을 통해 외부의 상태를 파악하고 이에 적 ... ...
팔만대장경 기적의 보관 기술
과학동아
l
200206
7백50년 전 몽골군의 침입을 물리치고자 만들어진 팔만대장경은 자랑스런 문화유산 중 하나다. 나무판에 불경을 새긴 경판만 8만여장이 넘고, 새겨진 글자는 무려 5천2백만자이며 제작에 동원된 사람은 1백30만명이나 된다. 하지만 더 놀라운 사실은 팔만대장경을 보관하는 선조들의 비법에 있다. 역 ... ...
이전
447
448
449
450
451
452
453
454
4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