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능"(으)로 총 13,089건 검색되었습니다.
- 왜 황우석은 실패하고 미탈리포프는 성공했을까과학동아 l2013년 06호
- IPSc를 만드는 방법도 있지만, 효율이 떨어진다.배아줄기세포는 모든 세포로 분화가 가능하고, 가장 자연스러운 줄기세포를 만들 수 있어 치료목적으로는 가장 좋다. 하지만 이 역시 다른 사람의 세포를 이용했을 때는 면역거부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환자의 유전자와 똑같이 만들려면 체세포 복제 ... ...
- 3000℃에서 녹아내린 아이언맨의 새 슈트과학동아 l2013년 06호
- 있겠지만 안타깝게도 텅스텐으로 슈트를 만들면 토니 스타크는 제자리에 서지도 못할 가능성이 크다. 텅스텐은 스웨덴어로 ‘무거운 돌’이라는 뜻이다. 온 몸의 넓이를 2m2, 슈트의 두께를 1cm라고 가정하면 텅스텐 슈트는 385kg이다. 각종 추진체와 무기를 다 탑재하고 나면 600~700kg은 거뜬하다. ... ...
- [career] 자연과 구조물의 조화, 고성능구조공학과학동아 l2013년 06호
- 경제적인 구조를 만들어 내는 데 쓰입니다.이를 활용하면, 혁신적인 건축설계가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압력과 장력에 강한 새로운 재료는 초고층 빌딩을 건설할 때 씁니다. 또한 강철 재료와 콘크리트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어서 자연과 조화를 이룬 친환경적인 구조물도 만들 수 있습니다. ... ...
- 현재에 충실하라!과학동아 l2013년 06호
- 꿈을 위해 가는 길입니다.사실 우리나라 교육여건상 꿈을 찾기 위한 경험을 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그러니 당장 목표가 없고, 꿈이 없다고 좌절하지 마세요. 언젠가는 찾게 됩니다. 시작하기도 전에 부담스러워하지 마세요. 꿈은 사라지지 않는 느낌이기에, 이 느낌을 찾으며 따라가는 것 ... ...
- 반지의 제왕 수학의 전설을 찾아서!수학동아 l2013년 06호
- 삼각비 중에서도 코사인을 이용했다. 어떤 각(θ)이 작도가능한지 알려면 cosθ의 값이 작도가능하다는 것을 밝혀야 한다.예를 들어 60°의 삼등분 각인 20°를 살펴보자. cos20°를 근으로 갖는 최소다항식은 8x³-6x-1이다. 이 다항식은 차수가 3이므로 2의 거듭제곱이 아니다. 즉, cos20°는 작도할 수 없고 ... ...
- 새학기 필수품, 착한 학용품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6호
- 지우개에는 앞서 말한 프탈레이트가 들어 있을 수 있어 피하는 것이 좋다. 또한 가능한 천연고무로 만든 지우개를 구입하는 것이 좋다.예) 아카시아 같은 꽃향기가 나는 지우개, 플라스틱 재질의 말랑거리는 지우개 재활용품이 학용품으로 변신~!그런데 유해한 학용품이 있다면 혹시 착한 ... ...
- 수학으로 가상과 현실을 자유롭게 넘나든다!수학동아 l2013년 06호
- ‘강남스타일’에 맞춰 춤을 춘다?! 과연 가능한 일일까?놀랍게도 ‘수학’을 이용하면 가능하다. 심지어 버즈는 사람이 출 수 있는 모든 춤을 출 수도 있다. 대체 어떤 원리가 담겨 있는 걸까?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영상미디어연구센터 안상철 박사를 찾아가 그 비밀을 파헤쳐 봤다.3D 실감 ... ...
- 새 학기 스타는 바로 나 굿 잠으로 훈남훈녀 되자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6호
- 나도 새 학기에는 반에서 스타가 되고 싶어. 하지만 이렇게 퀭한 모습으로는 절대 불가능 해. 안나의 방에서 ‘훈남훈녀’의 비밀을 찾을 거야. 어라, 그런데 왜 이렇게 방이 깜깜하지? 아직 10시 밖에 안 됐는데…. 설마 벌써 자고 있나? 훈남침구침구류에는 하루 동안 사람에게서 나온 먼지나 각질이 ... ...
- 머리가 굳는다? 새빨간 거짓말!과학동아 l2013년 06호
- 이후에도 뇌가 활발하게 활동한다는 뜻입니다. 두뇌가 굳는다거나 10%만 사용한다는 건 불가능한 일이지요.인류는 머리만 자랐다!그렇다면 이렇게 엄청난 용량의 정보 저장과 처리 기능을 가지고 있는 인류의 두뇌는 언제부터 커졌을까요. 그 시기를 알면 왜 커졌는지도 알 수 있습니다. 사람의 두뇌 ... ...
- 익스트림 서프라이즈 평화를 사랑한 수학자수학동아 l2013년 06호
- 증명한 것으로 유명하다.로랑 슈와르츠(1915~2002)슈와르츠는 연속된 모든 함수는 미분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 1950년 필즈상을 받았다. 그는 코흐 곡선처럼 특이한 모양의 함수도 미분할 수 있는 방법을 발견했다. 특히 프랑스의 젊은 수학자들의 모임인 부르바키의 회원으로서,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 ...
이전4474484494504514524534544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