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발
개척
경제
연구
발달
발전
발육
d라이브러리
"
개발
"(으)로 총 11,87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4. 구글 in Science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구글 부사장. 인터넷 표준 프로토콜인 TCP/IP를
개발
했고 최초의 상업 이메일 시스템을
개발
해 흔히 인터넷의 창시자로 불린다. 그에게는 꿈이 있다. 인간이 갈 수 있는 모든 행성에서 인터넷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이는 위성이나 우주선에서 전파를 이용해 지구와 교신하는 것과는 다르다. ... ...
‘텔레파시’ 동물 실험 첫 성공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교수는 “이 기술이 동물 뇌 안의 정보를 저장하고 가공하며 옮길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전에 없던 사회적 의사소통 방식도 탄생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
우주
개발
의 개척자 사운딩 로켓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시험했다. 2002년 발사된 KSR-III는 우리나라 최초의 액체추진로켓으로 소형위성발사체
개발
을 위한 기반 기술을 확보하는 데 기여했다. 나로호 발사에도 이때 얻은 경험이 도움이 됐다. 그러나 사운딩 로켓을 수백 대나 발사하면서 경험을 쌓아온 우주기술 선진국에 비하면 우리나라는 아직 부족하다. ... ...
[체험] 차세대 통신망 연구실 미래 통신은 수학으로 통한다!
수학동아
l
2013년 04호
교수 : 통신이 발전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요소가 필요합니다. 통신에 필요한 장비를
개발
하는 하드웨어 부분도 있고, 시스템과 같은 소프트웨어 부분도 있죠. 저는 통신에서 음성이나 화상과 같은 각종 정보들이 원활하게 흐르도록 수학적인 모델링을 만드는 연구를 하고 있어요. 마치 차가 많은 ... ...
PART 2. Sixth Sense Mobile!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층으로 나누어진 데이터를 통해 언어(여기서는 말)가 어떻게 이뤄지는지 다양한 모델을
개발
했다.허프만 부사장은 “구글 음성검색은 말소리에서 나오는 스펙트로그램을 순식간에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가능한 단어를 추출해낸다”며 “여기에 모델을 만들고 각 음성 스펙트로그램의 조합으로 ... ...
PART 2. 도시 사막화는 죽음을 부른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팽창을 막기 위한 그린벨트 덕분에 서울 주변의 해발고도 100m 이상 산악지역은 무분별한
개발
이 억제됐다. 이에 따라 눈에 보이지 않는 냉기류가 서울 도심 주변 산지에서 형성돼 서울에 공급될 수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정부의 그린벨트 해제 정책에 따라 수십 년간 억제됐던 도시사막화 현상이 ... ...
한국형 달탐사선 베일을 벗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대학이나 정부출연연구기관 여러 곳에서
개발
하고 있다. 소형 탐사장비를 각 연구팀이
개발
해 오면, 이 중 완성도와 과학적 가치가 높은 것을 몇 종류 골라 탐사선과 착륙선에 싣는다.기본 설계에 따르면 궤도선은 높이 1.5m, 너비 1.6m 정도로 나로호에 실려 우주로 나간 ‘나로과학위성’보다 50% 정도 ... ...
물만 있으면 전기가 펑펑?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3호
물을 만나면 팽창하는 부드러운 물질 ‘폴리올붕산염’을 합성한 필름을
개발
했어요. 이 필름은 자신보다 380배나 무거운 물질을 거뜬히 들어 올릴 정도로 힘이 세면서도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는 유연함까지 지녔답니다.연구팀은 필름을 2x3㎝ 크기로 잘라 물기 있는 종이 위에 올렸어요. 그러자 ... ...
[체험] 발사 성공! 나로호 설계의 주역을 만나다
수학동아
l
2013년 03호
"독자기자의 취재 수첩나로호와의 대화윤수빈(서울 재현중2)발사체체계실은 나로호
개발
의 각 팀들을 감독하고, 전체적인 설계 및 비행 후 분석과 확인을 담당하는 곳이다. 조상범 박사님의 설명 중, 나로과학위성의 궤도가 타원궤도인 이유에 대한 부분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잘 알지 못했던 ... ...
야생의 배꼽, 세렝게티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연구재단의 ‘개도국과학기술지원사업’ 지원을 받은 공적
개발
원조(ODA) 사업이죠. 원래 2008년, 엄기선 충북대 의대 교수(기생생물자원은행장)가 개인적인 관심으로 타위리와 연구 인연을 맺은게 시작이에요. 이후 연구소재중앙센터와 용태순 연세대 의대 교수 ... ...
이전
447
448
449
450
451
452
453
454
4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