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눈"(으)로 총 9,617건 검색되었습니다.
- 황당맨의 취재수첩과학동아 l2011년 07호
- 1나노 앰플로 원하는 곳에 약을!이번 달 황당맨은 눈에 보이지도 않는 약병을 찾아나섰다. 신현정 국민대 신소재공학부 교수가 개발한 나노 앰플이 바로 그것. 길이가 수백 nm(나노미터, 10억 분의 1m)에 불과한 나노 앰플은 몸속 원하는 곳에 약물을 보내는 약물전달체 역할을 할 수 있다.나노 크기로 ... ...
- [수학으로 생각하기] 카메라 고수의 숫자 완전정복수학동아 l2011년 07호
- 1, 1/2, 1/4, 1/8,1/15, 1/30, 1/60, 1/125, 1/250, 1/500, 1/1000 등이 있는데, 셔터속도가 빠른 쪽으로 한 눈금을 조절할 때마다 빛을 받아들이는 양이 반으로 줄어든다.빛의 양은 대부분 조리개와 셔터속도의 조합으로 조절한다. 어두운 실내에서는 F 값을 작게 하고 셔터속도를 천천히 하면 밝은 사진을 ...
- PART 2 거품 함수와 방정식수학동아 l2011년 07호
- 대부분 하얗다. 작은 거품 알갱이가 들어오는 모든 빛을 산란*시키기 때문이다. 우리 눈에는 모든 빛이 합쳐져 하얗게 보인다.그런데 하얀 바다 거품은 무엇보다 지구에 많은 영향을 준다. 특히 바다거품은 지구에 들어온 태양의 복사 에너지를 잔잔한 평상시 바다보다 더 많이 반사시켜 지구가 ... ...
- 어디서나 쓸 수 있는 암호 찾는다수학동아 l2011년 07호
- 상품 또는 상품을 포장하는 상자에 기본적인 상품 정보부터 원산지까지 많은 정보를 한눈에 알 수 있도록 하는 전자태그(RFID)를 붙이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전자태그는 IC칩에 정보를 넣어 무선으로 정보를 읽어내는 기술이다.그런데 전자태그에 담긴 정보가 해킹*으로 조작되면 어떻게 될까? ... ...
- 동문과 관찰지도교사의 힘 청주교대 과학 영재교육원수학동아 l2011년 07호
- 낮은 마시멜로는 압력이 낮은 곳에서 부피가 커지기 쉽다”고 분석해 냈다. 때로는 눈에 보이는 것뿐 아니라 일부러 조작을 한 뒤 관찰하는 적극성도 보였다.인지 : 수업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 교수님이 “러더퍼드는 원자 모형을 태양 주위를 도는 행성처럼 생각했다”고 말하자, 기광이는 ... ...
- 반지의 선택 그린랜턴과학동아 l2011년 07호
- 한국에서는 잘 알려지지 않은 히어로지만, 잘 둘러보면 여기저기에서 눈에 띈다. 미국의 시트콤 ‘빅뱅이론(과학동아 4월호 ‘똑똑한 팝’ 참고)’을 봤다면 주인공 쉘든이 들고 다니던 녹색랜턴을 기억할 지도 모른다. 더 관찰력이 예리한 사람이라면 쉘든이 평상시에 입고 다니는, 가슴에 이상한 ... ...
- 다양한 눈으로 바라본 세상과학동아 l2011년 07호
- 꽃과 함께 등장하는 벌은 자외선(약 10~400nm의 파장) 영역의 빛을 인식한다. 또한 곤충은 겹눈이라는 특이한 구조를 갖고 있어 하나의 영상이 수천 개가 모인 모자이크 형태로 세상을 바라본다. 벌이 왜 에너지가 강한 자외선 영역을 인식하게 됐는지 정확한 이유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한 가지 ... ...
- INTRO 수학, 공포영화도 밀어서 잠금해제수학동아 l2011년 07호
- 쾅! 쾅!” “아악~, 귀신이다, 귀신!”너무 무서워서 눈, 코, 입이 다 사라질 뻔했지만 극복~! 나는 잘 극복했어. 아~, 피곤해. 다시는 공포영화 안 볼 거야. 뭐? 공포영화의 ‘공포 수치’를 수학공식으로 나타낼 때까지 봐야 한다고? 아~, 나 수학 잘하거든. 내가 못하는 게 어디 있어? 수학공식쯤이야~ ... ...
- PART 2 수학을 소재로 한 공포영화수학동아 l2011년 07호
- 수직인 선분으로만 이뤄져 있어요. 사실 4차원 공간에서 만들어지는 도형이니까 우리 눈에는 보이지 않죠. 영화에선 4차원 초입방체가 현실세계에서 만들어졌다고 가정하고 진행돼요. 이 영화에는 캐나다 수학자 데이비드 프라비카가 참여했어요. 그는 4차원 초입방체를 만드는 데 도움을 줬는데, ... ...
- PART 1 수학자는 왜 비눗방울을 좋아할까?수학동아 l2011년 07호
- 반사된다. 이렇게 비눗방울은 막의 바깥쪽과 안쪽 모두에서 빛을 반사시킨다. 이때 우리 눈은 합성된 빛을 보게 된다. 즉 막의 두께에 따라 반사되는 빛의 파장이 다르고 이에 따라 합성되는 빛도 달라져 다양한 색의 빛, 즉 무지개 색의 빛을 보게 되는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 ...
이전4474484494504514524534544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