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코스모스
만물
스페이스
유니버스
공간
천지
외계
d라이브러리
"
우주
"(으)로 총 6,895건 검색되었습니다.
슈퍼컴퓨터로
우주
만들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우주
를 커다란 건물에 비유한다면 건물을 이루는 벽돌은 무엇일까. 흔히 별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 별이 수천억개나 모여 있는 은하다. 우 ... 최대의 관측 자료와 세계 최대 규모의 가상
우주
자료를 모두 갖고 있는 한국의 박 교수팀이
우주
의 비밀을 풀 수 있는 유리한 위치에 있다 ... ...
“대중 없이는 의학도 없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매우 크다. NIH의 한해 연구비 예산은 270억달러(약30조원). 154억달러를 쓰는 미국항공
우주
국(NASA)의 1.75배, 7조7868억원의 예산이 책정된 우리나라 정부 전체 연구개발비의 4배에 달하는 액수다. 이렇게 천문학적 연구비를 사용하는 세계적인 연구소인 만큼 매주 공개되는 보도자료의 질은 웬만한 ... ...
차세대 국산 무인 비행기 설계 완료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차세대 국산 무인 비행기의 설계가 완성됐다.한국항공
우주
연구원은 ‘스마트 무인기 기술 개발사업’의 1단계로 수직으로 뜨고 내리는 무인 비행기에 대한 기본설계를 끝내고 1월 19일 이를 공개했다.이 비행기는 고속으로 자율 비행하면서 다른 항공기나 장애물을 알아서 피한다. 5시간 동안 ... ...
지진해일 22만명 목숨 앗아가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있지 않고 평상시에 대비하지 못했기 때문에 큰 피해를 입게 된 것이다.한편 미국항공
우주
국(NASA)의 한 지구물리학자는 이번 지진으로 인도양 아래 지각판이 유라시아판 아래로 끼워지며 지구의 반경이 작아져, 그 효과로 지구의 자전이 빨라졌고 자전축에도 변화를 가져왔다고 주장했다. 회전하는 ... ...
메탄비 내리는 오렌지빛 원시지구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지구의 생명체는 어떻게 처음 탄생했을까.여러 가설이 있지만 많은 과학자들은 질소와 메탄 가스가 풍부한 원시 지구에 번개가 치면서 생명체를 ... 토성 고리는 나중에 프랑스 천문학자 카시니가 증명했다. 이번에 토성과 타이탄에 간
우주
선의 이름은 이 두 천문학자의 이름을 딴 것이다 ... ...
과천에 문 여는 과학 놀이터 - 국립과학관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자연을 중심으로 한 우리 민족의 뛰어난 과학적 창조성을 되새겨본다.5 자연사관 :
우주
의 창조에서부터 인간의 탄생까지 일련의 과정을 창조, 변화, 진화, 생명, 탐구의 장 순으로 전시한다. 거대한 공룡의 골격과 숲속을 그대로 옮겨 놓은 듯한 공간에서 생생한 자연학습체험을 즐길 수 있다 ... ...
가장 어린 은하는 겨우 5억살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빅뱅이 일어나고 처음 3분 동안 만들어진 원소들”이라며 “이 은하를 연구하면 초기
우주
에서 일어났던 일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사이언스' 선정 2004년 10大 과학 뉴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2004년 10대 연구’ 중 3위로 선정됐다. 사이언스 12월 17일자는 ‘미국 항공
우주
국(NASA) 화성탐사 로봇의 생명탐사 업적’을 올해 최고의 연구 성과로 소개하고‘인도네시아에서 발견한 소형 인류 화석’에 이어 세 번째로 황 교수팀의 업적을 선정했다. 1위 _ 화성 물흔적 발견미국 NASA의 쌍둥이 ... ...
동굴에서 새로운 종 발견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ω=ZeB/mc와 같다반도체 속의 운반체일 때는 m 대신에 유효질량 m*을 써야 한다 미국 항공
우주
국(NASA)이 1971년 여름에 전파천문학자 들을 모아 지구외 문명(地球外文明)과의 전파 교신을 기획한 탁상 연습(卓上演習)컴퓨터의 주기억장치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데이터를 판독한 직후에는 그 판독이나 ... ...
10. 아인슈타인 해 맞아 '빛의 제전' 열린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수 있는 ‘시·공간관’, 아인슈타인이라고 하면 빼놓을 수 없는 블랙홀을 주제로 하는 ‘
우주
관’으로 나뉜다.전시회 관계자는 “직접 체험을 통해 일상생활에 나타나는 아인슈타인의 연구 업적을 조명해보고 생활 속으로 파고든 그의 이론을 되짚어 볼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강조한다. ... ...
이전
447
448
449
450
451
452
453
454
4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