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램프
스탠드
비탈길
경사면
배면
등고자비
자비
뉴스
"
등
"(으)로 총 42,799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자체도 위성 쏘는 시대 본격화...전문가들 "득실 잘 따져야"
동아사이언스
l
2024.04.15
미국서 발사될 예정이다. 전문가들은 위성의 활용을 고려한 역량 결집을 시도하는
등
득실을 따져야 한다는 지적을 내놨다. 최기영 인하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초소형 위성의 경우 크기 때문에 용도가 제한적"이라며 "지자체에서 띄운 한 두개 위성으로 의미 있는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다"고 ... ...
점프도 하고 비행도 하는 '하이브리드 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4.04.15
고무줄이 연결된 접이식 탄성 다리를 결합한 홉콥터를 제작했다. GPS나 모션 캡처
등
외부 측정 위치 데이터에 의존하지 않고도 로봇의 자세를 안정화하기 위해 외부 공기 흐름과 상호작용하는 공기역학적 안정 장치도 탑재했다. 이렇게 개발된 무게 35g의 홉콥터는 외부 측정 위치 데이터가 없어도 ... ...
"평화주의자 보노보, 생각보다 공격적"
동아사이언스
l
2024.04.14
"침팬지 사회에서 수컷이 다른 수컷에게 공격적으로 행동하면 연합 보복을 당하는
등
큰 피해를 입을 수 있기 때문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연구팀은 침팬지와 보노보 모두 공격적인 수컷이 짝짓기에 성공할 확률이 높은 새로운 현상을 관찰하기도 했다. 이는 공동체가 일반적으로 함께 지배하는 ... ...
'우주, 플레이 위드 미?'…과천과학관 과학의 달 행사
동아사이언스
l
2024.04.14
‘마법거울상자’, 물질 질량 차이를 관찰할 수 있는 ‘반짝반짝 유리병 속 실험실’
등
과학원리 체험부스와 장애우에 대한 이해의 기회를 제공하는 과학나눔 부스도 준비돼 있다. 픽 미 존에서는 ‘우주·과학 퀴즈풀기’와 ‘싸돌이 찾기 스탬프 투어’로 구성되는 ‘우~주~퀴즈? YES!!’가 ... ...
가상현실서 이동해도 뇌 속 GPS세포 활성화 첫 입증
동아사이언스
l
2024.04.14
뇌 영상 분석을 통해 환각 증상을 객관적으로 진단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유체 이탈
등
의 환각 증상을 겪고 있는 환자를 위한 치료법 개발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문 연구원은 “1인칭 시점의 시각적 환경 단서의 변화에 의존해 왔던 기존 인간 격자 세포 연구와 달리 다중 신체 감각의 ... ...
12년째 이어진 수학계 '초전도체급 스캔들'
동아사이언스
l
2024.04.14
마사키 카사와라 교토대 수리해석연구소 교수, 이반 페센코 중국 웨스트레이크대 교수
등
모치츠키 교수를 지지하는 세력과 반대하는 세력으로 나뉘며 수학계가 혼란에 휩싸였다. 그러던 중 2020년 모치츠키 교수 논문이 교토대 수리해석연구소가 편집하고 당시 모치츠키 교수가 편집위원장이었던 ... ...
R&D예산 줄어도 학생연구원 늘어난 출연연 속사정
동아사이언스
l
2024.04.14
5개, 연구책임자로 수행할 수 있는 과제는 3개까지 허용하는 ‘3책5공’ 제한
등
으로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젊은 연구자 감원을 비롯한 정부 R&D 예산삭감의 부작용이 이미 연구현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국립대 소속 한 교수는 “학생연수직이나 박사후연구원(포스트닥터)을 ... ...
"화 난 감정 종이에 적고 폐기하면 분노 줄어들어"
2024.04.14
이런 생각을 하다니 믿을 수가 없다", "이 사람이 대학에 있는 동안 잘 배웠으면 좋겠다"
등
부정적인 평가도 전달했다. 부정적인 평가를 들은 참가자들은 자신이 느끼는 감정의 이유에 초점을 맞춰 대학원생들의 평가에 대한 생각을 종이에 적었다. 이후 연구진은 참가자들을 두 집단으로 나눴다. ... ...
"끔찍한 마피아식 살인"…석기시대 유럽서 만연
동아사이언스
l
2024.04.13
변화가 일어나며 차츰 사라졌다. 크뤼베지 교수는 "스톤헨지
등
거대한 거석 무덤이
등
장하며 사람들이 죽어 나가는 유적지의 시대가 끝났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 ...
소수점 사용, 알려진 것보다 150년 빨랐다
과학동아
l
2024.04.13
것보다 150년 가량 앞선 시기다. 1보다 작은 수를 나타내기 위한 표기법은 중국, 인도
등
여러 문화권에서 독자적으로 나타났다. 그중 현재 세계적으로 널리 쓰이는 소수점 체계는 중세 유럽에서 시작됐다. 지금까지 소수점이 사용된 가장 빠른 용례는 1593년 독일 예수회의 천문학자 크리스토퍼 ... ...
이전
447
448
449
450
451
452
453
454
4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