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일
과거사
기왕지사
jinan
d라이브러리
"
지난
"(으)로 총 7,094건 검색되었습니다.
Ⅱ. 본격적인 유전자 시대 개막 알린 영광의 주역들 : 3 현장취재 영국 런던 다국적팀 기자회견장
과학동아
l
200103
중 35%는 이러한 작업을 거쳐 완벽하게 해독된 부분이라고 밝혔다.설스턴박사는 “
지난
98년 셀레라가 인간게놈 염기 서열 해독에 사용하겠다고 발표한 샷건 방식은 당시 새로운 기술은 아니었다”면서 “새로운 것은 인간게놈과 같은 큰 게놈에 샷건 방식을 사용한다는 것”이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 ...
멸종위기동물 복제 시도 실패
과학동아
l
200102
‘노아’가 태어난지 불과 48시간만에 죽었다고 영국의 BBC가
지난
1월 12일 보도했다. 노아는 미국의 생명공학회사 어드벤스드 셀 테크놀로지(ACT)사의 연구팀이 8년 전에 죽은 가우어의 피부세포를 평범한 젖소에서 얻은 난자에 집어넣어 복제에 성공한 동물이다.노아를 관찰한 코넬대의 조나단 힐 ... ...
'블랙홀 진짜 검다' 첫 증거 발견
과학동아
l
200102
빨려들어가 사라지는 빛이 최초로 포착됐다는 소식이
지난
1월 11일 잇달아 발표됐다. 미국의 찬드라 X선 천문위성과 허블우주망원경이 각각 관측한 결과가 같은 날 언론에 공개됐던 것. 그동안 주변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통해 블랙홀에 대한 간접적인 증거가 많았지만 이번처럼 직접적인 증거가 ... ...
서울대 입시 문제를 계기로 본 이공계 대학 심층 구술 면접 새로운 경향
과학동아
l
200102
많이 사라졌지만 수성은 그렇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에 관한 내용은 과학동아
지난
2001년 1월호 소행성 특집으로 나갔다. 특집 세번째 글에서는“지구상에 운석 충돌에 의해 생겨난 흔적이 지각변동, 풍화작용, 기후변화 등에 의해 많이 사라졌다”고 밝히고“만약 지구에 대기와 물, 화산활동 ... ...
2. 인터페이스 첨단연구의 현장 MIT 미디어랩
과학동아
l
200102
지름길은 비트와 아톰의 차이를 곰곰이 생각해 보는데 있다고 제시한 바 있다.그는
지난
반세기동안 인간요소와 인간공학 분야의 똑똑한 과학자들이 멍청한 기계를 좀더 쉽게 만들려고 인터페이스를 개발해 왔다고 비판했다. 덧붙여 디지털 시대의 훌륭한 인터페이스 디자인은 복잡한 계기판을 ... ...
1. 미르 태평양에 평안히 잠들라
과학동아
l
200102
미르에 대한 정치적, 경제적, 기술적 측면에서 사면초가에 빠진 것이다. 이에 따라
지난
1월 5일 러시아 정부는 마침내 미르에 대한 최종 사망선고를 내리게 됐다.온갖 기록을 남기며 우주에 화려한 불꽃으로 사라질 미르. 우리는 미르가 그 의미처럼 평화롭게 잠들기를 바라고 있다. 전체무게 1백 4 ... ...
하늘에서 내리는 미스터리 결정체 눈
과학동아
l
200102
세명이 서있는 셈이다.그렇다면 눈에도 ‘습한’ 눈과 ‘건조한’ 눈이 있다는 것일까.
지난
1월 7일 폭설이 내렸을 때의 상황을 살펴보자. 당시 눈구름을 몰고 온 저기압은 차가운 대륙을 거쳐 서해바다를 지나왔다. 이때 저기압을 구성하는 공기는 너무나도 차가웠고, 쿠르시오 난류가 흐르는 ... ...
유산균 시장의 아우토반 쎌바이오텍
과학동아
l
200102
성장을 바탕으로 자사의 상표를 부착할 새로운 상품을 개발해 왔다고 한다. 그 결과
지난
해 초 천연 송이버섯 균사체의 인공배양에도 성공했다. 송이버섯은 그동안 인공양식이 거의 불가능하다는 게 정설이었는데, 쎌바이오텍이 30년이 걸리는 균사체 형성기간을 인공적으로 배양해 15일만에 ... ...
원시인류는 흰개미를 먹었다?
과학동아
l
200102
1백만년 전 원시인류가 도구를 이용해 흰개미를 잡아먹고 살았다는 연구 결과가
지난
1월 16일자 영국 BBC 방송에 보도됐다. 남아프리카와 프랑스 공동연구팀은 인간과 유사한 종인 오스트랄로피테쿠스 로버스투스가 땅 속의 흰개미를 잡아먹기 위해 길고 날카로운 뼈를 도구로 사용했다고 주장했다. ... ...
유전자조작 원숭이 '앤디' 탄생
과학동아
l
200102
크게 공헌할 수 있다는 말이다.한편 앤디의 유전자조작실험을 주도한 셰튼 박사는
지난
해 수정란 분할을 통해 복제원숭이 ‘테트라’를 탄생시킨 사람이기도 하다. 따라서 셰튼 박사는 유전자조작 원숭이를 복제와 연관지을 가능성이 크다. 유전자조작은 성공가능성이 매우 낮지만, 복제는 ... ...
이전
448
449
450
451
452
453
454
455
4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