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진
연구직원
연구자
연구소
d라이브러리
"
연구원
"(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변화무쌍 수조 진짜 남극바다에 도전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소파블록 (테트라포드) 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실험을 했다. 연구를 이끈 오상호 선임
연구원
은 “새롭게 개발한 소파블록을 현장에 설치할 때 수조 실험 결과가 기초적인 설계 자료로 활용된다”며 “방파제를 비롯해 조력발전용 수문 같은 각종 해안구조물을 설계할 때도 수조 실험을 항상 먼저 ... ...
과학으로 담그면 행복한 겁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김치 젖산균이 자라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연구돼 있다.지난 3월 문을 연 한국식품
연구원
부설 세계김치연구소 박완수 소장은 취임 당시 “어떤 유산균이 활동하느냐에 따라 김치의 맛과 풍미가 달라진다”며 “이런 김치맛을 조절하려면 유산균의 생태계부터 이해해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 ...
프랙탈 수학자 '만델브로' 별세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해석하는 도구로 다양하게 쓰입니다.만델브로는 1987년까지 미국 컴퓨터 회사인 IBM
연구원
으로 30년간 일했고, 그 뒤 미국 예일대 명예교수로 지내다 2005년에 퇴직했습니다 ... ...
지구가 뿔났다? 아이슬란드 화산 대폭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않는 것과 비슷한 원리랍니다."황재하 (한국지질자원
연구원
지질조사연구실 책임
연구원
) ▲ 화산먼지를 확대한 모습. 표면이 거칠고 날카롭다.더 속상한 건 뭔 줄 아니? 맙소사, 신이시여! 멀쩡하던 노트북이 고장 났었다는 거야(물론 지금은 다시 고쳐서 이렇게 글을 쓰고 있지.). 알고 보니 아주 ... ...
도로 해부하기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S 라인 도로의 비밀꽉 막힌 도시를 떠나 시골로 가는 길. 탁 트인 도로처럼 마음도 시원하다. 이대로 쭉 직진만 하면 좋으련만, 자꾸 굽은 길이 나오는 게 못내 아쉽다.도로를 직선으로 만들면 목적지까지 가장 빠르게 갈 수 있지만 산이나 물 때문에 도로는 굽을 수밖에 없다. 장애물이 없더라도 도 ... ...
세계가 들썩이는 산업비타민 전쟁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프로젝트’를 시행할 계획을 세우고 정부부처별로 업무를 조율하고 있다.한국지질자원
연구원
윤호성 자원활용소재연구부장은 “도시 광산 사업을 비롯해 다양한 자원 확보 방안을 모두 동원해 산업변화에 대응해야 한다”며 “소재, 화학 분야 기초연구를 통해 희소금속을 대체하는 신물질 개발 ... ...
이대호 홈런, 류현진 삼진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우려가 높다.밸런스가 야구에서만 중요한 것은 아니다. 한국체육과학
연구원
문영진 책임
연구원
은 “스포츠는 종목의 특성에 맞게 밸런스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역도에서는 좌우 근력의 밸런스가 중요하다. 바벨을 들 때 좌우 균형이 틀어지면 무게가 한쪽으로 쏠린다. 이때 집중된 ... ...
별의 죽음을 밝혀 낸 과학자 찬드라세카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교수의 지도를 받았다. 대학원에 입학한 지 3년 만에 박사 학위를 받은 찬드라세카는
연구원
과정을 거쳐 27세의 젊은 나이에 미국 일리노이 주의 명문 시카고대의 교수가 됐다. 그곳에서 찬드라세카는 1983년에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고 1995년 84세로 숨을 거둘 때까지 교편을 잡았다.찬드라세카의 ... ...
'사랑의 매'가 효과 없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억제할 뿐 바람직한 행동이나 태도를 이끌어 내지 못한다. 장근영 한국청소년정책
연구원
연구위원은 “체벌은 공포를 이용해 학생을 통제하는 것”이라며 “이런 방법을 교육적이라고 볼 수는 없다”고 말했다. 체벌은 공포와 불안감 일으켜그렇다면 교사가 체벌을 효과적인 교육 방법이라고 ... ...
1993년 빅터 앰브로스 박사의 마이크로RNA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교수의 지도를 받았다. 이후 같은 대학의로버트 호비츠 교수 실험실에서 박사후
연구원
으로 있었는데 호비츠 교수는 2002년 세포의 자살프로그램을 규명한 공로로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호비츠 교수팀에 있을 때 앰브로스 박사는 예쁜꼬마선충이라는 작은 선형동물로 동물의 발달 조절 ... ...
이전
448
449
450
451
452
453
454
455
4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