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최초"(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포의 주소·운명·개성·목적 결정하는 '형태 조성지시유전자'발견과학동아 l1994년 02호
- 동물들이 태어났다. 이러한 결과는 항상 일관되고도 정확하게 나타났다. 이 사실에서 최초의 배(胚)에 어떤 중요한 부분이 존재해서, 주변 세포들이 어떤 행동을 해야 하는가에 대한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지역통제소'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는 극성(極性)을 가진 영역이라고 ... ...
- 생물- 왜 자식은 부모를 닮았으면서 똑같지는 않은가과학동아 l1994년 02호
- 닮았으면서 똑같지는 않은가?시대를 앞서간 천재, 멘델 멘델이 식물의 인공수분을 최초로 시도한 사람은 아니었으나, 멘델 이전의 학자들은 대부분은 양친과 자손의 전체적인 모양에만 관심을 갖고 유전현상을 이해하려 하였다. 그 결과 그들은 양친의 형질이 자손에서 혼합된다는 구태의연한 ... ...
- 4. 사람에게만 서식하는 종류는 퇴치가능과학동아 l1994년 02호
- 아직도 퇴치에 근접하지 못한 바이러스도 부지기수다.천연두바이러스는 인간이 퇴치한 최초의 바이러스다. 1796년 영국의 제너가 처음으로 종두법을 개발한 이래, 세계보건기구(WHO)의 줄기찬 노력으로 지구상에서 천연두는 사라졌다. 종두법과 같은 바이러스의 성공적인 퇴치 방법을 발견하고자 ... ...
- 나의 얼굴은 어느형인가과학동아 l1994년 02호
- 일반적인 도식은 이주, 또는 도래 변형 혼혈 치환 등이 있다. 한반도라는 유전자풀에 최초의 유전자를 뿌린이들은 어떤 형질의 누구이며(도래), 이들이 한반도라는 풍토와 환경에 적응하는 동안 어떠한 양태로 변했고(변형), 여기에 다른 색깔의 유전자를 뿌린이들은 어떤 형질의 누구 누구이며(혼혈 ... ...
- 인류 기원의 수수께끼 푼다과학동아 l1994년 02호
- 이 문제를 일거에 해결해준 것이 PCR 기술이다. 1988년 파보는 옛 DNA 복제에 PCR을 적용한 최초의 학자가 되었다. 그는 죽은 사람의 뇌에서 DNA를 대량으로 복제해냈다. 이듬해인 1989년에는 마침내 영국 옥스포드대의 브라이언 시키즈가 처음으로 옛날 사람의 뼈다귀로부터 DNA를 대량복제했다. 오로지 ... ...
- 1. 생물 속에서만 생명얻는 '불완전 생물'과학동아 l1994년 02호
- 1년 미국의 리드, 황열병이 여과성병원체 때문에 일어난다는 사실 발견. 사람에서 발견된 최초의 사례다.1907년 사마귀의 원인인 파필로마 바이러스를 확인. 그후 바이러스성 질환이 속속 밝혀짐. 1909년 폴리오, 1919년 헤르페스, 1931년 인플루엔자 등1908년 덴마크의 엘라맨, 뱅그, 닭백혈병바이러스 ... ...
- 백악기 절멸기에도 거의 모든 곤충 살아남았다과학동아 l1994년 02호
- 있다. "어떤 기준으로 보면 곤충류는 성공한 동물이다. 그들은 육지에, 또 공중에 진출한 최초의 동물이다. 현재 87만6천종이 동정(同定)됐고 확인되지 않은 것을 합치면 1백만종 가량 될 것이다. 4천종 밖에 안되는 포유류에 비하면 종의 분화가 엄청나다고 할 수 있다."뉴욕주립대학의 곤충진화 ... ...
- 물질과 결합 핵융합의 수백배 에너지 방출하는 반물질(反物質)의 실체과학동아 l1994년 02호
- 탄생한 것입니다." 서울대 물리학과 김제완 교수의 설명이다.전자의 반입자인 양전자는 최초로 탄생한 반물질이다. 디랙의 예언이 있은 4년 후인 1932년 앤더슨이 우주선(cosmic ray)속에서 양전자를 발견했다. 현실세계에서 반입자가 공식적으로 데뷔한 것이다.전자와 양전자는 질량이 똑같고 전하가 ... ...
- 물리- 빛은 공간 자체가 매질이다과학동아 l1994년 02호
- 있었던 지구의 공전 지름을 그 시간으로 나누면 빛의 속도가 된다(그림1).지상에서 최초로 빛의 속도를 잰 사람은 피조우다. 그는 톱니바퀴를 고속으로 회전시켜 톱니바퀴 사이로 빛을 보내 멀리 떨어져 있는 거울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지극히 짧은 시간을 재는데 성공했다. 톱니를 고속으로 ... ...
- 물리- 패러데이가 전자기유도를 발견하던 날과학동아 l1994년 01호
- 스위치를 넣었다 끊었다 하는 순간에만 나타났다."이것이 바로 전자기 유도 현상에 대한 최초의 발견인 셈이다. 패러데이는 잇달아 전자기유도의 여러 변화를 발견하였는데 그중에 하나가 자석과 코일 사이의 관계다."자석의 한 끝을 코일의 원통 끝에 딱 끼어들 수 있게 해 두고서 전체를 단숨에 ... ...
이전448449450451452453454455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