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d라이브러리
"
양
"(으)로 총 5,473건 검색되었습니다.
생약, 어떻게 만들어지나
과학동아
l
199207
문제라고 지적했다.약이든 식품이든 어차피 완벽한 무독성은 기대할 수 없으므로 결국
양
의 문제로 귀착된다. '공업용 알코올'로 통하는 메탄올을 인간이 먹어서 이롭지 않은 것은 분명하지만 극미량일 경우에는 인체에 특별한 해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생약보다 오히려 메탄올이 더 많이 ... ...
2 외부은하 나선팔은 별탄생의 요람
과학동아
l
199207
없어진 결과로 생각돼 진다.강력한 전파를 발사하고 있는 은하들 중에는 특이한 모
양
을 갖는 은하들이 있다. 이중 대표적인 것은 우리은하보다 1천배 이상의 강한 전파를 발사하고 있는 NGC 5128(Cen A)이다. (사진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앙에 큰 먼지대가 형성돼 있고 우리로부터는 1만6천광년의 거리에 ... ...
지구한랭화를 주도하는 대빙하
과학동아
l
199207
반복된다는 것이 밀란코비치이론의 첫번째 내용이다. 동시에 그는 지구 회전축이 태
양
의 궤도면과 이루는 최소각도인 21˚39에서 최대각도인 24˚36'으로 변하는 주기가 2만5백년임을 밝혀냈다.지구 공전궤도에서의 타원이심률이 가장 크고 지구 자전축의 각도가 가장 작은 상태에 이를 때 ... ...
「제3의 물리학 혁명」혼돈이론의 실체
과학동아
l
199207
다
양
, 비선형과학을 총체적으로 정의하거나 한정짓는 것조차 쉽지 않은 상태다. 다
양
한 비선형현상을 일관되게 설명할 수 있는 체계가 아직도 정립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이 분야는 여전히 태동단계라고 할 수 있다.하지만 비선형과학은 현대과학의 새로운 모색방향으로 인식되고 있음에 틀림없으며 ... ...
(2) 컬러모니터와 비디오카드 슈퍼 VGA카드 상용화 한창
과학동아
l
199207
사실 이것은 모니터가 어떤 것인가라는 문제와 전혀 상관없이 VGA 보드내의 메모리
양
에 관계되는 것이다.표준 VGA보드에는 2백56 킬로바이트(KB)의 메모리가 설치되어 있다. 1천24×7백68과 같은 고해상도에 2백56 컬러를 나타내려면 메모리가 당연히 표준 VGA보다 많아야 한다.이는 최근 컴퓨터 잡지 ... ...
3 그림으로 보는 우주구조 우주는 과연 끝이 없는가
과학동아
l
199207
믿고 있다.일반상대성이론에 따르면 이 두 개념 사이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 물질의
양
과 분포가 곧 공간의 구조를 결정해 주고, 물질의 운동은 공간의 구조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그래서 우주의 구조라는 운명을 결정해주는 중요한 요소는 우주안에 얼마나 많은 물질이 있는가 하는 ... ...
4 은하 관측법 달 표면에 천문대를 세워라
과학동아
l
199207
그 동안의 통상적 관점을 크게 바꾸어 놓았다. 이 고온 가스는 온도가 1천만℃ 정도로 태
양
표면 온도 6천℃나 오리온 대성운의 이온화된 영역의 1만℃에 비하면 훨씬 높은 온도이다. 고온 가스는 은하 외부로 방출돼 은하단에 퍼져있기도 하며, 은하중심의 강한 전파를 방출하는 원인과도 관계가 있는 ... ...
인간 뇌속에 나침반 있을까
과학동아
l
199207
붙어 있는 시험관에 넣었다. 일주일후 시험관 유리에는 자철광 결정이 붙어 있었다. 작은
양
이긴 하지만 실험에 사용된 7사람의 뇌조직 모두 자철광을 갖고 있었다. 인간의 뇌를 보면 대체로 조직 1g당 5백만개의 자철광 결정이 있다. 뇌를 감싸고 있는 질긴 막에는 1g당 1백만개의 결정이 있다. ... ...
맞춤법교정 다
양
한 편집기능 돋보여
과학동아
l
199207
하면 똑같은 형식의 문단을 만들 수 있다.이 기능을 효율적으로 이용한다면 많은
양
의 문서편집을 손쉽게 할 수 있다.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스타일 목록(style library)을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회사가 나올지도 모르겠다.여섯번째로 전문편집인들이나 간단한 사보 등을 제작하는 사람에게 필수적인 ... ...
냉장고의 열과학
과학동아
l
199207
이 방식을 응용한 냉장고 실험에 성공했다는 보도가 있었다. 센서발달로 저장칸 다
양
화냉장고의 원리가 어떻게 바뀌든, 궁극적으로는 내부의 열을 외부로 끌어내주어야 한다. 냉장고의 밖은 일반적으로 안쪽보다 온도가 높은 상태기 때문에, 열의 이동은 오히려 거꾸로라야 자연스럽다. 따라서 ... ...
이전
449
450
451
452
453
454
455
456
4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