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생활] 1000년의 역사 앙코르 와트 신화 속으로 떠난 신비한 숫자 여행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말을 실감할 수 있어요. 여러분이 앙코르 유적지에 올 때는 더 많이 공부해서 더
큰
감동을 얻어가길 바랍니다. 앙코르 유적지에는 앙코르 와트나 앙코르 톰, 프놈바깽 외에도 멋진 사원들이 정말 많답니다. 거대 신전의 모델이 된 바꽁 사원이나 스펑나무의 거대한 뿌리에 뒤덮여 생사를 함께 하고 ... ...
[참여] 반짝반짝 빛나는 신비한 광물의 세계로!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않았다.“여행을 하던 중이었어요. 이 광물은 화산탄이라고 하는데, 화산이 분출할 때
큰
용암 덩어리가 하늘로 높이 솟아오르면서 바람의 영향으로 급격히 식어 만들어져요. 그런데 여행지에서 이 돌 위에 예쁜 풍란을 올려놓고 팔고 있는 상인을 만났어요. 아주 저렴한 값에 돌 화분 취급을 받고 ... ...
PART2. 현실 닮아가는 가상현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물건을 쥐거나 버튼을 누 르려면 손가락을 정확히 인식할 수 있어야 하는데, 꽤
큰
문제다. 적외선 카메라 두 대로 손동작만 인식하는 립모션(Leap Motion)을 함께 쓰면 좀 낫긴 하다. 하지 만 립 모션도 손끝이 카메라를 향하고 있을 때는 인식 이 부정확해지고, 사용범위가 매우 좁다.좀 더 정교한 ... ...
“남들이 가지 않은 길을 가세요. 노벨상이 따라옵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셰크먼 교수는 이런 이야기를 한국 학생들에게 들려줄 것에
큰
기대를 하고 있다. "해외에서 제가 본 한국 과학자들 중에는 생명공학 분야에서 최고 수준에 도달한 사람들이 많았습니다. 이번에 만날 학생들 중에도 생명공학도로서의 꿈을 꾸는 학생들이 있겠죠. 제 강의로 ... ...
[Knowledge] 전쟁의 포성 속에서 우주의 비밀에 접근하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시공간 구조 등이 활발하게 연구됐다. 1950년대까지도 일반상대성이론은 현실과는
큰
관련이 없는 수학적인 이론으로 여겨졌고, 사람들은 아인슈타인의 이론이 실질적인 예측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해 회의적이었다. 하지만 1960년대 이후로 일반상대성이론은 제 발로 선 훌륭한 물리학 이론으로 자리를 ... ...
내 손은 동물농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사랑하는 것은 아주 중요한 일이에요. 작은 동물이라고 하더라도 지구 전체에는 아주
큰
영향을 미치거든요. 그들 중 하나라도 없어지면 하나밖에 없는 ‘집(지구)’이 망가져 버릴 거예요.Q 에도 주변에 있는 생물을 탐사하는 ‘지구사랑탐사대’가 있어요. 지구사랑탐사대원에게 ... ...
우주를 향해 크게, 더 크게! 거대망원경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보낼 때 들어가는 비용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거라 보고 있어요.모이어보다 훨씬
큰
‘플라스틱 원반’도 있어요. 미국 콜로레도대학교 연구팀과 NASA가 공동으로 만드는 초대형 우주망원경 ‘아라고 (Aragoscope)’가 그 주인공이지요. 아라고는 지난해 6월 NASA가 상상 속의 기술을 현실에 구현하기 ... ...
엄마도 깜짝 놀란 채소의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있어요. 방사선은 방사성 물질에서 나오는 입자나 전자기파를 말해요. 방사선은 아주
큰
에너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종자나 식물에 방사선을 쪼이면 짧은 시간 안에 돌연변이 품종을 만들 수 있지요.한국원자력연구원 첨단방사선연구소에는 방사선으로 육종 실험을 하는 방사선육종연구센터가 ... ...
PART1. 도시와 지진 - 카트만두의 비극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인도판과 유라시아판이 충돌하는 지점에 있다. 이번 지진은 두 대륙판이 충돌하는
큰
단층인 히말라야 주단층에서 처음 발생했다. 그 결과 연결된 작은 단층에서도 여진이 이어졌다. 또 네팔이 속한 레서 히말라야 땅은 히말라야 땅 중에서 지반이 가장 무르다. 주변 지역보다 지진이 많이 발생할 ... ...
아플 때 입맛 없는 이유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아플 때는 유독 입맛이 없어지는 것이 ‘느낌 탓’이 아니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필라델피아대 모넬화학감각연구소 연구팀은 아플 때 체내 면역시스템이 활성화되면서 ... 쓴 맛에 민감해져 입맛이 떨어질 수 있다는 의미다. 단맛과 짠맛, 감칠맛을 느끼는 데는
큰
차이가 없었다 ... ...
이전
449
450
451
452
453
454
455
456
4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