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위치
소재지
공간
자리
현장
집
뉴스
"
곳
"(으)로 총 8,702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태양계 기원 간직한 소행성
동아사이언스
l
2019.04.21
JAXA) 제공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19일 우주 머나먼
곳
에 있는 거대한 돌덩이의 모습을 담은 사진을 표지에 실었다. 일본의 소행성 탐사선이 찍은 소행성 ‘162173 류구’의 모습이다. 류구는 지름이 1㎞인 팽이 모양 소행성이다. 지구로부터 약 3억 ㎞ 떨어져 있다. 과학자들은 류구가 원시 소행성 ... ...
[주말N수학] 함수 품은 블랑망제 푸딩
수학동아
l
2019.04.20
곡선이 블랑망제 곡선입니다. 곡선을 이해하려면 먼저 ‘모든 범위에서 연속이면서 어느
곳
에서도 미분이 불가능한 함수’를 이해해야 합니다. 미분이란 그래프를 아주 잘게 쪼갰을 때 그래프가 어떻게 변하는지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아래 그림처럼 아무렇게나 생긴 곡선을 그었다고 ... ...
시민 앞 다가선 과학…첫 도심형 ‘과학축제’ 준비 현장 가보니
2019.04.19
한 관계자는 “곧 전시 시작인데 어수선하다”며 “다른
곳
들은 아직 준비가 안된
곳
이 많은 것 같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전시관 통로 사이에 있는 쓰레기를 치우려고 했지만 다른 전시관에서 알아서 한다고 해 쓰레기가 통로에 놓여진 어수선한 상태”라고 말했다 ... ...
“특수강·배터리 원료 바나듐 연구 속도내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4.19
세계적으로 바나듐 수요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바나듐 매장이 확인된
곳
에 빨간 표시가 돼 있다. 하지만 정확한 매장량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연구자들은 매장량 확인과 개발 기술 연구가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사진제공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국내에 바나듐이 전혀 없는 ... ...
장내미생물 캡슐 한 알로 아토피·천식·스트레스 한번에 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9
미국에서도 장내 미생물로 약을 개발하려고 연구 중이다. 아직까지 임상시험을 하는
곳
은 있으나, 신약으로 상용화한 사례는 아직 없다. 고바이오랩에서도 아토피피부염이나 천식 등에 치료 효과가 있는 균주를 발굴해 약으로 만들어 현재 임상시험 중이다. 고바이오랩은 쌍둥이 2000명을 ... ...
동해시 앞바다서 규모 4.3 지진…“지진해일 등 피해는 없을 것”
2019.04.19
32km로 확인됐다. 우남철 기상청 분석관은 “이번 지진 규모는 작지 않지만, 깊은
곳
에서 발생해 피해는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며 "지진해일 등 특이사항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기상청은 이날 최대 진도는 강원도 IV, 경북 III, 경기와 충북은 II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 ...
도심으로 들어온 첫 과학축제 오늘 저녁 개막
동아사이언스
l
2019.04.19
누리온, 탑승형 로봇 FX-2 등 정부출연연구기관과 과학기술원의 최고 과학기술 성과를 한
곳
에서 만나볼 수 있다. 19일 저녁 7시 경복궁 흥례문 광장에서 시작되는 전야제에서는 오프닝 공연과 개막식, 주제영상 상영, 축하공연 등이 펼쳐진다. 내빈과 과학기술인, 예비과학자 및 교사 등 500여 명이 ... ...
두 개의 태양 뜨고 지는 케플러-47에서 세 번째 행성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4.17
두 개의 별이 짝을 이루고 있는 태양계(쌍성계)에서 유일하게 행성을 두 개 이상 발견한
곳
이다. 만약 이 행성계의 행성에서 살고 있다면 날마다 태양이 두 개 뜨는 셈이다. 제롬 오로스 미국 샌디에이고주립대 천문학과 교수팀은 최근 이 행성계에서 세 번째 행성을 발견해 '케플러-47d'라 이름 ... ...
"중국 미세먼지 줄어도 한국 미세먼지 유입량 줄지 않아"
동아사이언스
l
2019.04.17
미세먼지가 높은 분포를 보인다”며 “북한은 한국보다 중국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곳
”이라고 말했다. 현재 한국을 비롯한 많은 연구자가 중국에서 한국으로 오는 미세먼지의 장거리 이동에 관해 연구하고 있다. 대부분 중국 비중이 최대 70%라고 지적하고 있다. 김 교수는 “최근 흥미롭게도 ... ...
노트르담 대성당 화재로 주목받는 문화재 방재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19.04.16
일단 불이 붙으면 대응이 쉽지 않다. 가장 큰 장애는 문화재가 대부분 접근이 어려운
곳
에 위치해 있어 소화 기술을 쓰기 어렵다는 점이다. 이명선 문화재청 안전기준과 사무관은 “노트르담 대성당은 섬에 위치해 있는데다 주변이 (길이 좁은) 구도심이라 대형 방재 시설이 접근하기 어려워 ... ...
이전
449
450
451
452
453
454
455
456
4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