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
줄기
단체
대학
대학교
자루
카운터
뉴스
"
대
"(으)로 총 10,147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초연구비 확
대
하고 바이오 및 나노·에너지 집중투자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01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연구자가 자유롭게 주제를 제안하는 상향식 연구인 기초연구 예산이 전년
대
비 약 26% 늘어나 1조 5312억 원으로 확정 ... 인정할 방침이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시행계획을 2일 공고하고 6일 서울 숭실
대
, 20일
대
전 국립중앙과학관에서 지역별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 ...
삼성·LG, 국제무
대
서 '2020 가전' 펼친다…CES 한 달 앞으로
연합뉴스
l
2020.01.01
LG전자가 각기 마이크로 LED, 롤러블 등 특징적인 기술을 발전시킨 TV를 공개할지도 기
대
된다. 삼성전자는 올해 CES에서 마이크로 LED를 적용한 75형 스크린을 공개하고 AI 기반 업스케일링 기술을 강조한 바 있으며 내년에도 이 기술을 적용한 신제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냄새와 페로몬에
대
한 우리 뇌의 ‘극단적인 융통성’
2019.12.31
흔적 기관으로 기능을 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그러나 후각 기능에 절
대
적으로 필요한 기관이라고 여겨졌던 후각망울이 없는 여성들도 아무 문제 없이 냄새를 맡을 수 있다는 발견은 필자에게 페로몬 감지 역시 서비골기관이 없이도 가능할지 모른다는 생각을 하게 했고 실제 2015년 ... ...
굿바이 2019, 과학동아 선정 과학기술 10
대
뉴스
과학동아
l
2019.12.30
사지마비 환자의 신경세포를 되살릴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이 연구는 죽음에
대
한 생물학적인 정의도 곱씹어 보게 했습니다. 그간 생물의 삶과 죽음의 경계는 뇌 기능 상실과 신체 장기 순환능력 상실로 구분해왔습니다. 이런 관점에서는 뇌세포의 부활을 삶과 죽음, 또는 그 경계 중 어느 하나로 ... ...
2020년 정부출연연구기관 예산 4조8712억원 확정... 4.2% 늘어나
동아사이언스
l
2019.12.30
따른 13명 감원이 포함됐다. 인건비는 정부처우개선율인 2020년 2.8%에 따른 379억 원과 4
대
보험요율인상 44억 원, 신규인력 65억 원 등을 포함해 올해보다 544억 원 늘어난 1조 4064억 원이 편성됐다. 경상비는 올해보다 34억 원 늘어난 2613억 원으로 편성됐다. 비정규직이 정규직으로 전환되며 인건비로 ... ...
2020년은 ‘우주쇼’의 해
동아사이언스
l
2019.12.30
2016년 1월 4일 촬영한 사분의자리 유성우 연속 사진을 모아 일주운동 사진을 만들었다. 내년 1월 4일에도 이런 사분의자리 유성우의 모습을 볼 ... 내년 가장 큰 보름달은 4월 8일 달이 지기 직전인 오전 6시 24분에 나타난다. 반
대
로 가장 작은 보름달은 10월 31일 보름달이 될 전망이다. ... ...
엘러간사 유방보형물 희귀암 환자 또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26
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거친 표면 유방보형물이 어떻게 희귀 암인 역형성
대
세포림프종을 유발하는지 구체적으로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FDA는 보형물의 표면에 있는 직물 구조로부터 미세 입자가 퍼지면서 변종 림프암을 일으킬 수 있다고 추측하고 있다. FDA 제공 ... ...
소부장 위기·AI 열풍…국민을 웃고울린 10大 과학뉴스
동아사이언스
l
2019.12.26
김성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이 27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본관 브리핑룸에서 '소재 부품 장비 연구개발 투자전략 및 혁신
대
... 서울
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과총 차기 회장)은 “역
대
가장 많은 참여로 과학기술에
대
한 높아진 관심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 ...
새해 초 밤하늘 수놓는 유성우쇼 펼쳐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26
1월-2016년 1월 4일의 사분의자리 유성우 관측을 위한 연속 사진을 모아 만든 일주운동 사진이다.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경자년(庚子年) 새해는 밤 ... 근 20년만이다. 내년 가장 큰 보름달은 4월 8일 월몰 직전인 오전 6시24분 뜬다. 반
대
로 가장 작은 보름달은 10월 31일 보름달이 될 전망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빙판길은 왜 그렇게 미끄러울까
2019.12.25
측정 결과 물보다 수십 배 큰 기름의 값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런 기이한 현상에
대
해 연구자들은 얼음 표면 물층이 단순히 물층이 아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얼음 표면이 물체에 눌리면 그 충격으로 나노미터 크기의 작은 얼음 조각들이 떨어져 나가 물과 섞이고 그 결과 물도 아니고 ... ...
이전
449
450
451
452
453
454
455
456
4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