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어린이"(으)로 총 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람은 죽어서 ‘불멸의 업적’을 남긴다과학동아 l2010년 06호
- 예술 사진에도 뒤지지 않는다.새 책세밀화로 보는 나비 애벌레권혁도 글, 그림 | 길벗어린이 | 36쪽 | 1만 원애벌레가 나비가 되기까지의 과정을 세밀화로 담았다. 생태세밀화 작가인 저자는 사실적인 묘사와 정확한 생태 관찰을 하기 위해 나비 100여 종과 꽃 150여 종을 직접 길렀다. 애벌레가 나뭇잎을 ... ...
- 지진과 쓰나미 속에서 살아남기!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6호
- 2층 짜리 건물에도 내진 설계를 하거나 내진 보강을 하도록 법을 바꿀 예정이에요. 특히 어린이를 위해 내진 설계 기준도 바꿔서, 현재 *진도 6인 중지진까지 견딜 수 있는 학교 건물을 진도 9인 대지진까지 견딜 수 있게 할 예정이랍니다.*진도 : 지상에서 느끼는 흔들림을 표시한 수치. 지진 발생 ... ...
- 나는 미래의 대한민국 우주인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6호
- 각자 다양한 방법으로 우주인이 될 수 있다니! 고산 형과의 생생한 인터뷰를 보면서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도 우주인이 되는 그날을 함께 꿈꿔 보자!왜 우주인에 도전했나요?우주인이 꿈은 아니었지만 의미 있는 일이 될 거라는 생각에 지원하게 됐어요. 선발 과정을 거치면서 꿈이란 꽃과 ... ...
- 꿀벌보다 못한 인간의 선거방식과학동아 l2010년 06호
- 타고 갈 배의 선장을 고르도록 했다.결과는 어땠을까. 안토나키스 교수의 예상대로였다. 어린이들이 지목한 선장은 선거결과와 71% 비슷했다. 평균 30세인 다른 연령을 대상으로 동일한 실험을 했는데도 결과는 마찬가지였다. 이는 어른이건 아이건 외모로 사람을 평가한다는 점을 여실히 보여준 ... ...
- 진짜 별이 되신 우주 박사님!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6호
- 어렸을 때 박사님의 영향을 받아 우주에 대한 꿈을 키웠다고 말했답니다. 어른과 어린이 모두에게 우주의 신비를 전하고, 과학의 재미를 선물해 주신 조경철 박사님의 명복을 빕니다 ... ...
- 늦잠 마녀를 물리쳐라~!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6호
- 않겠다고 다짐했어요. 늦잠 마녀가 다시는 잠의 나라를 공격하지 못하게 말이에요.‘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도 잠의 나라의 평화를 함께 지켜 줄거죠 ... ...
- 펠리노의 정체를 찾아서~ 안데스 잉카 문명을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6호
- 기술이 발전해 오래 사는 사람이 늘어났단다.▲ 미라 (마르키연구소)2009년 8월 1일자 ‘어린이과학동아’를 본 친구들은 미라가 이집트에서만 발견되는 건 아니라는 사실을 알 거야. 안데스 지역에서도 미라가 있는데, 그 예가 바로 나지. 고대 안데스 사람들은 죽은 뒤에도 다른 세상에서 계속 ... ...
- 수학이 좋아지는 다큐멘터리를 만들고 싶어요수학동아 l2010년 06호
- 많이 받고 있어 PD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어요. 오늘의 주인공인 EBS의 문현식 PD님은 어린이와 과학, 수학에 관심이 많아 지난 10년 동안 ‘딩동댕 유치원’, ‘방귀대장 뿡뿡이’의 조연출을 거쳐 ‘장학퀴즈’, ‘THE SUN’, ‘레이의 우주 대모험’, ‘피타고라스 정리의 비밀’ 등 많은 작품을 ... ...
- 반짝 반짝 빛이 그린 그림!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5호
- 창은 장미꽃처럼 보인다고 해서 ‘장미창’이라고 불리는데, 지름이 무려 13.35m예요.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 키의 10배 가까이 되는 셈이죠. 이 창문은 납으로 만든 창틀에 빨강, 초록, 노랑, 파랑 등의 색으로 빛나는 유리를 끼워서 만들었어요. 예쁜 색을 내면서도 건물이 무너지지 않도록 ... ...
- 인기 쑥쑥 ! 인기짱이 되는 과학적 비법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5호
- 온라인 활동이 친구를 사귀는 데 도움이 되는 걸까?미국 버지니아대학교 연구팀은 13~14세 어린이 172명에게 온라인 친구 맺기 사이트를 통해 어릴 적의 친구들을 어떻게 유지하고 있는지 조사했다. 그 결과 10대에 친구 맺기 사이트를 잘 활용하던 아이들은 20대 초반에도 나이와 성별, 또는 부모의 ... ...
이전4504514524534544554564574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