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놈
인류
녀석
인물
휴먼
개인
스페셜
"
사람
"(으)로 총 5,577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석봉 모친이 초롱불을 끄고 떡을 썬 까닭은...
2017.09.26
부모들은 생각해볼 일이다. 그런데 이런 이야기가 별로 설득력이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
들도 있다. 꾸준한 노력, 즉 끈기 역시 타고난 재능이라는 말이다. 외모와 마찬가지로 성격도 상당 부분 유전된다는 걸 감안하면 틀린 말도 아닌 것 같다. 돌이 갓 지난 아기도 어른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 ...
돼지→인간 장기이식, 가능성 높아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24
없앤 돼지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사이언스’ 발표했다. 장기의 기능이나 크기가
사람
과 비슷한 돼지는 이종 장기 이식에 가장 적합한 종으로 꼽힌다. 문제는 돼지가 가진 질병 바이러스였다. 아주 오래 전 돼지를 감염시켰던 PERV 잔해가 돼지 유전체 전역에 산재해 있다. 이 때문에 장기 ... ...
내향적 성격인 나, 비사회적인
사람
일까?
2017.09.24
될 것 같다. 한 가지 안타까운 부분은 이런 비사회성을 보이는
사람
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
들에 비해 20-30대가 지나면서 특히 조현병 같은 정신질환을 보이게 될 확률이 높았다는 점이다(24% vs. 1%). 하지만 아직 관련 연구가 많지 않은 특성이라 연구자들도 비사회성이 이런 정신질환과 관련을 보이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진드기, 성가신 게 아니라 두려운 존재!
2017.09.19
SFTS바이러스가 실체를 드러낸 지 불과 7년 만에 동아시아 전역에 퍼졌고 점점 더 많은
사람
들이 감염되고 진드기뿐 아니라 고양이 같은 동물도 매개체가 될 가능성이 확인되고 있다. 따라서 이제는 ‘긴소매 옷을 입고 야외에 다녀온 뒤 몸을 잘 살펴라’는 수준 이상의 대응을 고려해야 할 때가 ... ...
힘들어도 쾌활한 척하면 정말 기분이 좋아질까
2017.09.17
직후가 아니라 이후 그 일을 우리가 마음 속으로 프로세스하는 도중이며, 같은 일에도
사람
마다 서로 다른 대응을 보이는 게 가능하다는 것이다. 나쁜 일이 그 자체로 우리를 흔든다기보다 그 이후에, 내가 나의 감정에 어떻게 응답(무시? 또는 과하게 부풀리기?) 하느냐가 더 큰 관건일 수 있다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게놈편집으로 흰 나팔꽃 만들었다!
2017.09.12
꽃잎이 하얀 나팔꽃을 만드는데 성공했다는 일본 연구자들의 논문이 실렸다. 일본
사람
들은 나팔꽃을 전통적인 원예 식물로 귀하게 여기는 것 같다. 지난해에는 나팔꽃의 게놈을 해독하기도 했다. 논문을 보면 나팔꽃(Ipomoea nil)의 영문명이 Japanese morning glory(일본나팔꽃)이다. 그럼에도 재배 역사를 ... ...
지금 현재를 행복하게 살 수 있는 방법
2017.09.09
한다. 또 최근 한 연구에 의하면 평소 잠깐 멈추고 마음을 정리해 버릇하지 ‘않는’
사람
들에게서 이런 작은 명상의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난다고 한다(Creswell et al., 2014). 나의 경우처럼 손을 움직여서 할 수 있는 단순 작업이나 정처없이 걷기 등 뭐든 좋으니 생각을 잠시 멈추는 습관을 한두 개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객성과 신성과 초신성
2017.09.05
하지 못할망정 폐만 끼치는 존재일까라는 자괴감도 든다. 이런 기분이 들 때 떠오르는
사람
이 세종대왕이다. 비록 우리만 쓰고 있지만 한글은 문자의 역사에서 기념비적인 업적이고 그밖에도 세종 시절 이룬 과학기술 업적이 눈부시다. ‘나랏말싸미 듕귁에 달아 문짜와로 서르 사맛디 아니할쎄.. ... ...
휴가는 당신을 얼마나 행복하게 했나요?
2017.09.02
않았다. 다만 휴가를 ‘스트레스 전혀 없이’ 정말 여유롭게(relaxing) 보냈다고 응답한
사람
들은 휴가를 다녀와서도 2주 정도 더 행복한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이들도 2주 후에는 역시 원래의 행복도를 되찾는 모습을 보였다. 어쩌면 우리가 휴가를 즐겁게 생각하는 것은 휴가를 가기 전 준비, 기대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섹스와 젠더의 과학
2017.08.29
것이다. 그 결과 이는 천재성은 남자의 특성이고 특정 학문이 천재들의 영역이라는
사람
들의 고정관념이 아이의 성장 과정에서 주입된 것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즉 여섯 살만 돼도 여자아이는 남자아이에 비해 자기 성이 정말 똑똑할 수 있다는 생각을 하는 비율이 낮다고 한다. 그 결과 초등학교 ... ...
이전
450
451
452
453
454
455
456
457
4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