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도
서울시
서울특별시
중앙
도읍
seoul
국도
d라이브러리
"
서울
"(으)로 총 5,355건 검색되었습니다.
1천9백여개의 망원경 탄생시킨 김한철씨
과학동아
l
199106
작업장은 말 그대로 하꼬방에 불과하다. 이속에는 10여대의 망원경이 전시돼 있고 '
서울
천문동호회''대학생 아마추어 천문 연합회''한국 아마추어 천문학회'등 각종 아마추어 천문단체들의 간판과 조그만 플래카드들이 걸려있다.김한철씨의 공식적인 직함은 망원경을 제작해 판매하는 선두과학사 ... ...
바이칼 호(湖)
과학동아
l
199106
세계 육지 수량의 5분의 1을 가두고 있는 초생달 모양의 바이칼호. 이곳에서는 한여름에도 수영하기가 힘들다.바이칼호는 소련 시베리아 동부의 부리야트자치공화국 내에 있는 세계 유수의 담수호다. 호수의 크기는 남북 길이가 약 6백50km, 동서 폭이 40~80km에 이른다. 그 표면적만을 따지자면 세계 8 ... ...
1 PC서브·케텔·인포서브
과학동아
l
199106
주제도 통신교육으로 잡는 등, 마인드 확산에 노력하고 있다. 통신위원장인 서영창교사(
서울
중앙여중)도 뒤늦게 컴퓨터를 만나 10개월의 짧은 경력을 갖고 있지만 누구보다 이 분야에 관심이 많다."PC통신은 여러사람에게 한꺼번에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고 전국 누구에게나 시간에 관계없이 질문을 ... ...
치타
과학동아
l
199106
결코 마라토너로 종목변경을 할 수 없는 동물계의 「칼 루이스」는 정정당당한 한판을 즐긴다.지상에서 가장 빠른 동물은 어느 동물일까. 자타가 공인하는 단거리 챔피언인 치타인데 이 동물의 최고 시속은 1백~1백10㎞다. 이 속력은 5백m를 달리는데 소요된 시간을 시속으로 환산한 것이다. 또 1백m ... ...
'볼보'를 만드는 끈기와 정확성의 과학전통
과학동아
l
199106
없으므로 내가 공부했던 웁살라 대학의 일반적인 위상에 대해서는 말할 수 없다. 따라서
서울
에서 대학과 대학원 석사과정을 거친 경험과 웁살라 대학의 생활체험에서 느낀 몇가지를 말해보고자 한다.첫째는 도서관 이용의 편리함이다. 각과마다 전공분야별로 도서관을 운영하고 단과대학별 ... ...
남은 수명 어떻게 계산하나?
과학동아
l
199106
있다.이제까지남은 수명을 계산하는 방법은 여러 사람이 제안했다. 우리나라에서도 89년
서울
의대 김건열교수가 미국의 심리학자이며 노인학 학자인 다이아나 우드럼 박사의 저서에 기초해 '수명증감요인 적용표'를 만들어 발표한 적이 있다.여기에는 가족 관련 사항, 건강, 교육정도와 직업, ... ...
비운의 물리학자 이휘소의 삶과 죽음
과학동아
l
199106
의해 고대에 기증됐다.78년 이휘소 자신이 생전에 기획했던 '고에너지물리 국제워크숍'이
서울
대에서 '벤자민 리 기념심포지움'으로 명칭이 바뀌어 열렸다. 그후 과학재단 주최로 매년 '이휘소기념강연'이 열리다가 어느 해부터인가 흐지부지되고 말았다.비운의 물리학자 이휘소, 그의 삶과 죽음은 ... ...
누가 아인슈타인을 거역하랴?
과학동아
l
199106
금세기 최대의 성과인 상대성이론에 반기를 든 과학자도 없지 않았으나 아인슈타인의 이론은 오늘날에도 계속 입증되고 있다.1915년에 아인슈타인(Einstein)이 발표한 일반상대성 이론은 한마디로 17세기에 뉴턴(Newton)이 만들었던 중력(만유인력)의 이론을 더 정밀한 이론으로 개량한 것이라고 말할 수 ... ...
전기가 「콸콸」쏟아진다
과학동아
l
199106
71.7V(6백44만5천호)를 넘어섰는데, 도시보다는 농어촌 지역이 훨씬 공사 진척이 빠르다.
서울
지역은 50% 내외에 머물고 있는 반면에 농촌 지역은 80% 가까이 육박하고 있다. 농촌 지역이 이처럼 빨리 승압이 진척되는 것은 도시보다 공사하기가 편리하고, 승압했을 경우 양수기 효율이 눈에 띄게 ... ...
2 좁혀지는 과학자와 기술자의 간격
과학동아
l
199106
차세대 컴퓨터인 뉴로컴퓨터(신경회로망 컴퓨터)개발작업에 참여하고 있는 임지순교수(
서울
대 물리학과)는 단순히 기존의 산물을 보완·개선하는 차원을 넘어 새로운 발명품을 만들어 내려면 타 전공자로부터 뜻밖의 아이디어를 제공받을 수 있는 학제간 연구가 필수적이라고 말한다. ... ...
이전
451
452
453
454
455
456
457
458
4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