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언어
발언
표현
단어
언사
소리
language
d라이브러리
"
말
"(으)로 총 12,947건 검색되었습니다.
[시사] 서양수학사에 한 획을 그은 수학의 명가 베르누이 가문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16세기 프랑스에서 일어난 종교개혁으로 생긴 새로운 기독교 사상이다. 그런데 16세기
말
칼뱅파에 대한 박해가 심해지자 1583년 독일 프랑크푸르트로 피난을 갔다. 하지만 이곳에서도 오래 머물지 못했고, 마지막으로 스위스 바젤에 정착했다.바젤에서 베르누이 가문은 가장 오래된 상인 집안과 ... ...
PART4. 핵융합 실현 기술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토카막과 스텔러레이터의 차이점은 플라스마를 꽈배기 형태로 만드는 방식이다. 앞서
말
한 추가 자기장을 토카막은 플라스마에 전류를 흘려서 간접적으로 유도한다. 즉 플라스마 내부에 수평(토로이달) 방향의 전류를 흘려 수직방향(폴로이달 방향)으로 유도자기장을 만든다. 반면 스텔러레이터는 ... ...
[hot science] 영조와 사도세자 정신병원에 오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그의 아내를 만나다“혹시 강 선생님 되시나요?” 그날 저녁 불 꺼진 병원으로 그녀가 들어섰다. 한 눈에 봐도 보통 집안 사람은 아닌 듯 했다. “오늘 이 ... 우리 주변에 있다. 어쩌면 이 글을 보고 있는 당신일 수도 있다. 마음이 아프다면 주저
말
고 병원으로 오시라. 고치면 되는 일이다 ... ...
[잘 가르치는 대학이 뜬다 1] 숭실대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평소에 해보지 못했던 다양한 실습을 했던 것이 수상에 큰 도움이 됐다”고
말
한다. 여름방학에는 특허등록과정을 가르쳐 학생들의 기술개발과 창업을 돕는다.소프트웨어학부는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데이터사이언스’ 트랙 외에도 임베디드 프로그래밍을 배우는 시스템소프트웨어 트랙과 ... ...
고민하는 초파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2호
하고 결정한다고? 사람이 결정을 할 때에는 뇌 속에서 충분한 정보를 모아 선택해요.
말
을 하거나 어떤 것을 결정하는 행동에는 ‘FoxP’라는 유전자가 관련이 있지요. 연구팀은 이와 마찬가지로 초파리에게도 뇌가 무언가를 결정하게 만드는 FoxP 유전자가 관련돼 있다고 설명했어요. 사람이 아닌 ... ...
[시사] tvN 월화드라마 라이어게임 극한심리추적극 필승법은 수학이다!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뒤 카드를 여러 장 바꾸면 그만큼 같은 문자 카드를 얻을 수 있다.이처럼 최고의 거짓
말
쟁이를 가리는 대회인줄만 알았던 라이어게 임의 필승법은 수학에서 찾을 수가 있었다. 드라마와 만화를 보면서 기사에 소개되지 않은 수학 필승법을 찾아보는 건 어떨까? 힌두 셔플★ 카드 무더기에서 일부를 ... ...
[생활] 상식을 뒤집어 생각을 전환하라! 무한의 발견 ∞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엄밀하게 정의할 수 있었던 것이다.“수학의 본질은 자유에 있다”고 주장한 칸토어의
말
처럼, 상식을 뒤집어 생각을 전환할 때 위대한 발견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을 기억하길 바라며 을 마친다 ... ...
PART1. 에너지 비정상회담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년은 미국 핵융합의 침체기였어요. 레이저 방식이 성과를 못 냈거든요. 하지만 지난 8월
말
미국 에너지국(DOE)이 프로젝트를 가동해 핵융합 연구를 지원하기로 했죠. 이터와는 다른 방식도 지원하겠다고 해요.Y: 한국은 케이스타가 최근 1만 번째 실험을 돌파했어요. (▶6파트 참조)알베르토: 내년 ... ...
PART5. 핵융합의 난관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길들이기현재 연구 중인 핵융합 장치들의 에너지 가둠시간은 약 0.2~0.3초 정도다. 다시
말
해 우리는 핵융합 장치의 보온성을 지금보다 10~20배 개선해야 한다. 이러기 위해서는 고온인 플라스마를 안정적으로 유지해야 한다. 잠깐 딸기 잼이 채워져 있는 도넛을 상상해 보자. 도넛 안에는 딸기잼이 ... ...
PART 2. 소행성 ‘보쌈’해 지구 구한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을 캐낸 다음, 3D프린팅 기술을 이용해 즉석에서 기지를 만드는 연구도 계획 중”이라고
말
했다. 미국 행성 과학자들이 미래에 가장 잘 나갈 만한 분야로 꼽는 게 바로 소행성 채굴이다. 2005년이토가와 소행성에서 세계 최초로 미립자를 반입하는 데 성공한 일본은 11월 30일 두 번째 소행성 탐사선 ... ...
이전
451
452
453
454
455
456
457
458
4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