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세
세금
공세
공조
요금
조공
지불금
d라이브러리
"
세
"(으)로 총 7,755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안의 자연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나는 태안을 그저 겨울에 머물다 가는 곳으로만 생각하고 있었어. 그런데 이번에 자
세
히 둘러보고 나서 정말 아름답고 소중한 생물들이 많이 살고 있는 곳이라는 걸 알았어. 해양생태계가 시작되는 갯벌, 국내 최대의 철새 도래지인 천수만, 특이한 생물이 많이 사는 신두리해안사구 등….이런 곳에 ... ...
내 몸으로 열려라 참깨! 바이오인식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더 자
세
하게 알고 싶다면 ‘어린이과학동아’2007년 7월 1일자 쥐꼬리 과학백과를 보
세
요. 위조 하지 마! 아니 못 할걸?생체정보 유출뿐만 아니라 생체정보의 위조도 많은 사람들이 걱정하고 있는 부분이야. 친구들도 위조된 지문을 손가락에 붙이고 문을 통과하는 영화를 보고 바이오인식 기술이 ... ...
수성을 스쳐 지나간 메신저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밀집해 있다그 내부를 이차소절(二次小節)이라 하며 유사분열(有絲分裂)을 볼 수 있고
세
균의 침입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한다 분자의 바깥 껍질전자(外殼電子)속에서 같은 궤도로 들어가 전자쌍을 이루면서 두 원자 간의 결합에 관여하지 않는 전자쌍 비공유(非共有) 전자쌍이라고도 한다 ... ...
인간광우병 공포 누그러뜨린 프리온 발견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되는 것과 마찬가지다.그 뒤 단백질의 입체구조가 바뀌면서 서로 뭉쳐 결국 뇌
세
포를 파괴해 생기는 질병들이 속속 보고되기 시작했다. 아밀로이드 단백질로 인한 알츠하이머병, 시누클레인 단백질의 파킨슨병, 헌팅틴 단백질이 관여하는 헌팅턴병 등이다. 현대 의학의 과제는 이들 잘못 접힌 ... ...
행복의 기술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번씩 20분간 운동을 하면 전보다 10~20%는 더 행복해진다4. 시간을 잘 관리하라-상위 목표를
세
워라-그 목표를 매일 매일 실천할 수 있는 작은 목표들로 나눠라-자투리 시간을 생산적으로 활용하라(기다리는 시간에 구두 닦기, 생각을 정리할 시간 갖기)5. 문화를 만들어라-음악 듣기-춤 추기-요가 하기 ... ...
사형용 '죽음의 칵테일' 시험대 올라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가리킨다지역적으로는 동남아시아· 유럽 중부 · 북아메리카 동부에 분포하고 전
세
계 산림면적의 30%를 차지한다온대 · 아열대 해수역(海水域)에 서식하는 어류 난해성(暖海性) 어류라고도 한다10~30℃의 수온 범위에 사는 어류로서 수온범위가 좁아 수온 수괴(水塊)를 따라 이동하는 어류는 따로 ... ...
EPISODE1 또 하나의 '투모로우'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미래의 기후를 변화시키는 강력한 변수다. 지난해 IPCC(정부간 기후변화위원회)는 금
세
기 말 기온이 최대 6.4℃ 올라갈 거란 비극적인 시나리오를 발표했다. 안순일 교수는“대기 중 온실기체의 농도가 계속 높아지면 지구의 기후가 밀란코비치주기의 영향을 아예 받지 않을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 ...
EPISODE3 인류구원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전에 바다가 먼저 증발해 전체가 사막처럼 말라버릴지도 모른다. 메마른 지구가
세
번째 미래의 모습이다. 사실 태양은 적색거성이 되기 전에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에너지를 많이 뿜어낸다. 과학자들에 따르면 태양은 10억 년 뒤 지금보다 11% 더 밝아지고 35억 년 뒤 지금보다 40% 더 밝아진다 ... ...
이산화탄소 배출 주범은 주요 산업국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방식과 강도로 과거의 모든 지질학적 과정들에도 똑같이 작용했다고 보는 견해로서, 19
세
기 스코틀랜드 지질학자 라이엘의 '지질학 원리'에서 본격적으로 ... ...
tRNA 결정에서 풀어낸 입체 구조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의 하나인 라스(Ras) 단백질의 입체구조를 밝혀 또 한 번
세
상을 놀라게 했다. 김 교수는 1994년 한국인으로는 처음으로 미국학술원 정회원으로 선출되기도 했다. 일부에서는 김 교수가 RNA를 계속 연구했더라면 노벨상을 받을 수도 있었다며 아쉬워했다.“노벨상을 타기 ... ...
이전
451
452
453
454
455
456
457
458
4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