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chemistry
화학기계
기계
화학물리학
물리학
자연 과학
뉴스
"
화학
"(으)로 총 6,911건 검색되었습니다.
[노벨상 시상식]효소와 항체 생산의 진화를 이끌다
2018.12.08
노벨상위원회 제공 올해 노벨
화학
상은 효소, 항체 등 생물 분자 기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연구자들에게 돌아갔다. 효소의 방향적 진화(directed evolution of enzymes)를 연 ...
화학
공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캘리포니아공대 박사후과정을 지냈으며 현재 국민대 응용
화학
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 ...
최근 노벨상 5대 트렌드
과학동아
l
2018.12.08
미국 국적 2명 포함) 탄생했다. 특히 2000년대 약진이 두드러진다. 2002년에는 물리학상과
화학
상 두 분야에서 수상자를 배출하는 등 일본은 2000년 이후에만 노벨 과학상에서 18명의 수상자를 배출했다. 김 정책연구팀장은 “일본은 19세기 후반부터 과학기술 연구개발에 투자해왔고, 이미 제2차 ... ...
한해 70만명 죽는데…항생제 발굴 연구 133건 출구가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6
가지 못하는 상황에서 더 명확한 검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임원빈 동아ST 의약
화학
실장은 “수 백만 명 이상이 슈퍼박테리아로 죽는 상황이 올 것”이라며 “공공의 성격을 띠는 항생제 연구는 정부와 민간이 함께 힘을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 ... ...
울릉도 땅속에서 말라리아 치료 해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6
붙였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울릉도의 땅속 미생물에서 새로운
화학
적 구조를 갖는 항말라리아 물질을 찾는데 성공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항암물질연구단은 6일 울릉도에서 찾은 희귀 방선균이 만드는 네 가지 신규화합물이 열대 지역에서 문제를 일으키는 말라리아를 ... ...
말라리아 치료물질 '울릉도 토종 미생물'이 갖고 있다
연합뉴스
l
2018.12.06
A 생합성 유전경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연합뉴스] 아울러 해당 화합물 구조를
화학
적으로 변형시킨 유도체 물질은 클로로퀸 저항성 열원충에 대해 우수한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됐다. 클로로퀸은 말라리아 치료제다. 쉽게 말해 말라리아약을 듣지 않게 만드는 기생충을 저격하는 ... ...
UNIST에 동물똥 쓰는 연료전지 발전소 짓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5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CO2)를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최근 김건태 UNIST 에너지및
화학
공학부 교수 연구진이 이산화탄소를 이용하는 연료전지를 개발하는데 성공했고, 이를 바탕으로 친환경적으로 에너지를 생산하는 자원순환시스템을 제안했다. 연구진은 우선 동물의 배설물 이용해 바이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세먼지 몸통 검댕 나노입자의 탄생
2018.12.05
나오는 물질을 분석했고 그 결과 흥미로운 사실을 발견했다. 작은 라디칼이
화학
반응을 통해 점점 큰 라디칼로 바뀌는 것이었다. PAH처럼 탄소 골격 사이에 이중결합이 여러 개 있을 경우 전자들이 공명(resonance)이라는 양자역학적 특성을 띠면 안정한 분자가 된다. 그런데 몇몇 PAH는 라디칼이 돼야 ... ...
[과학게시판]'여성과기인 정책, 4차 산업혁명시대를 준비하는가' 外
동아사이언스
l
2018.12.03
기술과, 김형주 박사팀의 '버려지는 탄소원을 이용해 유용한
화학
제품을 만드는 전기
화학
촉매기술', 전근 박사팀의 '반도체 핵심 소재 광개시제 상용호'가 포함된다 ... ...
‘아프리카 실리콘밸리’에 제2 KAIST 짓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3
건립된다. 초기 개설 학과는 △기계공학 △전기 및 전자공학 △정보통신기술(ICT) 공학 △
화학
공학 △토목공학 △농업생명공학 등 6개다. 연간 학생 수는 120명으로 시작해 최대 300명까지 단계적으로 늘려나간다는 계획이다. 김보원 KAIST 기획처장은 “지난 40여 년간 과학기술 인재를 양성하고 ... ...
본격 의학 연구로 영역 넓히는 구글AI
동아사이언스
l
2018.12.03
단백질이 제시되면 알파폴드는 신경망을 이용해 아미노산 사이의 거리와 이를 연결하는
화학
결합 간의 각도를 예측한다. 예측한 각도와 거리를 기반으로 3D형태의 단백질을 보여준다. 연구자들은 AI에 충분한 정보가 쌓이게 되면 단백질의 아미노산 구조를 분석해 그 차이점을 밝힐 수 있을 것으로 ... ...
이전
451
452
453
454
455
456
457
458
4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