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6,064건 검색되었습니다.
인터넷 신화 일군 야후!
과학동아
l
200001
검색 서비스를 만든 제리와 데이빗은 이를 보완하는데 그야말로 풀타임 시간을 보냈다.
박사
학위논문 준비는 내팽개친지 오래였다. ‘새로운 사이트’(What’s New)나 ‘추천 사이트’(What’s Cool) 같은 버튼을 추가하면서 야후는 이용자들로부터 더욱 인기를 얻어 두 사람은 집에도 가지 못한 채 ... ...
아름다운 방정식, 아름다운 자연
과학동아
l
200001
물리학그리스 신화에서 1백개의 눈을 가진 괴물 아르고스는 여신 헤라의 황금사과를 지키고 있었다. 그러나 헤르쿨레스는 아르고스를 죽이고 황금사과를 훔쳐냄으로써 그에게 떨어진 12가지 벌 중 하나를 해결한다. 아르고스를 총애했던 헤라는 그 1백개의 눈을 가장 아름다운 새 중 하나인 공작새 ... ...
한국 우주시대를 개막한 아마추어위성 우리별
과학동아
l
199912
한 30만달러. 당시에는 그 돈이 없었기 때문에 외상유학이었던 셈이다.1990년 최순달
박사
가 한국과학기술원 내에 인공위성연구센터를 설립하자, 과거 그와 인연을 맺었던 체신부, 과학기술처, 그리고 과학재단 등이 1백억원에 가까운 돈을 적극 지원해 주었다. 젊고 우수한 인공위성 개발인력을 ... ...
양(羊) 심장판막 인공배양에 성공
과학동아
l
199912
자신의 세포로 심장판막을 만들어 이식하는 수술이 처음으로 성공했다. 미국 보스턴 아동병원의 사이먼 호어스트럽
박사
는 양에서 혈관세포를 추출한 다음 실 ... 퍼스터
박사
는 “이제 사람의 것과 똑같은 심장판막을 만들어낼 수 있게 됐다”며호어스트럽
박사
의 실험을 높이 평가했다 ... ...
인간복제는 시간문제 복제양 돌리
과학동아
l
199912
일어났다. 얼마 후 이 수정란은 대리모의 자궁 속에서 자라 세상의 빛을 보았다. 윌머트
박사
는 이 양의 이름을 ‘돌리’(젖가슴이 큰 미국의 여가수 돌리 파튼에게서 따옴)라고 지었다.탄생과정을 살펴보면 돌리는 암컷임을 알 수 있다. DNA를 어머니에게서만 물려받았기 때문이다. 보통의 ... ...
목 비튼 채 통화하면 위험
과학동아
l
199912
있다. 그런데 이 정신과 의사의 경우 경상돌기 하나가 비정상적으로 길어졌다. 쥐베르
박사
는 “장시간 통화만 하지 않았어도 이런 이상이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라며, “목을 오랫동안 비틀고 통화하는 일이 위험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한가지 사례“라고 말했다 ... ...
우리은하도 충돌했다
과학동아
l
199912
연구성과를 내놓은 것은 획기적인 일”이라고 말했다. 또한 한국천문연구원의 김봉규
박사
는 “우리나라 천문학 연구에서 커다란 한걸음을 내딛은 일”이라고 환영했다. 세계의 과학자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나아가는 우리나라 젊은 연구자들의 다음 목적지는 어디일지 자못 기대가 된다 ... ...
'사람은 먹고 벌레는 못 먹는' 배추 만든다
과학동아
l
199912
않은 변수들로 수포로 돌아가는 일을 걱정하는 권 교수의 말이다. 현재 연구실에는
박사
과정 8명과 석사과정 6명이 권 교수와 일체가 돼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한국식 유전공학을 보여주겠다는 권 교수의 다짐과 온실과 배양실을 바삐 오가는 진지한 연구원들을 본다면 누구나 우리나라 유전공학의 ... ...
찔레꽃은 붉지 않고 낮에 나온 달은 하현달
과학동아
l
199912
찔레꽃에는 연분홍과 흰색꽃은 있지만 붉은 꽃은 없기 때문이다. 광릉수목원의 이유미
박사
는 '우리가 알아야 할 나무 백가지' (현암사)에서 찔레는 붉은 꽃이 없으며, 특히 따뜻한 남쪽지방보다는 중부지방에 흔해서 남쪽나라의 추억으로는 어울리지 않는다고 했다. 아마도 작사가는 어감상 어쩔 ... ...
디지털로 세계를 묶은 인터넷
과학동아
l
199912
회선이 망가지면 역시 문제가 된다.고등연구계획국의 고민은 1962년 MIT의 리클라이더
박사
가 해결해주었다. 그는 오늘날 인터넷의 개념을 담고 있는 ‘은하 네트워크’(galactic network)를 제안했다. 전세계의 컴퓨터가 하나로 연결되어 어디서나 빠르고 쉽게 접속할 수 있는 방식이다. 그러나 그의 ... ...
이전
452
453
454
455
456
457
458
459
4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