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길거리
사이
길
틈
가로
틈새
d라이브러리
"
거리
"(으)로 총 5,700건 검색되었습니다.
1 시간은 비대칭, 미래로만 일방통행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때문에 빛의 속도에 관측자가 존재하는 우주의 나이를 곱하면 관측자가 볼 수 있는 최대
거리
가 된다. 이를 우리는 '우주 지평선'(space horizon)이라고 부른다. 린데가 말한 딸우주들은 모두가 이런 자기 자신들의 지평선 밖에 존재 한다. 그러므로 하나의 딸우주에서 다른 딸우주로 여행하자면 이런 ... ...
20개 국립공원 자연경관 분석 36년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전공해 오늘에 이르렀다.처음에는 순수 지형학을 연구했으나 그것이 실생활과는
거리
가 있음을 깨달았다. 이에 따라 지금은 우리나라 20개 국립공원의 각종 자연경관을 분석, 일반인이 쉽게 이해하고 음미하며 관람할 수 있도록 하고자 응용지형학분야와 씨름하고 있다.이처럼 지형학 중에서도 ... ...
1 유전자지도 완성, 생명의 신비 밝힌다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하나는 매 10만번 정도의 위치에 표지를 해놓는 물리적 지도작성이다. 이는 수학적인
거리
개념이 도입된 방법이다. 또다른 것은 유전적 지도작성이다. 이는 인체에서 특정 기능을 하고 있는 유전자의 상대적인 위치를 표기하는 작업이다. 이는 마치 관광지도와 같이 특정위치만을 표시해 놓는 ... ...
4월15일 부분월식, 대풍년 예고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부분월식이 있다.4월의 천문현상 13일 해가 뜨기 30분 전, 금성과 토성이 불과 1˚의 각
거리
를 두고 떨어져 있다. 쌍안경을 가지고 동쪽하늘을 잘 살펴보자. 물론 밝은 별이 금성이다.14일 수성의 내합.15일 부분 월식. 이번 월식은 최대식분이 0.117. 우리가 보는 달 면적의 11.7%가 지구 그림자 속으로 ... ...
150억년 우주 역사 한눈에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사진이다. 이 은하는 지구로부터 8백만광년 떨어져 있으며, 오른쪽 모습은 약 1천광년
거리
에 해당한다. NGC 253(또는 M82)과 같은 별탄생은하(starburst galaxy)에서는 은하 전체에서 별들이 폭발적으로 탄생하고 있다.이 사진에는 HST의 높은 분해능 덕분에 밝은 성단과 먼지로 이루어진 띠, 그리고 밝게 ... ...
국내 첫 컴퓨터 바이러스 연구소 세운 의학박사 안철수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없이 할 수 있는 일을 찾기 힘든 요즘의 세태를 고려한다면 이같은 현상은 별 이야기
거리
도 못될 것이다. 범용성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가 한 두 '천재'에 의해 오늘날처럼 정보사회의 중심으로 우뚝 선 것은 아닐 것이기 때문이다. 사용자가 다양하다보니 이 매력적인 기계에 특별한 관심을 가진 ... ...
세계 최대 두루미의 낙원 이즈미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이 가운데 1만여 마리는 두루미가 차지한다. 이 두루미를 관찰하기 위해 왕복 이틀을 장
거리
여행했기 때문에 더 많은 곳을 가보지 못한 아쉬움이 남았다. 그러나 이즈미의 두루미 관찰센터가 워낙 압권이어서 탐사진은 더 이상의 미련은 가지지 않아도 좋다고 입을 모았다.결국 우리보다 앞서가는 ... ...
어린왕자와 신나는 우주여행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전체가 나타난 주화면에서 가고 싶은 행성을 선택하면 행성의 특징적 내용과 태양과의
거리
행성의 크기 질량 위성수 등과 같은 기본적인 천문학적 지식을 어린 왕자와 여우의 대화를 통해 알 수 있다. 특히 태양계 내의 9개 행성중 이미 충분한 정보가 확보된 지구 화성 목성은 자료를 십분 활용해 ... ...
4. 반도체 제조·오염물질 처리에 획기적 활용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얻는데 이용될 수 있는 플라스마 엔진을 만들 수 있다. 이 방법을 이용하면 물체를 단
거리
에서 초고속으로 가속시킬 수 있기 때문에 초고속 물체의 충돌 모의실험이 가능하다. 또한 군사목적으로 쓰여질 수 있는 전자포를 만들 수 있다. 전자포는 실용화를 목전에 두고 있다.극한 환경 창출 ... ...
허블 망원경 최신 우주 통신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워싱턴대학의 바움(W. A. Baum) 등이 구상성단들의 밝기분포로부터 계산한 NGC4881까지의
거리
는 1백 메가파섹(Mpc)보다 먼 것으로 나타났으며, 허블상수는 70㎞/초/Mpc보다 작아야 한다. 이 결과는 과학동아 2월호에 소개했던 내용과는 좋은 비교를 이룬다. 장시간 노출 사진을 더 많이 겹칠 경우 이러한 ... ...
이전
453
454
455
456
457
458
459
460
4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