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립
관립
국정
국유
국립과학관
과학관
국립현대미술관
뉴스
"
국립
"(으)로 총 6,209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머리 큰 사람 vs 작은 사람, 뇌 구조도 다르다
2018.06.05
그런 것 같지는 않다. 아무튼 뇌용량의 큰 편차는 선뜻 이해가 되지 않는 현상이다. 미
국립
정신건강연구소(NIMH)가 주축이 된 다국적 공동연구팀은 3000명이 넘는 사람들의 뇌를 스캔한 자기공명영상(MRI) 데이터를 분석해 뇌 크기에 따라 구조가 다르다는 놀라운 사실을 발견했다. 즉 뇌의 대뇌피질 ... ...
[출동!기자단] 백두산호랑이를 만나다!
국립
백두대간 수목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6.05
인류가 문명을 유지하는 데 반드시 필요하답니다.
국립
백두대간수목원의 주요 시설 -
국립
백두대간수목원 제공 *출처 : 어린이과학동아 2018년 11호(6.1발행) ...
유방암 치료에 희소식...면역항암제 가능성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18.06.05
유방암 환자를 치료하는 임상시험에 처음으로 성공했다. 니콜라오스 자하라키스 미국
국립
암연구소 외과학분과 연구원팀은 면역항암제를 이용해 49세의 전이 유방암 말기 환자를 치료해 예후를 크게 개선하고, 그 결과를 ‘네이처 메디슨’ 4일자에 발표했다. 면역항암제는 인체가 가진 면역세포의 ... ...
젊은이의 흰머리, 유전자 돌연변이 탓
과학동아
l
2018.06.04
나는 이유가 과잉 면역반응 때문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앨라배마대와
국립
인간게놈연구소 공동연구팀은 머리를 희게 만드는 유전자가 면역계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플로스 바이올로지’ 5월 3일자에 발표했다. Public domain 제공 머리카락이 새로 날 때 모낭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전쟁은 인간의 본성?
2018.06.03
좀 그렇네요. 이들은 침팬지였으니까요. GIB 제공 곰베 침팬지 전쟁 원래 곰베
국립
공원의 북부와 남부 지역은 하나로 통일되어 있었습니다. 이들은 최소 수십년 동안 평화롭게 살았는데 리키라고 불리던 수컷이 가교 역할을 하고 있었죠. 그런데 1970년 말 리키가 사망합니다. 그러면서 ... ...
'세한도' 속 나무가 추위를 견디는 비결, DNA 구조 조절에 있었네
동아사이언스
l
2018.05.30
호스15(HOS15)라는 단백질이 추위를 견디는 데 핵심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내 미국
국립
과학원회보(PNAS) 21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세포 속 핵의 DNA가 꽁꽁 뭉쳐 있는 구조에 주목했다. DNA는 워낙 길고 가는 구조라 마치 실패처럼 생긴 단백질(히스톤)에 돌돌 말린 채 세포 안에 차곡차곡 쌓여 ... ...
생명 진화 비밀은 접히고 펴지는 단백질의 특수 구조
동아사이언스
l
2018.05.29
실제 단백질에 적용하는 방법을 모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
국립
과학원회보(PNAS) 온라인판에 5월 1일 게재됐다. IBS연구진은 단백질의 아미노산 구조 일부가 ‘유연한 띠’로 바뀌는 현상이 진화의 원인이 된다고 보고 있다. IBS 제공. ... ...
별세포 활성 떨어지면 운동 능력은 향상
과학동아
l
2018.05.28
중 가장 많은 별세포가 소뇌의 운동 능력에 관여한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미국
국립
과학원회보(PNAS)’ 4월 24일자에 발표했다. 별세포는 주로 신경세포의 이온농도를 조절하거나 노폐물을 제거한다. 연구팀은 동물실험을 통해 별세포가 소뇌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 ...
인체 위협 고농도 오존, 미세먼지에 가려진 사이 더 잦아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28
쓰이는 톨루엔과 자일렌, 석유화학 제품의 원료로 활용되는 에틸렌 등으로 나타났다.
국립
환경과학원 관계자는 “기온이 전반적으로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일정 수준의 대기 질 개선 효과를 보려면 과거보다 배출량을 더 많이 줄여야 하는 상황이 됐다”고 설명했다. 게다가 오존은 ... ...
[융합이 미래다] ② 노벨상 무관의 한국, 융합연구에서 답을 찾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25
320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실제 미국의 라이고 프로젝트는 1987년부터 약 30년간 미국
국립
과학재단(NSF)에게 1조3000억 원 이상의 지속적인 투자를 받아 성공한 융합연구다. 중성미자를 발견해 노벨상을 2번이나 받은 일본의 가미오칸데 프로젝트 역시 1958년부터 50년간 1조 원 이상의 연구비를 ... ...
이전
453
454
455
456
457
458
459
460
4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