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시작
최초
서두
초기
머리말
개시
d라이브러리
"
처음
"(으)로 총 8,210건 검색되었습니다.
2003년 가장 '쿨'한 발명품들
과학동아
l
200312
산호로부터 뽑아낸 단백질을 주입해 빨간빛을 내는 열대어도 있다. GM 형광 물고기를
처음
개발한 곳은 일본수산청 중앙수산연구소. 1988년 해파리의 녹색 발광유전자를 제브라피시의 수정란에 주입해 만들어냈다. 지난해 7월에는 미국 로스앤젤레스 소재 캘리포니아대(UCLA)의 이기영 박사가 ... ...
자연에서 열 얻어 냉난방하는 열펌프
과학동아
l
200312
명명된 켈빈이 열펌프 장치를 고안했다. 그리고 1927년 영국인 할덴이 열펌프 장치를
처음
으로 제작했다.열펌프가 시장에 나온 때는 1950년대 초. 미국에서 주택용 열펌프가 생산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충분한 연구개발을 거치기 전에 시장에 나온 열펌프는 신뢰도가 낮아서 보급에 실패했다.열펌프 ... ...
북쪽하늘 모범생 은하 M33
과학동아
l
200311
있다고 기록했다. 이 은하의 모습이 안드로메다은하처럼 나선팔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처음
알아낸 사람은 19세기의 천문학자인 로세경이었다. 그는 이 은하의 모습이 S자형의 나선팔 형태로 이전 관측자들이 언급한 것보다 약 두배에 달하는 크기를 갖고 있다고 발표했다.오늘날 M33은 북반구 ... ...
13억 꿈 이뤄낸 현대판 영웅 중국 최초의 우주비행사 양리웨이
과학동아
l
200311
후 지상과 가진 첫번째 교신에서).중국 최초의 우주인 양리웨이(楊利偉)가 대기권밖에서
처음
터트린 감탄사는 ‘느낌 좋다’란 말이었다.불과 하루 전만 해도 양은 이번 비행의 조종간을 쥐게 될 최종 후보 선정을 앞두고 동료 우주인 두명과 치열한 접전을 치르고 있었다. 발사가 바로 코앞까지 ... ...
수렁에 빠져도 정신만 차리면 뜬다
과학동아
l
200311
2g/cm3 정도입니다. 그러므로 모래수렁에서는 물보다 더 몸이 뜨기 쉬운 셈입니다. 수영을
처음
배울 때처럼 몸을 누인 채 팔다리를 넓게 벌리면 곧 몸이 떠오르게 됩니다. 이때부터 조심스럽게 팔을 저어 빠져 나올 수 있는 것이죠.또 근처에 나무 막대기가 있다면 등을 그 위에 일자로 올려놓아 ... ...
진화는 1백m 경주인가 넓이뛰기인가?
과학동아
l
200311
11권 모두가 실제로 그림이 똑같았다고 해봅시다. 그리고 이 사실에 근거해서 부인이
처음
그림책은 파본일 수 없고 원래 그런 불연속적인 그림들이 수록돼 있는 것이라고 주장한다고 합시다. 부인의 생각이 결과적으로 맞는 것일까요?엘드리지(G팀): 도대체 무슨 말을 하시려는지 잘 모르겠네요. 왜 ... ...
근대화학의 아버지
과학동아
l
200311
결합돼 있는 초소형의 복합적 전자소자 1958년경 우주개발과 더불어 미국공군에 의해
처음
연구되었다생물의 유전을 관장하는 유전자의 본체로서 유전정보의 설계도와 같은 역할을 하며 유전공학의 주역이기도 하다한 개의 칩위에 집적한 소자의 수가 1천개에서 10만개 사이인 집적회로를 ... ...
로켓개발 용쟁호투
과학동아
l
200311
최초의 고체로켓은 M(뮤우)시리즈의 로켓들인데, 1963년부터 개발을 시작해 1971년에
처음
으로 인공위성을 궤도에 올려놓는데 성공했다. 이후 로켓성능과 유도능력을 향상시킨 M-4S, M-3C 등 다양한 변형로켓을 개발했다. 1981년에는 소형의 탐사선을 지구중력 밖으로 보낼 수 있는 M-3SⅡ 개발에 성공했다. ... ...
2 새로운 초전도체 존재 예측 혼돈의 초유체 원리 밝혀
과학동아
l
200311
스스로 가장자리로 빠져나가 버리는 것과 같은 현상이다.He₄이 초유체가 된다는 사실을
처음
밝혀낸 과학자는 표트르 카피자와 레프 란다우였다. 두사람은 He₄ 초유체 현상이 매우 낮은 온도(약 2K)의 He₄ 액체에서 나타나며, 이때 헬륨 원자의 전자들이 쌍(쿠퍼쌍)을 이루면서 점성이 없어진다는 ... ...
뇌 영상의 마법사 MRI 고안
과학동아
l
200311
강력한 진단기술을 개발해 하운스필드와 함께 1979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았다. 코맥은
처음
으로 밀도가 서로 다른 조직층이나 부드러운 조직의 X선 영상에 대한 문제에 관심을 가졌다. 1970년대 초기에 그는 CT의 수학적 물리학적 기초를 세웠다. 영국의 전기공학자 하운스필드는 컴퓨터를 사용하는 ... ...
이전
454
455
456
457
458
459
460
461
4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