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끈
선
라인
실
열
행렬
끄나풀
d라이브러리
"
줄
"(으)로 총 6,865건 검색되었습니다.
(주)코캄엔지니어링 대표 홍지준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 1번지 청와대 박정희 대통령 귀하’. 중학교 2학년 남자아이가 3장이 넘는 장문의 편지를 대통령 앞으로 보낸 지 2주일도 채 안돼 청 ... 문화 ‘홍보대사’ 로서도 손색이 없다. 대한민국에 대한 애정으로 똘똘 뭉친 그가 보여
줄
새로운 대한민국을 꿈꿔본다 ... ...
익룡, 태아 화석 발견으로 난생(卵生) 입증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피부조직이 육안으로 판별가능할 정도로 잘 보존돼 있어 백악기 공룡연구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익룡 태아 화석을 발견한 중국학술원의 왕샤올린박사와 주종헤 박사는 태아화석이 잘 보존된 것은 화산폭발과 같은 자연재앙으로 급작스런 죽음을 맞이했기 때문이라고 추정했다.또 태아 ... ...
공기, 당신의 능력을 보여주세요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실험에서 발생한 공기 방울이 그 증거다. 그 다음 탁구공을 찬 물에 담그면 탁구공 속의
줄
어든 공기 부피만큼 물이 들어가 탁구공 속을 채우게 된다. 따라서 만약 탁구공 속에 많은 양의 물을 넣고 싶다면 따뜻한 물과 차가운 물의 온도 차이를 크게 하면 된다.▶▶▶ 물이 든 탁구공이 잘 튀지 않는 ... ...
사이버 혈연관계가 뜬다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선사해준다. 예전에 사귀었던 여자친구가 어떻게 지내는지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해
줄
수 있다.그러나 다녀간 기록이 남는다면 그건 낭패다. 실제로 자신의 미니홈피를 다녀간 사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벤트라는 기능은 원래 자신의 미니홈피 방문자 중 1천번째와 같은 특별한 방문을 기념하기 ... ...
과학동아가 선정한 10대 웰빙기술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부분이 바로 이 대목이다.과학동아는 개인은 물론 사회 전체의 건강과 안녕을 실현시켜
줄
미래의 10가지 기술을 선정했다. 맑은 공기를 쐬려고 공기청정기를 사거나 건강을 챙기기 위해 슬로우 푸드를 먹는 것이 웰빙이라고 설명하기엔 너무나 부족함이 많다.불의의 사고로 시력과 청력을 잃고 ... ...
테라급나노소자개발사업단장 이조원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밝다’며 추천해준 금속공학과에 진학했다.“대학에서도 암기식 교육의 연장일
줄
은 몰랐습니다. 실망이 커서 다 그만두고 고향으로 내려갈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했죠.”공부에는 여전히 취미를 붙이지 못했지만 이때 인생의 지침이 되는 책들을 많이 읽었다. 특히 그는 무실역행(務實力行, 진실을 ... ...
다재다능 이산수학 맛보기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이런 과정으로 문제를 풀어보면 여러개의 해가 나온다. 우선 초록색 신호 주기를 15초로
줄
수 있다.테헤란로의 양방향 a와 b에 15초 동안 초록색 신호를 준 다음 영동대로의 c와 d 방향에 15초 동안 초록색 신호를 준다. 이 중 c는 15초 후 빨간색 신호를 주고, 동시에 f에 초록색 신호를 준다. 이번에는 1 ... ...
03. 과학을 입는다 스마트 의류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가격은 내려갈 것이다.■ 현재 어떤 연구를 하고 있는가?노인이나 장애자에게 도움을
줄
스마트 의류를 개발 중이다. 옷을 입으면 움직이는 동안 일어나는 신체 반응이 자연스럽게 측정돼 이를 건강관리에 이용하게 하는 것이 목표다. 현재 각기 다른 기능을 하는 센서를 옷 하나에 12개까지 내장하는 ... ...
7백23만자리 소수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고문인 조시 핀들리가 PC를 이용해 가장 큰 소수를 찾아냈다고 보도했다. 이 숫자는 한
줄
로 나열하면 25km에 이르고 속기로 써도 꼬박 6주가 걸린다.이번에 확인된 소수는 41번째 발견된 ‘메르센 소수’. 희귀 숫자 연구에 몰두했던 17세기 프랑스 수도사 마랭 메르센의 이름을 딴 것으로 n이 소수일 ... ...
한반도는 지진의 안전지대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원자로 바로 밑에서 발생해도 안전하게끔 원전이 설계됐다”며 “울진 원전에 피해를
줄
수 있는 지진이 발생할 확률은 1만년에 한번꼴”이라고 말했다.이런 주장에 대해 이 교수는 “규모 5.2인 이번 지진이 발전소 아래에서 났더라도 별 문제는 없었을 것”이라며 “한반도에서 규모 6.5가 넘는 ... ...
이전
454
455
456
457
458
459
460
461
4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