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밥통
위장
Hugo
상부
윗쪽
꼭대기
자리
뉴스
"
위
"(으)로 총 9,054건 검색되었습니다.
누르지 않아도 터치되는 ‘원격 햅틱’ 기술 시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17
고글)를 끼자 눈앞에 가상의 피아노가 모습을 드러냈다. 책상에 놓인 초음파 발생장치
위
허공에 손을 올리자 손끝으로 짜릿한 압력이 전해졌다. 피아노 건반을 누르자 정말 무언가를 누르는 듯한 감촉이 손끝에 느껴지며 피아노 소리가 울렸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연구 중인 ‘초음파 원격 ... ...
남북협력 1번지!...산림, 정보통신 분야 떠올라
동아사이언스
l
2018.09.16
것이란 얘기가 나온다. 업계에선 북한 측이 정보통신분야의 기술적 혁신을 이루기
위
해 한국 기업의 통 큰 투자를 원할 것이지만, 유엔 안보리의 제재 이슈로 인해 쉽게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 분석 중이다. 임종석 실장은 “정상회담 일정과 핵심의제 등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17일 다시 설명할 ... ...
거대한 뱀과 노는 아기
팝뉴스
l
2018.09.15
한다. 뱀이 멀리 기어가자 아기가 쫓아가 얼굴을 들어올리는 장면도 나온다.
위
험하지 않을까. 뱀이 순식간에 공격성에 휩싸이면 아기에게 해를 끼칠 수 있을 것이다. 보는 사람은 조마조마한데, 화면 밖의 어른들이 웃기만 한다. 뱀과 아기가 귀엽다는 듯한 웃음이다. 화제의 영상은 ... ...
신과 함께? CG와 함께! 지옥과 현실을 잇는 컴퓨터그래픽 속으로
과학동아
l
2018.09.15
몸을 그림자 없이 다각도에서 한 번에 스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질감을 없애기
위
해 표정은 50가지 이상 촬영한다. 유 실장은 “데이터만 있으면 배우의 과거 젊은 시절이나 미래 나이 든 모습도 표현할 수 있다”며 “휴먼 스캔 솔루션으로 제작한 디지털 배우를 인공지능의 외형으로 활용해 ... ...
공포의 체르노빌 비둘기
팝뉴스
l
2018.09.15
제공 거대한 새가 남자의 머리
위
에 앉아 있다. 남자는 전화를 거느라고 바쁘다. 구조 전화를 거는 것일까. 아니면 신고 전화 중일까. 새는 공포스러운 모습이다. 새의 정체는 뭘까. 해외 네티즌들은 ‘체르노빌 비둘기’라고 부른다. 평범한 방사능에 오염되어 거대하고 힘이 세졌다는 것이다. ... ...
외계 생명체가 같은 불가사리
팝뉴스
l
2018.09.14
만든 이미지에 불과하며 폄하하는 댓글도 보인다. 영상 공개자의 설명에 따르면
위
동물은 불가사리다. 특이한 것은 다리가 9개라는 것. 보통 불가사리는 5개다리를 가지고 있지만 ‘선 스타’라는 해파리는 다리가 40개에 이른다. 아무렇다고 해도 다리 9개는 뭔가 불길하고 두려운 게 사실이다 ... ...
빛 쪼여 박막 반도체 전도도 10만배 끌어 올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14
만들려면 전기가 통하는 성질인 전도도를 크게 높여야 한다. 기존에는 전도도를 높이기
위
해 액체나 기체 상태의 이온을 주입하는 방법이 널리 쓰였는데, 2차원 반도체는 너무 얇아 이 방법을 쓸 수 없었다. 그런데 국내 연구팀이 쉽고 싼 방법으로 2차원 반도체의 전도도를 획기적으로 높일 방법을 ... ...
이 작은 돌조각에... 7만 3000년 전 사피엔스 최고(最古) 그림이 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13
도구로 벽이나 화석에 그림을 그린 사례가 나왔다. 2014년 스페인 지브롤터 지역 동굴의 바
위
에서는 4만 년 전에 그린 네안데르탈인 음각화가, 같은 해 인도네시아 자바섬에서는 약 54만 년 전 홍합 화석 표면에서 호모 에렉투스의 지그재그(Z) 무늬 음각화가 발견됐다. 올해 2월에는 스페인 동굴에서 ... ...
원안
위
, 제어봉 오류로 자동정지된 신고리 3호기 재가동 승인
동아사이언스
l
2018.09.13
제어봉이 적절하게 작동함을 확인했다. 제어봉을 제어하는 계통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
한 조치를 사업자에게 요구했고 다음 정기검사 때 후속조치 결과를 확인할 계획이다. ... ...
아프리카 거대 구름 미스터리 풀렸다
과학동아
l
2018.09.13
받아 하강하면서 만드는 ‘대기 중량파’를 꼽았 다. 아프리카에서 불어온 육풍이 바다
위
안정적인 공기와 만나 형성된 대기 중량파가 구름 을 섞고 증발시킨다는 것이다. 유터 교수는 “구름은 지구 온도의 균형을 맞추는 역할을 한다”며 “이번 연구가 향후 지구 온난화에 따른 구름의 변화를 ... ...
이전
454
455
456
457
458
459
460
461
4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