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응
반향
응답
효과
작용
공감
반동
d라이브러리
"
반응
"(으)로 총 5,190건 검색되었습니다.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피브리노겐이 피브린으로 바뀌면 혈액이 응고된다. 이때 트롬빈이라는 물질이 이
반응
을 유도한다. 따라서 트롬빈을 억제하는 물질을 외부에서 넣어준다면 피브린이 형성되기 어려워질 것이다. 다시 말해 혈액의 응고를 방지할 수 있다.그 동안 돼지 소 등 가축의 기관지에서 추출한 헤파린이 이 ... ...
적외선 레인지 국내 시장 상륙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일종의 백열전구)에 전기를 공급해 주면 램프내의 텅스텐필라멘트와 할로겐가스가
반응
, 고온의 적외선을 발생시킨다. 파장이 0.75~1천μm인 적외선은 1800년 경 독일의 과학자 허셸(Herchell)이 처음 발견한 빛으로 강한 열작용을 갖고 있기 때문에 '열선'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할로겐 램프에서 나온 ... ...
(2) 인종에 맞는 제품 따로 있다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무분별한 사용은 바람직하지 않다. 한국인에게는 피부노화 자극
반응
알레르기
반응
등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국인의 피부에는 한국인의 체질과 환경특성에 맞춰 개발한 우리 화장품이 낫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 ...
태양의 영원한 라이벌 전갈자리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거대한 부피로 팽창했기 때문에 이 별의 밀도는 아주 낮다. 이 별은 중력과 핵융합
반응
사이의 미묘한 균형이 옮겨감에 따라 부풀거나 오그라지는데 이 때문에 그 크기와 밝기가 약간씩 변하고 있다. 약하게나마 맥동하는 이 붉은 별을 전갈의 고동치는 심장으로 상상하는 것은 쉬운 일일 것이다 ... ...
단백질의 위력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매개하는 중간화학
반응
의 구분, 상황변화를 설명하는 속도들의 측정 및 각종 화학
반응
이 어떻게 수행되는가를 이해하기 위한 단백질의 상세한 구조설명이 필요하기 매문이다. 이 모든 과정이 현재는 충분히 파악되지 못한 것이다.생화학자들과 분자생물학자들은 단백질에 관한 연구를 계속할 ... ...
화면속에 뛰어들어 실제체험 느끼는 가상현실의 세계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존재함'은 뇌에 의해 인지된다고 볼 수 있다. 외부자극을 오감을 통해 전달받고 이에
반응
하는 명령을 내리는 중추기관이 바로 뇌이기 때문이다. 존재함이란 오감을 통해서만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논리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가상현실의 궁극적인 도달점은 뇌를 마음대로 제어하는 ... ...
정자(精子)전쟁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있을 뿐 아니라 개체에 따라서도 정자수는 제각각이다. 특히 환경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
한다. 영국 맨체스터대학의 생물학교수인 베이커와 벨리스의 실험에 따르면, 쥐에서 수컷의 교배환경에 변화를 주면 정자생산에 변화가 온다고 한다. 그들은 한 실험군(群)에 여러 마리의 암컷과 한마리의 ... ...
협동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보송보송한 어린 고양이나 강아지를 볼 때 터뜨리는 "어머나, 정말 귀엽게 생겼네" 식의
반응
은 불러 일으키지 않는다(우리들의 아기는 머리부터 발끝까지 털이라곤 전혀 없는데도 말이다).그러나 이 털없는 두더지는 포유동물임에도 무리지어 사는 곤충과 다름없어 매우 흥미롭다. 그들에겐 새끼를 ... ...
"공고에서 과학교사가 할일이 있나?"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대해 소개했다.이렇게 과학수업에서 학생들에 친근한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일정한
반응
을 불러 일으키는 것에 힘입어 나는 좀더 근본적인 과학수업의 내용을 결정하는 문제를 고민하기 시작했다.'과학수업의 목표가 과학자를 기르는 것일까? 아니면 과학적 소양을 가진 창조적인 인간을 기르는 ... ...
생명연장을 위한 인류의 도전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있는 실정이다. 소장의 경우 1950년대 후반부터 동물실험이 시도되었지만 아직도 거부
반응
문제를 제대로 해결해내지 못하고 있다. 뇌 이식의 경우는 많은 연구자들이 유산된 태아의 뇌세포를 배양하여 뇌질환을 일으키는 특정 물질의 결핍 증상을 치료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대표적인 것으로 ... ...
이전
455
456
457
458
459
460
461
462
4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