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흔하지만 가볍게 볼 게 아니다 감기의 예방과 치료안내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바이러스성 감기인 경우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이미 언급했듯이 항생제는
세포
내에 존재하는 바이러스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능력이 없어 효과를 기대할 수가 없고 오히려 약제 내성균의 인체내 증식이 유발되거나 항생제의 부작용이 유발되어 치료에 장애가 되는 수가 많다. 그러나 ... ...
'87 노벨 의학·생리학상 수상자 도네가와 스스무(利根川 進)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생명현상은 면역의 메카니즘을 원용하지 않으면 설명할 수 없게 되었다. 예컨데 사람
세포
의 DNA로 침입하는 에이즈(AIDS) 바이러스는 그 자체가 움직이는 유전자라고 할 수 있다. 또 최근에는 발암유전자 주변에서 DNA의 다이너믹한 조환이 일어남으로써 암유전자가 비정상적으로 발현하여 암발생의 ... ...
가속기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있어 관상동맥의 X-선 현미경 사진에 의해 혈액속의 특정원소의 파악 및 동력학적연구 등
세포
생물학의 많은 문제들을 해결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미래의 고밀도 집적회로 특히 이들 제반 기술들을 종합 이용하는 X-선 석판화(lithograph)는 미래의 초대규모집적회로(VLSI)의 제작에 있어 방사광 X ... ...
미생물학은 생명과학의 총아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그러나 이 방위군인 임파구를 체외로 끄집어 내면 증식하지 않는다. 그래서 등장한 것이
세포
융합기술인데 암에 걸린 임파구가 체외에서도 증식능력을 갖게 되는 것에 착안해서 이것과 보통 임파구를 융합시키면 항체를 생산해 내면서 매우 빠른 속도로 임파구를 생성시킬 수 있다. 조직 배양은 ... ...
초전도체의 열풍속에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시키면 빠른 속도로 번식하는데 IL-2로 자극된 이
세포
를 다시 환자의 혈관에 주입하면 암
세포
를 찾아가서 파괴해 버리는 것이다. 이 결과 108명의 환자중 29명의 악성종양은 50%이상 줄어 들었고9명은 완쾌되었다. 과학자들은 또 다른 의미에서 1987년을 생물공학을 위해서는 하나의 전환의 해라고 ... ...
기초과학 위에 뿌리내린 첨단과학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백신개발뿐아니라 항생체등 의약품의 개발과 함께 미생물학 생화학 분자 생물학 유전학
세포
학 등 생명과학 전반에 걸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8개의 연구부를 두고 있고 그 밑에 72개의 연구실로 세분돼있다. 8개연구부는 세균 및 곰팡이 연구부, 바이러스연구부, 생태학부, 면역학부, 생화학 및 ... ...
남자와 여자의 뇌 어떻게 다른가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다르다. 신피질 외에 대뇌변연계(大腦辺緣系·대뇌피질의 일부와 바닥 부분 일부의 신경
세포
군의 총칭. 척추동물의 진화과정에서 오래 전부터 발달된 부분으로(오래된 피질) 인류에 이르러 크게 발달한 고등정신작용을 영위하는 부분(신피질)과 구별되어 음식 성등의 본능적인 감각 욕망 행동을 ... ...
유전자는 재형성되면서 항체를 만든다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수행해 이를 입증했다.생쥐의 임파구가 특정항체를 생산하기위해 분화해 가는 과정에서
세포
내의 유전자 자체가 변화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던 것이다.도네가와의 업적 이후 인체면역메카니즘에 대한 연구는 비로소 급속히 진행되기 시작해 의학분야에서 면역학의 시대가 열렸다. 의학자들은 ... ...
초음파로 교신하는 바다의 신동 돌고래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돌고래의 뇌의 무게는 1.5∼2.2kg으로 깊은 주름과 복잡한 곡절이 많으며 뇌피질의 신경
세포
수도 다른 포유동물과 비교하여 굉장히 많다(그림2).한편 돌고래는 수많은 그들 나름의 언어(회화음)를 가지고 있고, 방향탐지를 위하여 2백KHz의 초음파를 이용한다. 이 수치는 사람(20KHz) 개(35KHz) 고양이(47. ... ...
특수촬영사진으로 본 인간생명의 탄생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감춰져 있는 생체메카니즘일 것이다. 육안으로 보이지 않던 수정란이 약 10개월 사이에
세포
분열과 증식을 거듭하여 약 3kg정도의 훌륭한 태아로 성장한다. 그 스피드와 에너지가 넘칠것 같은 발육은 경이 바로 그것이다. 태아에게는 모체 밖으로 나온 뒤 외부세계에서 살아나갈 수 있는 생활능력이 ... ...
이전
455
456
457
458
459
460
461
462
4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