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침
부침개
앞
전면
전방
앞쪽
이전
d라이브러리
"
전
"(으)로 총 15,844건 검색되었습니다.
[Editor’s Note] Future & Origin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넘어 영상과 소리로 과학을 만나는 ‘모션그래픽’과 ‘소리’ : 과학동아 기자와
전
문 디자이너가 만나 국내 어디에서도 시도하지 못했던 과학 모션그래픽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편집장과 기자가 기사를 주제로 대화를 나누는 ‘에디터 토크’ 서비스도 준비 중입니다. 지면 밖에서 ... ...
[Future] 미래 바꿀 7대 기술은 무엇?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시간 동안 매달릴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육체나 정신건강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그래서
전
문가들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하고 있으며, 역으로 가상현실을 이용해 건강을 증진시키는 콘텐츠도 개발하고 있다. 부정적인 면을 줄이고 긍정적인 면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다. 또 언젠가는 ... ...
Part 6. 특이점 없애기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기술할 때 리만 기하학이 이미 있었듯 양자중력이론을 정립하기 위한 수학이 이미 발
전
해 있다는 점이다. 잘 엮고 다듬는 일이 남았다. 이론의 특성상 실험으로 직접 검증하기 어렵다는 문제도 있다. 그러나 이 이론이 예측하는 여러 현상이 실제 관측과 맞아 떨어진다면, 그것이 곧 간접 증거로 ... ...
[Issue] 기후 위협하는 비행기구름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비행기가 다닐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고 제안했다.와일드 교수는 “지금은
전
문가들이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에만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면서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는 기후변화를 일으키는 수많은 원인 중 하나일 뿐”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비행기구름 등 기후변화에 영향을 ... ...
[Career] 4배체 유
전
자 개구리, 세계 최초로 해독한 과학자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않았다. 권 교수의 연구 결과는 이런 궁금증을 풀어줄 열쇠다. 권 교수는 “정확한 유
전
체 지도가 밝혀졌으니, 다양한 분야의 연구에서 유용한 도구로 활용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 ...
Intro. 신나게 발을 구르면 비행기가 부웅~! 인간 동력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4호
1. 사람은 얼마나 큰 힘을 낼 수 있을까?Part 2. 유선형 덮개로 공기저항을 줄인 초고속 자
전
거Part 3. 페달을 밟아 하늘을 나는 인간동력 항공기Part 4. 올록볼록 바퀴로 달린다! 우주 로버Part 5. 소외된 90%를 위한 과학 ... ...
Part 5. 소외된 90%를 위한 과학 적정기술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4호
1. 사람은 얼마나 큰 힘을 낼 수 있을까?Part 2. 유선형 덮개로 공기저항을 줄인 초고속 자
전
거Part 3. 페달을 밟아 하늘을 나는 인간동력 항공기Part 4. 올록볼록 바퀴로 달린다! 우주 로버Part 5. 소외된 90%를 위한 과학 ... ...
우주인 똥 치우기 대작
전
!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4호
오줌을 이용해 화성에서 건축 재료를 만드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지구에서 데려간 유
전
자 변형 박테리아를 오줌에 섞으면 흙을 모아 굳히는 성분이 생겨난다. 이 오줌을 화성 토양과 섞어 단단하게 굳히면 벽돌로 쓸 수 있다.3. 식량과 산소로 바꾸기사람의 배설물에는 미처 소화되지않은 ... ...
[가상 인터뷰] 박쥐는 치타보다 빠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4호
연구팀이 몸이 가장 가벼운 브라질큰귀 박쥐를 골라 속도를 정밀하게 측정한 결과, 이
전
보다 훨씬 빠른 속도를 얻어낸 낼 수 있었답니다.그런데 저는 멸종취약종이에요. 서식하는 지역이 적고, 그마저도 사람에 의해 파괴된 곳이 많거든요. 여럿이 몰려다니는 습성 때문에 한 서식지가 파괴되면 큰 ... ...
[특별 인터뷰] 깃털 달린 육식공룡에 빠지다! 쉬 싱 박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4호
키워야 한다고 힘주어 말했어요.“고생물학자는 생물학 지식을 많이 알아야 하고,
전
세계 곳곳을 누빌 수 있는 튼튼한 체력도 필요해요. 하지만 가장 중요한 건 협력이에요. 화석을 발굴하고 연구하는 과정에서 여러 사람과 함께 할 일이 많거든요. 따라서 다른 사람들과 함께 생각을 나누고 ... ...
이전
455
456
457
458
459
460
461
462
4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