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뉴스
"
양
"(으)로 총 5,216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포자 되살리는 스토리텔링, 수학동아가 딱이죠”
2015.05.13
교과 성적에 도움이 된다는 학생도 있다. 수학에 흥미와 자신감이 부족했던 2학년 이채린
양
은 “수학동아를 읽는 동아리 활동을 하면서 수학에 대한 거부감이 많이 줄었다”고 말했다. 3학년 소장호 군은 “정규수업 시간에 수식으로만 접했던 ‘기하와 벡터’ 단원을 공부할 때, 특히 많은 도움이 ... ...
[신문과 놀자!/별별과학백과]공기방울-분뇨로도 전기 만들어요
동아일보
l
2015.05.13
올린 벨레프 교수팀과 공동으로 엽록소를 섞은 물컹물컹한 젤로 태
양
전지를 만들었다. 연구팀은 이 젤을 얇고 투명한 막에 발라 빛을 쪼인 뒤 엽록소에서 생겨난 전자를 모아 전기를 만들어냈다. 김은영 어린이과학동아 기자 gomu51@donga.com [화제의 뉴스] - 100억대 자택 내놓은 강덕수 회장, 왜? - 폈다 ... ...
음식 속 아미노산이 치아 건강 지킨다
2015.05.12
줄어들었다. - 미시간대 제공 고기와 생선 등 우리가 매일 먹는 음식에 들어있는 영
양
성분이 치아를 건강하게 유지하도록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미시간대와 호주 뉴캐슬대 공동연구팀은 아미노산 중 하나인 L-아르기닌(L-arginine)이 구강 내 플라크 형성을 멈추게 한다는 사실을 ... ...
인공 빛이 당신을 살찌게 만든다
2015.05.12
쪼인 그룹의 체중과 체지방이 증가한 원인도 밝혀냈다. 몸속에서 지방산과 포도당 등 영
양
소를 열에너지로 바꾸는 에너지 변환율이 감소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11일자에 실렸다. ... ...
5개 행성 한 자리에 모이는 ‘오성결집’을 아시나요
2015.05.08
1993년 한국천문학회지에 발표했다. 특히 이 기록은 5개 행성이 ‘루’라는 별자리(현재
양
자리)에 모였다는 뜻으로 ‘오성취루’라고 불린다. 박 위원은 “이번에 발견된 다섯 행성은 지금의 게자리에 해당하는 ‘귀(鬼)’에 위치한 만큼 ‘오성취귀’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쿵쾅쿵쾅 볼륨 높은 클럽에서 귀 안 먹는 이유
2015.05.07
귀를 자극해 소리를 들을 수 있다. 하지만 청신경마다 분비할 수 있는 신경전달물질의
양
은 한계가 있고, 이를 다 써버리면 청각을 잃게 된다. 소음이 많은 환경에서는 자극이 계속돼 신경전달물질을 너무 빠르게 써버리기 때문에 청력이 손실될 위험이 있다. 프리드먼 교수팀은 쥐를 이용해 ... ...
30대 노안 환자 급증…‘어두운 곳에서 스마트 폰-컴퓨터 이용, 노안 위험↑’
동아닷컴
l
2015.05.07
눈의 무리를 최소화해야한다. 어두운 곳에서 눈이 화면의 빛에 노출되면 평소보다 많은
양
의 활성산소를 만들게 되고 활성산소는 눈의 정상세포를 파괴해 노안을 초래한다. 한편, 30대 노안 환자가 급증하며 노안 예방에 좋은 음식에 대한 관심도 뜨겁다. 노안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시금치, ... ...
유리막대 안 들어가는 마이크로 시약은 어떻게 섞을까요?
2015.05.06
시약을 균일하게 섞는 과정은 눈에 보이지 않는 나노 세계에서나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양
이 매우 적은 마이크로미터(㎛) 이하 수준의 유체에서는 점성이 크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섞기가 매우 어려웠다. 연구팀은 전류를 흘려보낼 때 나노입자들이 자기조립되는 현상을 이용해 3차원 소용돌이를 ... ...
자기 혼자 걸어와 침대 앞에 딱~ ‘아이언맨 슈트’ 개발
2015.05.06
주로 보조하지만 쿠엑스는 사람의 발목과 무릎, 골반에 모두 모터가 붙어 있다.
양
다리를 합해 모두 10개의 보조모터를 설치해 대부분의 하체 동작을 따라 할 수 있게 만들었다. 여기에 로봇 골격 속에 넣을 수 있는 ‘프레임리스 모터’를 이용해 사람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확보했다. 착용자의 ... ...
온도 하나로 반도체와 도체 넘나드는 신기한 금속
2015.05.05
투명디스플레이나 몸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기기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양
연구위원은 “실리콘 반도체 웨이퍼처럼 대면적으로 제작하는 기술과 표면 가공 기술 등을 추가로 개발해야 상용화가 가능하다”면서 “5년 내에 산업 전반에 응용할 수 있는 소자를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 ...
이전
455
456
457
458
459
460
461
462
463
다음
공지사항